• 제목/요약/키워드: Work Commitment

검색결과 585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 Choi, Young-Keun
    • 유통과학연구
    • /
    • 제14권11호
    • /
    • pp.19-28
    • /
    • 2016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f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was a correlation as two kinds of workplace violence arouse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which influences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family conflict. This study explores i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can be an interpers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Using a survey method, this study distributed the survey to 319 employees working at Korean companies. This study used a serie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 - In the results, the more job-related bullying or abusive supervision people perceive in the workplace, the stronger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are Second, the stronge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eople have, the weaker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stronger work-family conflict are. Finally, when people have higher POS in workplace, workplace bullying and abusive supervision have weaker impact on their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Conclusions - For research contributions, this study introduc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in the context of workplace and investigate workplace violence as the antecedents of internet pornography. Second, this study suggests and empirically verify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s an organizational factor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violence and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Practically, corporate executives need to recognize the appearance of workplace violence by monitoring the phenomena of employees' internet pornography addiction. Future studies need to be investigated for other types of addiction.

기업 구성원의 직무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Work-related Values and Job Performance)

  • 이정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30-338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 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직무관련 가치관과 직무성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직무특성에 따라 직무관련 성과가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내적 가치관의 차원 가운데 일에 대한 자부심, 조직에 대한 관심, 행동선호성 등의 차원들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음이 밝혀졌다. 외적 가치관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모두 부(負)의 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만족에는 내적 가치관에서 직무특성의 조절효과가 외적 가치관의 경우보다 더욱 크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특성은 내적인 가치관과 관련하여 조직몰입에 더욱 많은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는 일에 대한 내적 가치관을 강하게 보유한 기업 구성원을 조직에 참여시키고 성과에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관리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경영자는 내재적 가치중심 기업문화의 역할을 강조함으로써 외적 가치관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는 실천적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일-가족문화가 조직구성원의 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ork-Family Culture on Attitude and Turnover Inten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 송종한;김용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7-396
    • /
    • 2010
  • 본 연구는 은행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일-가족 문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일-가족 균형에 대한 종사원들의 욕구에 기업은 어린이와 노인을 돌보는 프로그램, 유연근무시간제, 직무공유제, 단축근무제, 그리고 재택근무의 채택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영역은 조직의 성공과 종업원 개인의 생활에 영향을 주기에 현대조직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일-가족문화에 대한 인식이 종업원들의 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문헌연구와 더불어 금융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254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가족문화에 대한 인식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모두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력관리의 경제적 효용성을 위한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 이재철;노효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1-42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치과위생사 156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순환 근무와 오픈 주방 시스템이 직무 만족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hift Work and the Open Kitchen System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 채현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39-35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evelopmental basic data of a change in shift work types by making a self-administered survey of the effect of commitment by shift work and the open kitchen system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and mutual relation between variables on 287 cooks in luxury hotels. Analysis showed that the operation of the shift work system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ternal stress of the cooks, their external stress, or their self-uncertainty on the job, and the business by the open kitchen system was effective in raising self-esteem. In addition, job commitment by shift work and the open kitchen system were effective in promoting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terpersonal relations, promotion, benefits and wages. Consequently, the decrease of external and internal stress or self-uncertainty and the improvement of job satisfaction can be connected with the increase of productivity or cost reduction. Therefore, the open kitchen system should be properly applied to the shift work system, along with sanitation, safety and the periodic checkup of kitchen.

  • PDF

비정규직 호텔 조리종사원의 감성지능이 조직몰입,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ork Performance of Non-regular Hotel Culinary Staff)

  • 김동규;이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55
    • /
    • 201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an effici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of hotel corporation by examining if the emotional intelligence with affective involvement and continuous involvement could impact work performance. For the field test and verification, the non-regular hotel staffs from November $1^{st}$ to $30^{th}$, 2016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 resul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regular hotel staff impacted positively on affective involvement and continuous involvement. Second, the continuous involvemen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work performance. Lastly,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on-regular hotel staff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ork performance. With this research, it may have an opportunity to utilize this study result as an educational material to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of hotel corporation. In conclusion, it may need to introduce an emoti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 in the hotel corporation. Also, in order to improve work performance, intensive efforts in organizational level would be required by enabling employees to make an affective involvement. Finally, to cope with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additional empirical study should be conducted that the affective involvement of non-regular hotel staff impacts the work performance.

외래병동간호사와 병동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전문직관, 업무환경 및 직무만족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ommunicatioi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Outpatient Nurses and Ward Nurses)

  • 김금옥;고미숙;최은희;김혜정
    • 의료커뮤니케이션
    • /
    • 제13권2호
    • /
    • pp.175-18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ommunication competence, nursing professionalism, work environment and job satisfaction between outpatient nurses and ward nurses,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90 outpatient nurses and 98 ward nurses at the two general hospitals.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test$, independent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nursing professionalism, possibilities for developmen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from colleagues, social community at work and job satisfaction, outpatient nurses showed higher level than ward nurses except commitment to the workplace. The work environment variables and nurses' job satisfaction were mostly correlated. Job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ly correlated with quantitative demands, emotional demands and role conflicts in both groups nurses. Conclusion: These findings showed that nursing work environmen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job satisfaction of both group nur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ut efforts in improving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develop diverse strategies for human resource management.

스마트워크 환경이 비서직종사자의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심사와 일-생활 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work Environment on Office Administrator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Moderated by Concerns and Work-Life Balance)

  • 김명옥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7-71
    • /
    • 2015
  • 조직 성과 및 효과 제고를 위한 인력관리의 핵심인 조직유효성은 오늘 기업사회가 ICT 기술기반 스마트워크 환경으로 진입하면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비정형적 업무와 높은 직무긴장도 및 감정노동 등과 같은 업무특수성을 지닌 비서직 종사자에게 스마트워크 환경의 직무자율성과 정보기술의존성과 같은 특성들은 조직유효성에 더 예민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업경영 환경이 ICT 기술 기반 스마트워크 환경으로 전환되어갈수록 비서직종사자의 조직유효성은 비서 개인이 가지고 있는 어떤 관심사 그리고 개인이 처해 있는 사적인 상황이나 가정생활 환경(WLB)에 의해 좌우될 수 있는 여지도 함께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서직종사자를 대상으로 스마트워크 환경에 대한 인식수준과 조직유효성(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과의 영향관계와, 개인 관심사와 일-생활 균형 수준의 조절효과를 실증분석 하였다. 정보기술의존성과 조직몰입을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효과관심사는 모든 조직유효성 요인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자기관심사는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부정적인 조절효과를, 그리고 WLB는 조직몰입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스마트워크 환경에서의 비서직종사자를 위한 인적자원관리 시사점과 조직효율성 제고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발전공기업의 성과지향보수제도가 조직몰입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oriented remuneration system in the public companies of thermal power generation effects on Organization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 인재만;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356-373
    • /
    • 2017
  • 본 연구는 발전공기업의 성과지향보수제도가 실질적으로 직원들의 조직몰입도를 유도하여 조직의 효율성 및 조직성과 제고에 기여하는 지의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공기업의 성과지향보수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려고 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성과연봉제의 개인별 성과보상 적정성과 성과연봉 확정을 위한 개인별 근무평정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성과배분제의 외부평가(정부경영평가) 및 내부평가는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성과연봉제와 성과배분제 모두는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과지향보수제도 중 성과연봉제의 보상적정성 및 개인별 근무평정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조직몰입을 경유하여 간접적으로도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어 조직몰입도의 부분적 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으나, 외부평가와 내부평가는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가 유의하지 못하여 매개효과 검증의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가 시사하고 있는 점은 공정하고 수용성 있는 평가지표 개발 및 성과지향 보수체계에 대한 제도운영 정책을 회사, 노조 및 직원 모두의 지혜를 모아 수립하여 시행한다면 성과지향보수제도가 회사에 대한 직원들의 애사심 고취 및 조직성과를 향상시켜 국민과 정부에게 신뢰받는 진정한 공기업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치과위생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 김혜영;최정옥;성미경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13-223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turnover intention and variable factors among dental hygienists. Methods : Each factor of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investigated using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he hypothesis of the data was proven and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Results :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based on self-efficacy,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based on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that self-efficacy is as high as job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e dependent variable is organizational commitm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re as hig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turnover-inten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s low as turnover-inten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 traits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experiences, public work and turnover inten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lso related with job experienc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of turnover inten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ere correlated to each other.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has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urnover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