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lly pod vetch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고랭지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의 생육특성 및 녹비생산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Green Manure Productivities of Hairy Vetch and Woolly Pod Vetch under Different Sowing Seasons in the Highland Area)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09-420
    • /
    • 2008
  • 본 연구는 고랭지에서 피복용 두과녹비작물 도입를 통한 토양환경 보전과 녹비공급효과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각각 2품종를 공시하여 가을, 봄 파종에 따른 생육, 토양피복율, 잡초밀도, 수량, 질소생산성을 구명하여 친환경농업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06{\sim}2007$년 강원도 평창군 대관령의 해발 800m에서 수행하였다. 1. 고랭지인 대관령 지방에 헤어리베치의 월동률은 $79{\sim}83%$이었으나 울리포드베치는 $29{\sim}35%$의 월동률을 나타내어 헤어리베치가 울리포드베치에 비하여 월동률이 높았다. 고랭지에서 베치류의 토양피복율은 추파에서는 5월 하순에서 6월 초순, 춘파에서는 6월 하순에서 7월 초순에 100%에 도달하였다. 헤어리베치 재배에 의한 잡초밀도는 가을 파종재배구가 봄 파종재배구 보다 낮았다. 2. 가을파종재배시 헤어리베치 품종의 질소 함량은 3%로 울리포드베치의 2.7% 보다 높았다. 그러나 봄 파종재배시 질소 함량은 울리포드베치 품종이 헤어리베치 품종 보다 높았다. 울리포드베치는 헤어리베치에 비하여 셀룰로스, NDF, ADF, ADL 함량이 낮았다. 3. 고랭지 지역에서 헤어리베치의 건물수량은 가을 파종에서 $5,255{\sim}5,405kg/ha$ 봄 파종재배에서 $4,330{\sim}4,560kg$으로 가을파종재배에서 높았다. 봄 파종재배에서는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사이에 건물수량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헤어리베치를 녹비로 이용하면 가을 파종재배에서 $156{\sim}164kg/ha$, 봄 파종 재배에서 $131{\sim}140kg/ha$의 녹비질소를 생산할 수 있었다. 울리포드베치는 월동의 안정성이 없어 추파재배시 $96{\sim}101kg/ha$으로 질소생산성이 낮았으나, 봄 파종재배에서는 $144{\sim}153kg/ha$으로 헤어리베치 보다 높았다. 고랭지 지방에서 헤어리베치는 가을, 봄 파종재배가 가능하였으나 울리포드베치는 가을 파종재배에는 적합하지 않았으나 봄 파종재배 품종으로는 가능하였다.

  • PDF

자생 베치와 도입 베치의 생육특성과 건물수량 비교 (Comparison of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Wild Vetch)

  • 신정남;고기환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23-228
    • /
    • 2003
  • 본 시험은 대구, 경북 자생치에서 수집된 hairy vetch(Vicia Villosa Roth) 3계통과 자생 woolly pod vetch(Vicia Villosa ssp. dnycarpa (Ten.) Eav) 일본에서 도입된 헤어리베치와 울리포드베치, 호주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인 Haymaker plus 품종의 생육특성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2000년 10월 7일에 파종하여 2001년 5월 19일에 수확하였으며 경북 성주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내한성은 일본에서 도입된 울리포드베치와 Haymaker plus가 다른 품종에 비해 다소 약했다. 50% 개화기는 Haymaker plus가 4월 16일, 일본 울리 포드베치가 4월 20일, 자생 헤어리베치(I)가 4월 22일, 자생 헤어리베치(II)가 4월 28일,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5월 1일, 자생 울리포드베치가 5월 5일 및 일본 헤어리베치가 5월 10일 이었다. 건물 함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 50% 개화기가 빠른 품종이 높은 경향이었다. 건물수량은 자생 헤어리베치(III)가 가장 많았으며(P<0.05), 자생 헤어리베치(II)는 다른 품종보다 많았다(P<0.05). Haymaker plus 및 자생 헤어리베치(I)는 일본 헤어리베치보다 수량이 많았다(P<0.05).

도입 베치 품종 및 한국 야생종의 생육특성과 수량 (Forage Performance of Introduced Vetch Cultivars and Korean Native Vetch)

  • 신정남;김동암;김용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51-258
    • /
    • 2000
  • 본 시험은 호주에서 도입된 베치 품종과 우리나라 야생종베치의 생육특성, 사료가치, 및 건물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1998년 8윌부터 1999년 5월까지(1년차)와 1999년 9월부터 2000년 4월까지(2년차) 경북 경산 계명문화대학 실습목장에서 수행되었다. 월동륜은 가을 l차 예취구에서 Haymaker plus, Cappelo 및 Namoi가 각 26, 12 및 3%였고 가을에 예취를 하지 않은 구에서는 Haymaker plus와 Cappelo가 100%였고 Namoi가 70%였으며 Popany 와 Victa는 월동되지 못했다. 2년차 시험에서는 Aneto common을 제외하고 Haymaker plus, Namoi, Cappelo, 자운영 및 야생헤어리베치는 월동이 잘 되었다. 1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가 4월 23일, Cappelo가 4월 24일, Haymaker plus가 4월 26일 이었다. 2년차 시험에서 50% 개화기는 Namoi와 Cappelo가 4월 12일 Haymaker plus가 4월 14일, 자운영이 4월 23일, Aneto common와 야생헤어리베치가 4월 30일 이었다 l년차 시험에서 건물수량은 Haymaker plus가 가장 높았으며(P<0.05), Cappelo와 Namoi는 Popany와 Victa보다 많았다(P<0.05). 2년차 시험에서는 Namoi, Haymaker plus, Cappelo 및 야생헤어리베치가 자운영이나 Aneto common보다 많았다(P<0.05). 조단백질의 함량은 비교적 높았으며 자운영과 Aneto common은 다른 베치 품종에 비하여 다소 낮았다. ADF 함량도 자운영이 낮았고 다른 베치 품종간에 유사하였다. 따라서 본 시험의 결과에 의하면 가을 파종용 베치 품종은 Haymaker plus를 선택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