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quarantin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6초

수출입 식물검역업체 근로자의 공기 중 Methyl Bromide 노출에 관한 연구 (Workers' Exposure to Airborne Methyl Bromide in the Exporting/Importing Plants and Products Quarantine Company)

  • 이현석;신용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2-40
    • /
    • 2008
  • Methyl bromide has been used as a representative fumigant for quarantine, and several poisoning cases have occurred recently by this chemical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orkers' exposures to airborne methyl bromide in the importing and exporting plant products quarantine companies. Air samples were collected 400/200 mg Anasorb 747TM and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 /flame ionization detector according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OSHA) Method PV2040. Geometric mean (GM) and arithmetic mean (AM) of total 27 workers' exposure concentrations to airborne methyl bromide were 1.12 ppm and 0.24 ppm, respectively. Two exposures(12.1 ppm and 12 ppm as 8hr-TWA) of total 27 workers' exposures exceeded the Korean standard (5 ppm) of Ministry Labor, while 4 exposures (15%) exceeded the Threshold Limit Value (TLV) (1 ppm) of American Conference of Governmental Industrial Hygienists (ACGIH). Seven samples (11%) of total 63 short-term air samples exceeded the OSHA Permissible Exposure Limit (PEL) 20 ppm (Ceiling). The opening (management) task in wood fumigation by tent showed the highest short-term exposure concentrations (AM: 18.6 ppm, GM: 0.58 ppm, maximum: 340.7 ppm). The maximum level in treatment task of the same process was 2.01 ppm. Methyl bromide concentrations in opening oper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reatment operation (p<0.05). In conclusion, the GM of workers' 8hr-TWA exposures to airborne methyl chloride in the importing/exporting plant quarantine industry was estimated below the ACGIH TLV (1 ppm). However, opening task in the fumigation of wood being covered with tent or fumigation of pant products in container showed the levels exceeding ACGIH TLV (1 ppm), and opening task in the fumigation of wood being covered with tent showed the level exceeding the Korean standard of Ministry of Labor (5 ppm).

목재문화재를 가해하는 막대바구미류(딱정벌레목, 바구미과)에 대한 보고 (Cossonid Weevils (Coleoptera: Curculionidae) Infested on Wood Cultural Properties)

  • 홍기정;오준석;이양수;박상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47-251
    • /
    • 2011
  • 막대바구미류는 대부분이 목재류를 천공가해하기 때문에 목재문화재에 피해를 주는 경우가 있다. 국내 목재류 문화재에서 발생한 막대바구미류를 정리한 결과, 자작나무막대바구미(Hexarthrum brevicorne Wollaston)가 2004년에 전북 전주시에 위치한 사적 제379호인 전주향교에 소장된 완영책판에 심각한 피해를 주었으며, 2007년에는 경남 밀양소재 박물관에 소장중인 반닫이와 2008년에는 서울 소재 박물관에 관복함, 전남 순천소재 사찰에 보관중인 경판에서도 발생되었고, 분비나무막대바구미(Rhyncolus sculpturatus (Waltl))는 2008년 서울 소재 박물관에서 소장된 목제(재)생활도구를 가해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중한 국가자산인 문화재를 해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보존과학분야에서 종합적인 해충 관리기술이 한층 요구되고 있다.

생산공정 현장실사를 통한 수입 집성재로부터 규제해충 검출 원인 조사 (Investigation on The Cause of Interception of Regulated Pest from Imported Glue-laminated Boards Through In-situ Inspection of Their Manufacturing Processes)

  • 김민지;신현경;최용석;;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17-621
    • /
    • 2016
  • 본 연구는 규제해충(이하 해충이라 칭함) 검출 건수 상위 3개국인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중국의 집성재 생산업체에 대한 현장실사를 통해 해충 검출 원인을 파악하여 검역 안전성 확보를 위한 적정 집성재 생산공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현장실사 결과, 수입 집성재로부터 해충 검출은 생산공정상의 문제(층재의 천연건조 또는 미흡한 열기건조, 건조 층재의 부적절한 보관, 집성재의 불완전 포장)로 확인되었다. 특히 중국은 오동나무 층재를 전적으로 천연건조하는 점을 비롯하여 생산공정이 전반적으로 가장 불량하였다. 향후 수입 집성재의 검역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수입업체 스스로 해외 생산업체에 층재에 기 서식하던 해충의 구제가 가능하면서 동시에 건조 층재나 완제품인 집성재에 대한 해충 가해를 예방할 수 있는 타당한 집성재 생산공정(층재의 적절한 열기건조, 집성접착 전까지 건조 층재의 밀봉 보관, 집성재의 밀봉 포장)의 적용을 요구하여 수입 집성재로부터 해충이 검출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 성충에 대한 포스핀의 훈증활성 (Fumigant Activity of Phosphine Against Three Wood Boring Beetles, Platypus koryoensis, Cryphalus fulvus, and Xyleborus mutilatus)

  • 조성우;김성일;김현경;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35
    • /
    • 2019
  • 많은 산림해충들은 목재검역에서 문제가 되고 있어 포스핀($PH_3$)을 이용하여 광릉긴나무좀, 왕녹나무좀, 노랑애나무좀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3종의 나무좀류에 대하여 99% 살충활성을 보이는 LCT값은 각각 3.192 (광릉긴나무좀), 0.994 (왕녹나무좀), $0.501mg{\cdot}h/L$ (노랑애나무좀) 순으로 나타났다. 포스핀을 처리한 3종의 나무좀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살충활성도 증가하였다. 특히 광릉긴나무좀에서는 0.4 mg/L 이상의 농도에서 약제처리 7일 후에 100%의 사충률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포스핀이 3종의 목재해충 성충에 대해 메칠브로마이드의 대체훈증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입원목의 해수수침소독에 있어 농약소요량 산출에 관한 연구 -원목의 부상부위표면적을 기준한 농약소요량 판단-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Standard Amount of Pesticide in Applying the Sea Water Dipping Disinfection Method for the Imported Soft Woods. -Estimation of the Required Amount of Pesticide on the Area of Lumber over the Sea Level-)

  • 하재규;김병호;신인균;김중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12-220
    • /
    • 1980
  • 이 시험은 도입남양재 원목에 부착 또는 서식하는 유해병해충의 방제를 목적으로 실시하는 해수수침소독에 있어 농약의 소요량기준을 설정함을 목표로 실시한 것으로써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에 도입되는 남양재 원목의 평균 길이는 11.12m이었으며 직경은 69.55cm이었다. 2. 원목의 전재적에 대한 부상재적은 평균 $20.82\%$ 이었다. 3. 원목의 전재적에 대한 부상표면적의 비의 값은 2.3356($95\%$ 신뢰수준)이었다. 4. 원목의 전재종 대 부상표면적에 대한 표본추출오차는 1본선내 원목간의 오차(0.2087)가 10본선간의 오차(0.2952)보다 적었다. 5. 원목 $1m^2$당 농약의 적정소요량은 수동식살포기를 이용하는 경우 0.368cc, 그리고 동력분무기를 이용하는 경우는 0.295cc이었다. 6. 예를 들어 남양재 원목 $5,000m^3$을 도입하여 동력분무기로 해수수침소독을 실시하는 경우 농약소요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5,000\;M^3\times2.333=11,678\;M^2$$ $$11,678M^2\times0.295=3,445cc$$.

  • PDF

초산과 젖산 혼합액에 의한 수출용 심비디움 검역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 효과 (Effect of Acetic and Lactic Acid Mixtures on Control of Quarantin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Exporting Cymbidium)

  • 서윤희;박지영;조명래;전재용;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7-233
    • /
    • 2014
  • 초산(acetic acid)과 젖산(lactic acid)의 혼합액(MX)의 심비디움 배양토에 오염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초산과 혼합액은 5.0-1.0% (pH 2.6-4.2)에서 젖산은 5.0%에서만 100%가까운 살선충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낮은 농도(0.5-0.1%, pH 5.1-6.9)에서는 초산과 혼합액보다 젖산에서 살선충력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대부분의 농도에서 혼합액의 살선충율이 초산과 젖산의 평균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혼합액의 살선충력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폿트실험에서 유기산 혼합액(0.5%, 0.25%), 살선충제(fosthiazate, 표준량, 배량) 및 길항세균(Paenibacillus polymyxa GBR-1) 배양 희석액($10^7CFU/ml$) 등의 처리에 의해 심비디움 배양토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밀도가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 후 시기별 pH와 2년생 심비디움의 생육에 무처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이들 식용 유기산의 안전성과 가격을 종합하여 볼 때, 심비디움의 재배 관리 중 생육단계에 따라 이 유기산 혼합액의 지속적인 사용은 검역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실제적으로 유효한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수출입식물 훈증 작업자의 브롬화메틸 노출수준 평가 (Assessment of Methylbromide Exposure Levels in Fumigation Workers on Import and Export Plant)

  • 정지연;이광용;조숙자;박승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0-57
    • /
    • 2020
  • Objectives: Methyl bromide is a highly toxic substance that can cause systemic poisoning, neurotoxicity, pulmonary edema. Methyl bromide is a widespread fumigation agent used for import and export quarantine, but there is little data on exposure assessment of workers participating in such fumig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xposure level of methyl bromide among workers and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methyl bromide in the workplace during fumigation. Methods: For this study, one wood tent and one container fumigation area in Pusan, and one wood tent fumigation area in Incheon were investigated over three months from June 2001. Results: Methyl bromide exposure levels for container fumigation workers were from undetected to 1.86 ppm and from undetected to 2.28 ppm for tent fumigation workers as an 8 hr TWA. After opening the container door, the methyl bromide concentration in the container decreased rapidly over time, but the concentration remained over 1 ppm even after about one hour. The concentrations around the tent during its removal were highly affected by wind, but were detected in a range from undetected to 11.97 ppm.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both container and tent fumigation caused workers to exceed the exposure limit of 1 ppm as an 8 hour TWA. In particular, it could be confirmed that a situation exists in which the worker may be exposed to high concentrations of methyl bromide when opening the container or removing the tent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working methods and to wear appropriat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유리알락하늘소를 포함한 14종 하늘소의 새로운 기주식물 보고 및 한국산 하늘소과(딱정벌레목: 잎벌레상과)의 기주식물 재검토 (A Review of Host Plants of Cerambycidae (Coleoptera: Chrysomeloidea) with new Host Records for Fourteen Cerambycids, Including the Asian Longhorn Beetle (Anoplophora glabripennis Motschulsky), in Korea)

  • 임종옥;정수영;임종수;장진;김경미;이유미;이봉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1-133
    • /
    • 2014
  • 직접적인 기주식물 조사와 기존 문헌자료의 기록을 재검토하여, 한국산 하늘소과(딱정벌레목: 잎벌레상과) 6아과 103속 181종의 기주식물 목록을 작성하였다. 유리알락하늘소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산겨릅나무가 확인된 것을 포함하여 총 14종의 하늘소와 기주식물 관계를 구명하였다. 기주식물로 44과 107속 170종 이상이 정리되었다. 이 중, 네 과(느릅나무과, 소나무과, 참나무과, 자작나무과)가 주요 기주식물 과(하늘소 기록 종수의 23% 이상 차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문헌들에서 기주식물과 하늘소류의 무효한 학명과 국명들은 현재 통용하고 있는 유효한 학명과 국명으로 수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