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od Material

검색결과 949건 처리시간 0.022초

산림바이오매스 부존 잠재량 및 임목생장량 분석을 통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 활용 국내산 Wood pellet 생산 가능량 예측 연구 (Estimation of the production potential of domestic wood pellets using unused forest biomass by analyzing the potential volume of forest biomass and the growth of forest trees)

  • 김상선;이봉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47-25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입되는 바이오매스를 대체하고 증가하는 국내 RPS의무비율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우드펠릿으로 사용가능한 국내 산림바이오매스 부존자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방법과 매년 추가로 성장하는 임목생장률을 기준으로 미이용 산림바이오매스의 양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임목가공 중 발생하는 부산물 중 20%를 우드펠릿 원료로 사용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두 가지 추정 방법으로 도출된 평균값을 기준으로 우드펠릿 생산 가능량을 예측 하였다. 그 결과 미이용 부산물은 2016년 199만 톤, 2020년 228만 톤, 2030년 308만 톤이 발생되고 원목가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임목부산물(피죽, 톱밥 등) 중 20%가 우드펠릿 원료로 활용될 경우 2016년 258만 톤/년, 2020년 295만 톤/년 2030년 398만 톤/년의 원재료가 추가되어 미이용 부산물과 원목가공 과정 중 발생되는 부산물로 생산 가능한 우드펠릿 양은 2016년에 274만 톤/년, 2020년 314만 톤/년 2030년 423만 톤/년의 우드펠릿이 생산 가능하다는 결과를 도출 하였다.

목질탄화물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Manufacture of Mineral Water with Wood Charcoals)

  • 신수정;김병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4호
    • /
    • pp.460-466
    • /
    • 2014
  •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의 제조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목탄의 무기성분 용출 및 수소이온농도 및 잔류염소흡착 성능을 조사하였다. 무기성분 용출은 탄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칼륨의 경우 용출량이 높아지나, 나머지 무기성분들의 경우 차이가 적었다. 무기성분 용출량은 각 수종에서 칼륨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다음으로는 나트륨, 칼슘 순으로 나타났고, 수종 간에는 칼륨의 경우 활엽수인 굴참남무와 버즘나무가 침엽수인 소나무, 낙엽송 및 잣나무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무기성분은 수종간 칼륨만큼 큰 차이는 없었으나 칼륨과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수소이온농도는 활엽수인 버즘나무($600^{\circ}C$의 경우 pH 8.5)와 굴참남무(pH 8.4)가 높게 나타났고, 낙엽송(pH 7.8), 소나무(pH 7.2), 잣나무(pH 7.0)가 앞의 두 수종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다. 염소제거량은 모든 수종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제거량을 나타냈고, 침엽수인 잣나무와 소나무가 활엽수인 낙엽송, 버즘나무, 굴참나무보다 높은 제거율을 나타냈다. 분말목탄과 각형목탄 간 무기성분 용출량 및 수소이온농도에서 차이가 없으므로, 목탄을 이용한 미네랄수 제조에는 분말목탄보다 제조도 용이하고, 용출 후 처리도 용이한 각형목탄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삼나무 열처리재의 물리 및 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Heat-treated Domestic Cedar)

  • 김광모;박정환;박병수;손동원;박주생;김운섭;김병남;심상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330-33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삼나무 재색제어에 적합한 적정 열처리 조건을 구명하고, 열처리에 따른 다양한 재질변화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국산 삼나무에 대한 온도제어 열처리를 통하여, $170^{\circ}C$ 이상의 열처리 조건에서 심변재 사이의 재색차이가 줄어드는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처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더 크게 나타났다. 열처리재의 평형함수율이 무처리재에 비해 50% 정도 낮아 목재의 사용과정에서 나타나는 수분에 의한 성능저하 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열처리가 부후균에 대한 내후성 증가에도 영향하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친환경 방부처리 기술로써 열처리의 적용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열처리재의 역학성능은 무처리재에 비해 대체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성이 감소함으로 인하여 충격휨흡수에너지는 크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열처리재의 용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물성 변화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열처리에 의한 물성변화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나 특별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화학성분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물성변화의 원인을 규명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A Two-stage Process for Increasing the Yield of Prebiotic-rich Extract from Pinus densiflora

  • Jung, Ji Young;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380-392
    • /
    • 2018
  • The importance of polysaccharides is increasing globally due to their role as a significant source of dietary prebiotics in the human diet.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maximize the yield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Pinus densiflor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was used to optimize a two-stage extraction process consisting of steam explosion and water extraction. Three independent main variables, namely, the severity factor (Ro) for the steam explosion process, the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circ}C$), and the ratio of water to raw material (v/w), were studied with respect to prebiotic sugar content. A Box-Behnken design was creat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se single-factor tests. The experimental data were fitted to a second-order polynomial equation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xamined using the appropriate statistical methods. The data showed that both the severity factor (Ro) and the ratio of water to material (v/w)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biotic sugar content.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two-stage process were as follows: a severity factor (Ro) of 3.86, a water extraction temperature of $89.66^{\circ}C$, and a ratio of water to material (v/w) of 39.20. Under these conditions, the prebiotic sugar content in the extract was 332.45 mg/g.

합판 적층재 가구의 유기적 조형을 위한 실물대 모델의 효율성 연구 (A Study on Laminated Furniture for Organic Form and Utility of Fullscale Model)

  • 김지건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319-327
    • /
    • 2008
  • As art of lamination by plywood got to be generally used, it became a suitable material for expressing live curves that were not able to be expressed on wood furniture made of plank and timber, as well as, openwork deep in curved space, heavy quality of material, and changing contour line-looking wave lines with different process angles. As an alternative, it would be good to build a full scale model, since it would provide practice in form-building and it would also provide a chance to correct the form. Less material can be used and reduce the cutting process by Properly trimming models made of soft formal structure such as Styrofoam Iso-pink and adhesive Styrofoam, and separating the layers and using them on shape cutting of plywood with the same thickness. And by attaching the model veneer that was used in shape cutting of the model and using it as a cutting guide, we can reduce the error of work and successively build the planned form. Since this study is about the need of a full scale model for a laminated wood model and an efficient process, this study concentrates more on process.

  • PDF

조선후기(朝鮮後期) 관영건축공사(官營建築工事)의 목부재(木部材) 생산(生産)과 물양산정(物量算定)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Wood Members and the Estimation of Raw Woods at the Government Managed Building Construction in the Late Chosun Dynasty)

  • 이권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0권1호
    • /
    • pp.25-40
    • /
    • 2001
  • Since the 17th century,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belonged to a period of rapid transition in many fields. As the building is a result produced on the basis of a society and economy, the general transition in a society is to be reflected into a pro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Therefore an understanding or estimate of a building can be guaranteed by research of a process of building construction. Economic base factors in its process consist of material, cost, manpower, and operation system, etc. to be committed to the construction.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duction of wood members and the calculation of the amount of raw woods in a process of woodwork in the construction of the government managed buildings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Construction reports, job slips, written estimate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To classify raw woods according to a standard size was aimed to a material management appropriately to apply each them to building size or its member size. The way to select a list of raw woods applicable to each member size, and to calculate the amount of the demanded wood was much more improved with 'Injungjeon-yeongkweon' in the year 1805 at the turning point than 'Hwaseong-seongyuk' in the year 1796. The improvement of material management brought to overcome a shortage of the amount supplied from forest preserve, and to a rationalization of building construction.

  • PDF

Sugges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Hanok)

  • Lee, Yunsub;Jin, Zhenhui;Seo, Nuri;Jung, Youngs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Summit Forum on Sustainabl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 /
    • pp.159-166
    • /
    • 2017
  • Recently, the wooden structure has been revived again as an eco-friendly structure technique. It is the counterattack of the wood material, which has become more recognized as a finishing material pushed by the concrete material in the rapid growth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is is a tendency of the construction market in the whole country. Perhaps this is a tendency to appear more strongly in Korea. It could be seen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with Korean's and the advanced constructed case of large-scale wooden structures in overseas. National wooden buildings show own characteristics such as construction methods, materials, and member dimensions of wood structures by country, which could be seen as a result of continuously developing their own technology. However, in Korea, despite its unique wooden structure and technology (Hanok; Korean traditional housing), it has not been developed continuously and treated it only as a living building exhibit. This is evidenced by the fact that only one percent of the building is constructed with traditional wooden building technology. Therefore, there are various efforts to modernize the traditional wooden structure technology, but it still does not reach the level of advanced wooden technology abro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ooden building market were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ways to develop the Korean wood structure technology. The characteristics of Hanok construction were analyzed through quantitative criteria to define the main development tasks for Hanok development to propose the long-term development path.

  • PDF

산불 피해목의 재질 변화에 관한 연구(I) - 동해안 산불 피해 소나무의 재질 특성 -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of Fire-killed Timber (I) - Mechanical Properties of Fire-killed Korean Red Pine in the East Coast Area -)

  • 박정환;박병수;심국보;조태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6호통권134호
    • /
    • pp.8-16
    • /
    • 2005
  • 산불로 인해 발생한 소나무 피해목은 귀중한 자원으로 활용가치가 있지만 과학적 근거가 없는 일반적 속설 때문에 이용이 기피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불피해목의 산업적 활용에 필요한 재질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2000년 동해안에서 발생한 산불피해지에서 산불피해 소나무를 피해등급 "심", "중", "경"으로 구분하여 공시목으로 채취하고, 이들에 대한 물리적, 역학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건전재와 비교하였다. 피해목의 육안적 현미경적 특성은 피해등급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역학적 성능과 화학적 조성분의 비교에서도 건전재와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부터 산불 발생 직후 산불피해목의 산업적 이용에 요구되는 재질상의 제약요인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궤도회로의 단자망 모델링 및 목침목 저항 특성 해석 (Network Modeling on Track Circuit and Analysis of Resistance Characteristic on Wood Sleeper)

  • 윤인모;김민석;고영환;이종우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565-569
    • /
    • 2010
  • 레일 밑에 놓이는 침목은 레일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침목의 저항은 레일의 전류 및 전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침목의 저항이 낮으면 레일 사이에 침목을 통해 폐회로가 형성되어 레일의 전류 및 전압이 감소한다. 이로 인해 궤도 계전기 동작에 문제가 발생하여 열차가 항상 궤도를 점유하게 된 상태로 유지된다. 현재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에서 사용하고 있는 목침목은 산화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방부제를 사용한다. 방부제 성분 중에 크레오소트가 있는데 이 물질은 탄소를 기저로 하는 화학물질로 변화된다. 도체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는 탄소는 목침목의 저항에 영향을 미친다. 크레오소트의 화학작용에 의해 발생한 탄소로 인해 목침목이 도체로써 작용하면 침목 간격마다 레일 사이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열차의 단락 전류 및 궤도회로 종단의 전압이 감소하여 궤도 계전기가 오동작이 발생한다. 본 논문에서는 목침목의 저항을 포함하는 궤도회로 4단자망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직선구간에서 목침목의 기준 저항 값을 제시하였다.

목재데크 소재의 차이가 시공성 및 하자발생에 미치는 영향 (How Different Material of Wood Deck Impact Workability and Defect Occurrence)

  • 이혁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1호
    • /
    • pp.463-469
    • /
    • 2020
  • 최근 여가시간의 증가와 건강에 대한 의식 변화에 따라 산림생태를 체험하는 트레킹문화가 대세를 이루고 있으며, 걷기 중심의 여가활동의 증가와 함께 목재데크를 활용한 탐방로가 여러곳에서 조성되고 있다. 목재데크가 활용되는 구간은 탐방로 중에서 위험한 지역이나 보존이 필요한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목재는 하자의 발생이 빈번하므로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목재데크의 소재별 차이점을 시공적인 측면에서 파악하고, 하자 발생원인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시공성도 좋으며 시공후의 안전성도 높은 소재와 시공방법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 결과, 목재데크는 종류별, 시공방법별로 시공성과 하자발생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