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with Disabilities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96초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Online-based Lifelong Education Program through Key Words Card Production and Class Demonstration on Job Preparation Skills for Workplace of Worke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김영준;권량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41-255
    • /
    • 2021
  • 본 연구는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이 시간제 발달장애 근로자의 직장출근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시간제로 식당사업체에 근무하고 있는 세명의 발달장애 근로자들이며, 이들이 거주하는 가정과 지하철역을 실험 환경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방법은 단일대상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초선, 중재, 유지를 실험의 설계 조건으로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핵심어 카드 제작 및 수업시연 온라인 평생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직장출근준비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구성된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이 상호간에 갖는 유의미한 기능적 관계가 타당하다는 측면을 논의 및 결론지을 수 있었다.

한국 장애학생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모델 융합 재구성: 학교-지역사회 연계 장애인평생교육지원체제 개발 타당성 관점 (Convergence Reconstruction of Transition Education Model for Korean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Feasibility View on the Development of Support System for Lifelong Education for the Disabled through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 김영준;김화수;권량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95-104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 장애학생을 위한 전환교육 모델을 융합 재구성하는 데 목적을 두어 실시되었으며, 궁극적으로 학교-지역사회 연계 장애인평생교육 지원체제 개발 타당성 관점을 제고하고자 하는 데 의의를 두어 역시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은 장애학생 전환교육 모델을 학령기와 성인기 간 연계 관점에서 구체화하고자 한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한 절차를 기초로 하여 전문가 회의를 병행하는 절차로 구성되었다. 연구 내용은 현행 특수교육 분야에 구축된 전환교육모델을 융합 재구성하기 위해 IEP-ITP-ILEP 간 연계교육이 특수교육과 장애인평생교육 간에 학교 중심, 지역사회 중심, 교육, 복지의 관점을 근거로 일관적 연계 타당성을 확보하는 차원으로 반영되었다. 이에 따라, 학령기 중심의 특수교육 분야에서 구축된 장애학생의 전환교육 모델이 학령기와 성인기 전환 시점의 단편적 접근 경향성을 최소화하고, 성인기 전체와 연계될 수 있는 표준 근거와 구성 체계를 제시함으로써 현행의 전환교육 모델을 내용 측면에서 융합 재구성하였다.

상지장애인을 위한 시선 인터페이스에서 포인터 실행 방법의 오작동 비교 분석을 통한 Eye-Voice 방식의 제안 (A Proposal of Eye-Voice Metho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lfunctions on Pointer Click in Gaze Interface for the Upper Limb Disabled)

  • 박주현;박미현;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566-573
    • /
    • 2020
  • Computers are the most common tool when using the Internet and utilizing a mouse to select and execute objects. Eye tracking technology is welcomed as an alternative technology to help control computers for users who cannot use their hands due to their disabilities. However, the pointer execution method of the existing eye tracking technique causes many malfunc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gaze tracking interface that combines voice commands to solve the malfunction problem when the upper limb disabled uses the existing gaze tracking technology to execute computer menus and objects. Usability verification was conducted through comparative experiments regarding the improvements of the malfunction. The upper limb disabled who are hand-impaired use eye tracking technology to move the pointer and utilize the voice commands, such as, "okay" while browsing the computer screen for instant clicks. As a result of the comparative experiments on the reduction of the malfunction of pointer execution with the existing gaze interfaces, we verified that our system, Eye-Voice, reduced the malfunction rate of pointer execution and is effective for the upper limb disabled to use.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조인숙;류현숙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1권1호
    • /
    • pp.46-54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 양육스트레스 및 자아존중감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 8주 동안 K시의 언어치료실을 내원하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를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참여의 자발성 및 비밀보장 등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부모에게 구조화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우울은 자아존중감과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r=-.580, p = <.001)가 있었으며, 우울과 양육스트레스는 정적 상관관계(r=.406, p = <.001)가 있었다.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beta}$=-.365), 양육스트레스(${\beta}$=.297), 가족의 수입(${\beta}$=-.205)이 장애아동 어머니의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예측 변인으로 확인되었다(F=16.170, p <.001). 즉 장애아동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가족의 수입이 많을수록 우울이 낮았으며 이들 변수들로 총 38.7%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장애아동의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우울 정도는 낮아지므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돌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장애아동의 어머니에게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우울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 Study on the Activation Strategies of the Inclusive Education and Disability Empathy Culture in the Information Society

  • Park, Sa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67-175
    • /
    • 2020
  •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받는 장애학생들이 좋은 친구와 어울리고 각종 학교·학급행사에 적극 참여하며 잘 지낼 수 있도록 정보 공유 및 소통, 범사회적 장애공감문화 조성을 통한 통합교육 활성화 방안에 관해 문헌연구를 통해 살펴보았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일반학생들의 도우미 봉사활동 측면에서, 장애공감문화 조성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 의미와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기술한다. 둘째, 담임교사의 학급 운영 측면에서, 장애공감문화 조성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 의미와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기술한다. 셋째, 특수교사의 역할 측면에서, 장애공감문화 조성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 의미와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기술한다. 넷째, 학교관리자와 교육행정기관의 지원 측면에서, 장애공감문화 조성을 위한 통합교육 지원 의미와 역할 및 활성화 방안을 기술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장애학생들이 정보사회에서 통합교육을 잘 받고 지역사회로 통합되는 데 필요한 장애공감문화를 확산하고 통합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분석과 직무만족도 (Working Patterns and Job Satisfaction in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 김진학;송민선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78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requency and duration of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ork, an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o confirm differences in work and job satisfaction by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Methods: Work frequency, duration of work, and job satisfaction were estimated by 371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working patterns and job satisfaction by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Results: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ere found to spend more time working with the elderly population than with students, pregnant women, childr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ose in costal areas were more concerned with students than those working inland. In the latter group of practitioners, more time was spent working with patients with chronic diseases, pregnant women, women, childr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ental health clients. Also, the job satisfaction of inland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ostal practitioner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imary health practitioners' work, focusing on changes in the medical service environment.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job training according to type of primary health care post, as practitioners' approaches should differ between posts.

관절염을 앓고 있는 여성들의 신체활동 장애와 우울감 사이 의존성의 매개효과 (Physical disability, perceived dependence and depression in women with osteoarthritis)

  • 박기수;양현수;김보경;전혜지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0권4호
    • /
    • pp.221-227
    • /
    • 2015
  • 본 연구는 관절염 환자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제한, 이러한 활동에 대한 상대적 의존성 그리고 우울감 사이의 관련성을 매개효과를 밝히고자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여성 농업인 중 관절염을 앓고 있다고 응답한 자 중 209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조사 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관절염으로 인한 세 개의 활동영역(개인의 신변활동, 집안일, 거주지에서의 이동성 등)은 활동제한이 우울감에 직접 관련이 있다기 보다는 활동제한으로 인해 의존성이 발생되고 결과적으로 우울감이 발생되는 경로를 보여 의존성을 개선하였을 경우 우울감이 줄어들거나 극복될 수 있으며, 여가생활에 대한 활동제한은 우울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어 관절염환자들의 활동제한 중에서 무엇보다도 여가생활의 제한은 우울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환자들에게서 여가생활을 적극 장려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관절염환자들의 자기관리능력 함양, 보조 기구 지급을 통한 의존성의 개선은 이들 환자들의 우울감 개선이 될 것이다.

문서 편집 접근성 향상을 위한 음성 명령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개발 (Voice Activity Detection Algorithm using Wavelet Band Entropy Ensemble Analysis in Car Noisy Environments)

  • 박주현;박세아;이무늬;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1342-1352
    • /
    • 2018
  • Voice Command systems are important means of ensuring accessibility to digital devices for use in situations where both hands are not free or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terests in services us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have been increasing.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bile writing application using voice recognition and voice command technology which helps people create and edit documents easily. This applic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minimization of the touch on the screen and the writing of memo by voice. We have systematically designed a mode to distinguish voice writing and voice command so that the writing and execution system can be used simultaneously in one voice interface. It provides a shortcut function that can control the cursor by voice, which makes document editing as convenient as possible. This allows people to conveniently access writing applications by voice under both physical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여성 척수장애인의 체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y on the Lived Experience of Korean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 황혜민;이명선;박은영;권은진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508-51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essences and structures of the experience of Korean women who have had a spinal cord injur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in 2010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using open-ended questions. A total of 9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interview lasted about 2 hours.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phenomenological analysis. Results: Five theme clusters emerged from the analysis using Colaizzi's method: frozen mind with rigid body; shame due to restrictions of physical function and dependency; struggle to go back to the previous normal body; disabilities that are noticeable in everyday family life; rebirth by discarding the obsessions of the past. These theme clusters illustrate that although most participants faced very strange and unbearable situations in most aspects of life after the injury, they were empowered finally by finding their hope and by giving new meanings to the current existence.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deep understanding of women with spinal cord injuries who are relatively alienated from societ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health professionals could develop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s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these women.

뉴로피드백 훈련 프로그램(생기능자기조절 훈련)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Effects of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me in Korea)

  • 정문주;채은영;강형원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7-167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Neurofeedback training programme (NFT), and systematically search for factors related to the NFT.Methods: This study applied meta-analysis to thesi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 total of 42 papers published between 2001 to August in 2015 were evaluated, which were selected through a database search.Results: Summarizing the evaluation, the quality of results was low. The meta-analysis revealed that the effect size of the neurofeedback programme training was 0.691, over the median. Also,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neurofeedback programme training effect, and were consistent with the subject characteristics, their disabilities/non disabilities, and level of education. The results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neuro-feedback programme training effect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training method), the sessions per a week, total sessions, and training time.Conclusions: The RoBANS result of 42 studies is at a risk of being highly biased. However, statistically, the meta-analysis result of the factors evaluated is significantly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