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students

검색결과 2,481건 처리시간 0.039초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Music in Mood Regulation)

  • 이정윤;김민희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9-1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방략이 개인의 감정 경험과 실제로 관련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러한 방략을 사용하는 개인의 경향성이 성격특질, 음악 교육 경험, 성별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탐색하였다. 대학생 52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음악 사용 기분조절 척도, 성격5요인 척도, 정적/부적 감정 목록, 음악 교육 경험 여부에 관한 설문지를 실시하고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으로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과 개인차 변인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것은 부정적인 감정 완화보다는 긍정적인 감정 향상과 더 큰 연관성을 보였으며 평상시의 감정 상태보다는 음악을 감상하고 있을 때의 감정 상태와 더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악 교육을 받은 경우가 받지 않은 경우보다, 여성이 남성보다 유의하게 음악을 사용하여 기분을 조절하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성격5요인 중 음악 사용 기분조절 방략과 전반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특질은 우호성과 경험에 대한 개방성이었으며, 성실성과 신경증 성향은 일부 특정 방략 사용만을 예측하였다. 위의 결과를 통해 음악을 듣는 것이 효과적인 기분조절 방략이며, 부적 감정 완화와 정적 감정 향상 목표를 달성하여 개인의 정서적 안녕감 및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이러한 효과가 개인 특성에 따라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임피던스 분석을 활용한 사상인의 신체계측 연구 (Analysis on Physical Traits of Sasang Types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 이수진;박수현;고유선;박수진;엄일규;김병철;김영인;백진웅;김명근;권영규;채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33-43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ircumference of four body parts of each Sasang groups with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and evaluate its usefulnes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e obtained the circumference measures of neck (CN), chest (CC), waist (CW), and hip (CH) of 91 college students using BIA and standardized by sex and age. The validity of Sasang group prediction with CC was evaluated. The Tae-Eum group (104.87${\pm}$5.19, 108.47${\pm}$4.96, 116.00${\pm}$9.39, 110.4${\pm}$5.29. neck, chest, waist and hip, respectively) has significantly (p<0.001) bigger circumferences than So-Yang (97.79${\pm}$3.82, 100.02${\pm}$4.21, 101.02${\pm}$7.88, 101.95${\pm}$4.06) and So-Eum (95.63${\pm}$4.67, 96.93${\pm}$4.80, 97.63${\pm}$7.72, 99.86${\pm}$4.40) groups at very four measures. Discriminant functions with CC can be used for Tae-Eum Sasang type diagnostic test with 91.2% of overall Percentage Correctly Predicted (PCP). Tae-Eum type-specific sensitivity was 73.3% and Tae-Eum type-specific specificity was 94.7%.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measurement and standardization methods for Sasang type diagnostic test, and the methods for the standardization of physical traits with sex and age were discussed. Our study showed distinctive physical features of Tae-Eum type and the usefulness of BIA for the Sasang type diagnosis.

흰깨, 검은깨 및 들깨가 고아미 2호를 이용한 쌀쿠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with Sesames(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 정영정;서한석;명정은;신정민;이은주;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85-792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ice cookies based on 'Goami 2' rice, and made with sesame (white and black) and perilla seeds. Furthermore, we studi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as well as the alternative effects of the sesames or perilla seeds for butter, where we substituted the sesames or perilla for 30% of the total butter. The pH values of the cookie doughs made with the sesames or perilla s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01), whereas the spread factors of the dough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Hunter color L-, a-, and b- valu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or the cookies made with the added sesames or perilla seeds (p<0.001). The brittleness of the Goami 2 rice cookies (contro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okies made with the sesames or perilla (p<0.001). In a descriptive analysis performed by 8 trained panelists, the following sensory characteristics: yellow, black, sweet taste, nutty taste, nutty odor, oily flavor, and off flav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cookie samples. In a consumer test by 50 women students, the Goami 2 rice cookies were preferred in the following order: Goami 2 rice cookies with no additions > black sesame cookies > white sesame cookies > perilla cookies. In conclusion, som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ookies were different, in relation to being made with or without the sesame or perilla seeds. However, because of the small difference in acceptance among the cookies, the sesame and perilla rice cookies show strong potentials for consumer acceptance. Moreover, the black sesame cookies were more acceptable in terms of butter substitution for the cookie preparation.

Complications and Carcinogenic Effects of Mustard Ga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in Iran

  • Panahi, Yunes;Gholami, Nasrin;Ghojazadeh, Morteza;Moslemi, Farnaz;Naghavi-Behzad, Mohammad;Azami-Aghdash, Saber;Ghaffari, Alireza;Piri, 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567-7573
    • /
    • 2015
  • Background: Catastrophic effects of mustard gas as a chemical warfare agent have always been a major problem for those exposed to this agent. In this meta-analysis it was tried to evaluate carcinogenesis, ocular, cutaneous and respiratory complications of mustard gas exposure among Iranians who had been exposed to this agent during the Iran-Iraq wa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meta-analysis, the required data were collected using keywords "mustard gas", "sulfur mustard", "cancer", "neoplasm", "respiratory complications", "ocular complications", "lung disease", "chronic complication", "eye", "skin", "cutaneous complication", "carcinogenesis" and their combination with keywords "Iran", "Iranian", "prevalence", "mortality" and their Farsi equivalent terms from the databases of SID, Iranmedex, Magiran, Pubmed, Science Direct, Google Search engine, Gray Literature and Reference of References.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each complication and perform meta-analysis, CMA: 2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with a randomized model was used. Results: Of the 542 articles found, 7 national articles, consistent with the aim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Meta-analysis of seven papers revealed that cancer risk, especially cancer of the respiratory system was elevated, so that the relative risk (RR) of cancer role of mustard gas was inconsistent from 2/1 to 4 in this survey. Also prevalence of delayed skin disorders due to sulfur mustard was 94.6%, pulmonary complications 94.5% and ocular complications 89.9%. The incidence of various cancers in victims exposed to mustard gas was 1.7% worldwide where the rate was 2.2% in Iranian victims of the Iraq-Iran war. Conclusions: Based on present study the prevalence of delayed mustard gas related cutaneous, pulmonary and ocular complications is above 90% and risk of carcinogenesis is higher in comparison to worldwide statistics. This may suggest need for long-term and persistent follow-up and rehabilitation procedures for populations exposed to this agent.

Endoscopic Findings in a Mass Screening Program for Gastric Cancer in a High Risk Region - Guilan Province of Iran

  • Mansour-Ghanaei, Fariborz;Sokhanvar, Homayoon;Joukar, Farahnaz;Shafaghi, Afshin;Yousefi-Mashhour, Mahmud;Valeshabad, Ali Kord;Fakhrieh, Saba;Aminian, Keyvan;Ghorbani, Kambiz;Taherzadeh, Zahra;Sheykhian, Mohammad Reza;Rajpout, Yaghoub;Mehrvarz, Alirez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407-1412
    • /
    • 2012
  • Background & Objectives: Gastric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in both sexes in Iran.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upper GI endoscopic findings among people > 50 years targeted in a mass screening program in a hot-point region. Methods: Based on the pilot results in Guilan Cancer Registry study (GCRS), one of the high point regions for GC-Lashtenesha- was selected. The target population was called mainly using two methods: in rural regions, by house-house direct referral and in urban areas using public media. Upper GI endoscopy was performed by trained endoscopists. All participants underwent biopsies for rapid urea test (RUT) from the antrum and also further biopsies from five defined points of stomach for detection of precancerous lesions. In cases of visible gross lesions, more diagnostic biopsies were taken and submitted for histopathologic evaluation. Results: Of 1,394 initial participants, finally 1,382 persons (702 women, 680 men) with a mean age of $61.7{\pm}9.0$ years (range: 50-87 years) underwent upper GI endoscopy. H. pylori infection based on the RUT was positive in 66.6%. Gastric adeno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of esophagus were detected in seven (0.5%) and one (0.07%) persons, respectively. A remarkable proportion of studied participants were found to have esophageal hiatal hernia (38.4%). Asymptomatic gastric masses found in 1.1% (15) of cases which were mostly located in antrum (33.3%), cardia (20.0%) and prepyloric area (20.0%). Gastric and duodenal ulcers were found in 5.9% (82) and 6.9% (96) of the screened population. Conclusion: Upper endoscopy screening is an effective technique for early detection of GC especially in high risk populations.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valuate cost effectiveness, cost benefit and mortality and morbidity of this method among high and moderate risk population before recommending this method for the GC surveillance program at the national level.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졸자 고용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Employment Type of The Graduates by Data-mining Approach)

  • 김형래;전도홍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167-174
    • /
    • 2012
  • 데이터마이닝 기법은 대량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고용정보 분야 등 다양한 분야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대졸자 실업, 여성 재취업, 고령자 취업 등의 불안정한 고용형태가 사회적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고용 안정성을 높이려는 다양한 공공 고용서비스의 노력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졸자의 고용형태(상용직, 무직자, 일용직 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개인생활 환경 또는 학교생활 측면에서 분석한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취업 지원과 대학생의 취업 준비를 지도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사회 조사 분석은 다양한 요인과 방대한 데이터양으로 인해 일반적 통계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170여개의 속성들 간의 관계 분석과 2만여 개의 응답데이터를 다루기에는 데이터마이닝 기법이 유용하다. 본 연구는 고용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생활 요인, 개인환경 요인, 또는 직장생활 요인으로 구분하고, 의사결정 알고리즘을 통해 연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 부모님의 소득, 결혼 여부 속성과 같은 개인 환경요인이 개인의 고용형태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의사결정구조 모델은 87%정확성을 보였다. 학교생활 요인으로는 대학 소재 지역으로 추정되는 학교수준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Curriculum of Universiti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Hwang, Eui-Chul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1호
    • /
    • pp.229-238
    • /
    • 2020
  •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포스트 코로나는 국내외 국가들의 정보통신기술(ICT) 시대를 앞당겨 대학의 교육과정·교육내용·교육방법에 대한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본 논문은 최근 4년(2016.6~2020.5)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BigKinds와 네이버의 DataLab 시스템을 이용하여 대학의 교육과정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대학 교육과정 혁신·창의·융합'의 키워드로 검색된 633건의 관계도 분석, 월별 키워드 트렌드, 연관어 분석으로 다음의 3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계도 분석결과 최근 4년(2016~2020)간 빈도수(1~7위)는 교육부(190), 산업혁명(154), 시스템(137), 진로(136), 글로벌(131), 스마트(97), 재학생(95)순이었다. 둘째, 연관어 키워드 빈도수로는 인재양성(136), 산학협력(119), 교육부(86), 특성화(69), LiNC(62) 순으로 대학의 인재양성을 위해서는 정부(교육부)의 지원과 인재양성, 산학협력, LiNC, 특성화의 중요성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 교육의 패러다임은 4차 산업혁명의 인공지능 환경으로 특성화·산학협력·스마트·글로벌화의 방향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창의인재를 육성하는 미래의 교육방향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었다.

학습자 인식 분석을 통한 여성 공학교육 방향 탐색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Exploring the Direction of Woman Engineering Education by the Analysis of Learner's Recognition)

  • 허균;원효헌;이운식
    • 공학교육연구
    • /
    • 제10권3호
    • /
    • pp.21-37
    • /
    • 2007
  • 정보화 사회에서 여성의 사회 참여와 인적 개발은 국가 경쟁력 강화의 필수 요건이 되었다. 최근 공학계열에서도 꾸준히 여성 인력이 늘어나고 있으며, 여성들의 특성인 섬세함과 정확성은 공학인으로 성공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하지만, 공학교육에서 여성을 위한 제도나 환경적 배려가 없는 실정이며, 여성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체계적 연구들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여성공학교육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 공학교육에 대한 인적자원개발적 맥락 관점과 교수학습 방법적 관점에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학교육에 대한 학습자 인식 분석과 전문가 협의 등을 통한 여학생 공학교육의 현황과 앞으로 나아갈 방향에 대한 권고사항들을 제안하였다. 399명(남: 206명, 여: 193명)의 P 대학 학습자 인식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a)교과이론 이해도, (b)만족도, (c)동기, (d)학습 능력, (e)부모 기대, (f)수업 즐거움, (g)교과 성적 기대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권고사항을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동기적 영역, 교수학습 전략 및 환경 제도 개선 영역의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여성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단초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한다.

2005년 치과기공사의 흡연실태와 의식조사 (Research on consciousness of the dental technicians about smoking realities-2005)

  • 박용덕;황경숙;김남중;강종오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1-1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smoking of dental technicians in 2005, and we have distributed questionnaires about smoking in 2005-KDTA general meeting and analyzed them. All 555 respondents who attended KDTA general meeting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However we dismissed 41 because of invalidness, so we got 504 people. Therefore, we have got conclusions below: 1. The rate of smokers who attended in 2005 KDTA was 33.93%, 46.3% in men, 1.44% in women. When we compared to other specialist groups, the rate of dental technician smokers was higher than them. 2. When we analyzed the ages of first smoking, 55.56% of the people started to smoke when they were in 24 years old. This result was very similar to the rate of dentist smokers in 2005 KDA research. 3. According to the answers of smokers and people who wire smokers in the past about quitting smoking period and willness in future, 60.82% among all members failed to quit smoking and also 69.2% among all members did not leap over 3 months but, they have thought to quit smoking for 6 months. 4. According to the answers about antismoking training related to environment in dental and clinical labs, most dental technicians(92.66%) have never been trained, also 37.70% among all members have not fulfilled their duty at self office. They have not recognized the danger of the indirect smoking. 5. When we asked chiefs in dental and clinical labs, the reason why they, didn't do the antismoking training their staffs, 32.1% of them replied that they were so busy, and 42.13% did because of their staffs, abhorrence and needlessness. 6. As Pan-dentistry members, over 80% agreed to the thought of the antismoking, also had medical knowledge about smoking. So we have the conclusion that dental technicians have identification as the Pan-dentistry members. 7. Most dental technicians expected KDTA to play a role about the antismoking training for their members. We have two suggestions to KDTA about the antismoking problem for members according to above conclusions. First, KDTA should prepare the antismoking training in the curriculum. Second, KDTA should support the antismoking programs of schools for students.

  • PDF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Predictor Variables in Science Teaching of Practicing Elementary Teachers)

  • 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71-683
    • /
    • 2003
  •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서 교과교육학지식과 이와 관련된 유의미한 예측변인을 조사하였다.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로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에서 교과교육학지식-교수법지식, 표현지식, 내용지식, 평가지식, 학생지식, 교육과정지식-을 조사하였다. 예측변인을 조사하고자 교사들의 학력, 경력 년 수, 과학전담교사 선택여부,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과학교수 결과기대감, 과학 교수법, 과학교수태도에 관한 문항을 함께 조사하였고, 이를 위하여 332명의 초등현직교사가 참여하였다. 분석방법은 피어슨 상관계수와 중다회귀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는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모두 과학교수 자기효능감, 과학교수법, 과학교수에 대한 태도, 교사들의 경력 년 수로 나타났으며 모두 양의 방향을 가졌다. 이는 과학교수에 대한 자신의 능력에 신뢰감이 있는 교사일수록, 과학교수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지시적인 교수법보다 비지시적인 교수법을 사용하는 교사일수록, 또한 교사들의 경력 년 수가 많을수록 6개 영역의 교과교육학지식이 모두 많은 것으로 결론 짓는다. 경력 년 수가 적은 예비교사나 초임교사들의 교과교육학지식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방안을 구성할 때 교과교육학지식을 설명하는 위와 같은 예측 변인들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고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