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men in labor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26초

조기진통 임부의 입원 후 스트레스와 간호요구 변화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after Hospitalization in Preterm Labor Women)

  • 김민경;이영휘;조인숙;임지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4-31
    • /
    • 2009
  •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 of stress and nursing needs in preterm labor women after hospitalization. Method: Forty seven women with preterm labor who were admitted in two university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they were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on admission day and 5th day after admission. Questionnaires included in modified Antepartum Hospital Stressor Inventory (AHSI) and Nursing Needs for Preterm Lab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test. Result: The stress level was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spitalization. Among them, the stresses about fetus and medical staff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spitalization, but those about pregnant women, husband and environmen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hospitalization.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nursing needs between the two different days was not significant except the physical needs. The total level of stress and nursing need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on the 5th day after hospitalization.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tress and nursing needs of preterm labor women undergo changes after hospitalization. Therefore, development of the program being followed by stressors which change from day to day and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in order to examine the decreasing of the stress.

  • PDF

분만지지간호에 대한 개념분석 (A Concept Analysis of Labor Support)

  • 채미영;박호란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8-149
    • /
    • 2018
  • Purpose: To identify and clarify the concept of labor support. Methods: This study used Schwartz-Barcott & Kim's hybrid model to identify the main attributes and indicators. In the fieldwork stage, data were collected in Seoul and Chenmam, Korea. The participants were five nurses working in the delivery room and four women who delivered more than two children by vaginal delivery. Results: The concept of labor support was found to have nine attributes and 23 indicators in two dimensions. For the physical intervention dimension, five attributes were derived. They were pain relief, selective use of technology, ambulation/positioning, physiological pushing, and increasing comfort. For the labor support practices dimension the attributeswereprovidinginformation, relief and encouragement, family support, and presence. Conclusion: The concept analysis of labor support in this study could provide guidelines for 'labor support' nursing practice and be useful for research in the women's health field.

요가중심 산전프로그램이 체외수정 시술 임산부의 스트레스, 불안, 분만 자신감 및 분만통증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in Pregnant Women with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 심정신;이영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9-376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the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of pregnant women who had in vitro fertilization (IVF) treatment. Methods: A quasi experimental study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and meditation program were between January 9 and August 31, 2009. Forty-six women who were pregnant following IVF, and were between 12-20 weeks gestation, participated in the study (23 experimental group, 23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ANCOVA, and Cronbach's alpha coefficients with the SPSS 12.0 for Windows Program. Results: Although the sample size was limited, wom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tress, anxiety, labor pain, and labor confidence for women pregnant after IVF. Conclusion: The result indicate that this 12-week Yoga-focused educational program can be utilized for women pregnant following IVF to reduce their stress, anxiety, and labor pain, and to increase delivery confidence. It is suggested that the Yoga-focused educational program be offered to every pregnant woman.

A study on the impact of impoverished and disabled women's entry into the labor market - Focusing on the level and type of social capital -

  • Gull L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25-134
    • /
    • 2024
  • 본 연구는 빈곤 장애 여성의 사회자본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그 관계를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빈곤 장애 여성의 경우 경제활동을 위해 장애 여성들이 보유하거나 관계하고 있는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에 따라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 장애 여성이 보유하고 있는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이 노동시장 진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연구결과 빈곤 장애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에서는 규모가 크고, 밀도가 강할수록 노동시장 진입에 매우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자본 유형에서는 신뢰와 참여가 클수록 노동시장 진입에 매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빈곤 장애 여성의 사회자본 수준과 유형이 노동시장 진입에 미치는 주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판매직 취업기혼여성의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 개발을 위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for Development of Job Stress Questionnaire for Married Working Women)

  • 이윤정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89-103
    • /
    • 2004
  • One of the major health problems of working women is job stress according to many studies. However, existing job stress questionnaires are suitable for men and men's job environments only, and do not reflect emotional labor for sales peopl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find women's job stress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investigation are married working women in sales since they experience emotional labor in addition to physical and psychological labor and the work-family conflict is very important job stressor for them. The job stressor of married sales women was analyzed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After I had in-depth interviews with 20 married sales women, I identified 49 new concepts, 3 main categories and 17 sub categories. The results are like the following. 1. 3 main categories are job factor, aggravate factor, and compensate factor. 2. Job factor has 5 sub-categories including 'increasing of selling', 'emotional labor' and 'physical burden'. 3. Aggrabate factor has 6 sub-categories including 'work/family conflict', 'relationship with higher office' and 'relationship with a fellow worker' 4. Compensate factor has 6 sub-categories including 'opportunity of employment', 'discrimination', and 'prestige' Consequently this study newly found some major job stressors for married working women in sales department.

  • PDF

기혼여성의 노동공급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abor Supply for Married Women)

  • 김지경;조유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5-2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the process for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and the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he emperical specification was deduced as a function of husband's income, assets, education and age, the number of children and home ownership. The data of this research was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in 1998. The data consisted of the answers by 200 married women. For the measurement of the emperical specification, Logit, Tobit, and Selection Bias Corrected Regression which modifies selection bias were used. Although several different discussions can made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method, the emperical result of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labor supply of married women is explained by husband's income, assets, the level of education and work experience.

  • PDF

임부의 조기진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Preterm Labor)

  • 류경희;신혜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0-149
    • /
    • 200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ere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preterm labor.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7 women admitted to two obstetric hospitals in Kyunggi-do Province with preterm labor. Data was collected with MP3 records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ed observ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Giorgi(1985) method. Results: The results wer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s follows: 1) Inappropriate coping: unexpected event, overwork, lack of insight of preterm labor, 2) Burn out: multiple role, burden, role conflict. 3) Restrictions of lifestyle: uncomfortable hospital environment, wearisomeness, limitations of personal hygiene, 4) Physical discomfort: headache, flush, tremor, palpitations, 5) Psychological distress : concerns about fetus health status, fear of possible preterm delivery, lack of information, financial worries, 6) A transition to new lifestyle: share of household chores, communication with self-help group, careful lifestyle.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offer a better understanding of women's preterm labor experiences and suggest clues to nurses on how to improve the care they provide.

  • PDF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를 중심으로 본 한국의 에스닉(ethnic) 노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Ethnic Labor in Korea: Focused on Interpreting and Translation Job of Marriage Migrant Women)

  • 김경희;허영숙
    • 아시아여성연구
    • /
    • 제53권2호
    • /
    • pp.75-110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들의 새로운 직업인 통번역사의 창출 배경과 노동 경험을 분석하여, 통번역사 노동이 가진 에스닉 노동의 성격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인 통번역사의 에스닉화된 노동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의 창출 배경은 차별배제적 성별화된 한국 이주정책의 특성에서 찾을 수 있다. 외국인 노동자들에게는 정주가 부인되고 취업이 제한되는 반면, 결혼이주여성은 한국 가족에의 편입을 전제로 한 포섭과 지원의 대상이기 때문에 통번역사로 고용될 수 있는 것이다. 둘째, 통번역사라는 직업은 이주노동시장에서 비교적 좋은 일자리로 인식되지만, 실제 노동조건은 한국 노동시장 내에서 저임금과 불안정 고용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닉 층화구조의 하층에 위치하고 있다. 셋째,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들은 이주노동자와 결혼이민자들에게 자신의 이주 경험과 언어 자원을 서비스로 제공하는 중립적 통역자이기도 하지만, 실제 노동과정에서 선주민의 차별과 불신을 경험하면서 그들의 대변인으로서의 역할과 자신 또한 이주여성이라는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을 겪는다. 결론에서는 직업으로서의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사의 지속 가능성을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와 노동시장 전망에 대한 쟁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한국 노동시장에서 여성교육의 저활용: 거시적 차원의 설명 (Under-Utilization of Women's Education in Korean Labor Market: A Macro-Level Explanation)

  • 이미정
    • 한국인구학
    • /
    • 제19권2호
    • /
    • pp.107-137
    • /
    • 1996
  • 한국 노동시장에서 고학력 여성의 낮은 취업률은 고급 여성인력의 낭비라는 비판과 함께 사회적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교육과 관련된 한국여성의 경제행위는 기존 미시경제학의 분석틀로 설명하기 어려운 현상이다. 외견상 모순되어 보이는 한국여성의 노동참여 유형을 설명하기 위해서 거시적 측면의 여러 요인들을 검토했다. 선진국의 경우 교육과 여성노동 참여는 명백히 정(正)의 관계로 나타나는 데 반해서 개도국의 경우는 그 둘간의 관계가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이들 개도국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점은 고학력 여성들은 저학력 여성들에 비해 훨씬 더 적극적으로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한국의 경우는 선진국이나 개도국 어느 유형에도 속하지 않는 특이한 경우이다.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교육효과는 다른 나라와 비교하여 아주 미약하며, 특히 두드러진 점은 고학력 여성들의 노동시장 참여율이 아주 낮다는 것이다. 거시적 수준에서 여성집단의 교육수준 향상이나 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변화가 여성의 교육 수준 향상이나 여성의 사회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변화가 여성의 경제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가 있었다. 필자는 몇 가지 사례를 제시하면서 이 두 요인이 고학력 여성의 노동시장 참여를 유도해 내는 데에 아주 중요한 요인이라는 기존의 논의를 반박하면서, 여성노동에 대한 수요의 급증이 그 어느 요인보다도 중요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여성노동시장 참여에 대한 교육효과가 낮은 이유는 노동시장에서 기혼여성에 대한 차별로 많이 설명될 수 있다. 기혼여성에 대한 차별은 화이트칼라직에서 더 체계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직종은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여성들을 위한 것이어서 고학력 여성의 취업의 기회를 제한한다. 선진국의 과거에도 노동시장에서 기혼여성에 대한 차별은 존재했다. 그러나 산업발전과 더불어 증가한 비육체노동직은 여성노동력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특히 그 중 고학력 여성의 노동수요 증가가 두드러졌다. 요약하면, 한국의 경우 풍부한 고학력 남성노동력의 공급과 비육체노동직에서 여성노동에 대한 수요의 완만한 증가로 여성노동참여에 관한 교육의 효과는 미미할 수 밖에 없다.

  • PDF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과 사실 규명의 과제 (Forced Mobilization of Women during the wartime general mobilization system and the task of Finding Facts)

  • 강혜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336-342
    • /
    • 2021
  • 일본제국주의는 1937년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면서 전시총동원체제를 구축해 나갔다. 전시총동원체제기에 접어들면서 일제는 여성들의 노동력에 주목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로도 여성들을 동원하였다. 식민지 조선은 물론 국외의 여성들까지 근로보국대, 여자근로정신대 등으로 강제로 동원되었다. 여성들은 가내 노동은 물론 이미 동원된 남성들의 노동을 대신해야 했으며, 동시에 강제로 전쟁을 위해 동원되는 열악한 상황에 처했다. 여자근로정신대의 동원은 관청의 알선, 모집, 자발적인 지원, 학교나 단체를 통한 선전, 취업 사기, 강제나 협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 강제적 여성 동원의 대표적 희생자였던 여자근로정신대 문제는 개별적으로 소송이 진행되며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남아 있다. 전시총동원체제기 여성의 강제동원에 대한 실체를 밝히기 위해서는 관련 기구를 통해 지속적인 연구와 사회적 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