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re-saw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External dose assessment for workers dismantling the bio-shield of a commercial power nuclear reactor: Case study of Kori-1, Korea

  • Lee, ChoongWie;Lee, Donghyun;Kim, Hee Reyoung;Lee, Seung J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9호
    • /
    • pp.2085-2091
    • /
    • 2020
  • The license for Kori-1, the first commercial reactor in Busan, Korea, was terminated in June 2017; therefore, preparations are being made for its decommissioning. Because the radioactivity of Bio-shield varies greatly throughout the structure, the doses received by the workers depend on the location, order, and duration of dismantling operations. Thus, a model for evaluating the worker external dose during the dismantling of the Kori-1 bio-shield was developed, and work scenarios for dose assessment were designed. The Dose evaluation code VISIPLAN was used for dose assessment. The dose rate around the bio-shield was evaluated and the level of exposure to the operator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work scenario. The maximum annual external dose was calculated as 746.86 mSv for a diamond wire saw operator under dry cutting conditions, indicating that appropriate protective measures, such as changing dismantling sequence, remote monitoring, shield installation, and adjustment of work team are necessary for the safe dismantling of the bio-shield. Through these protective measures, it was found that the worker's dose could be below the dose limit.

다이아몬드 분말상에 무전해 Ni-B 도금을 위한 계면활성제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in Electroless Ni-B Plating for Coating on the Diamond Powder)

  • 양창열;유시영;문환균;이정호;유봉영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7-182
    • /
    • 2017
  • The properties of electroless Ni-B thin film on diamond powder with different parameters (temperature, pH, surfactant etc.) were studied. The surface morphology, structure and composition distribution of the Ni-B film were observed by field effect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energy-dispersive spectrometer (EDS), X-ray diffraction (XRD) and Auger electron spectroscopy (AES). The growth rate of Ni-B film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bath temperature. The B content in Ni-B film was reduced with increase of bath pH. As a result the structure of Ni-B film was changed from amorphous to crystalline structure. The PVP in solution plays multi-functional roles as a dispersant and a stabilizer. The Ni-B film deposited with adding 0.1 mM-PVP was strongly introduced an amorphous structure with higher B content (25 at.%). Also the crystallite size of Ni-B film was reduced from 12.7 nm to 5.4 nm.

60kgf/$\textrm{mm}^2$급 C-MO계 와이어를 사용한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금속 인성 및 작업성에 미치는 플럭스 조성의 영향 (Effect of Flux Composition on Weld Metal Toughness and Workability in Submerged Aye Welding with 60kgf/$\textrm{mm}^2$ Grade C-Mo Type Wires)

  • 방국수;안영호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제14권6호
    • /
    • pp.93-100
    • /
    • 1996
  • Effect of a flux composition on weld metal toughness in submerged arc welding with 60kgf/$\textrm{mm}^2$ grade C-Mo type wires was investigated and interpreted in terms of weld metal microstructure and hardenability. Flux workability was also studied by characterizing a weld bead profile. Compared to other weld metals, .weld metal used alumina basic flux with nickel showed lowest oxygen content, highest hardenability and the most acicular ferrite. The highest impact toughness of that weld metal, however, was attributed to the tough matrix due to the nickel rather than to the larger amount of acicular ferrite. Manganese silicate flux had better workability than alumina basic flux, showing broader welding conditions resulting in a depth-to-width ratio of 0.5. The composition of oxides in the weld metal was dependent on the flux composition, showing MnO-SiO$_2$-TiO in manganese silicate flux and MnO-SiO$_2$-Al$_2$O$_3$-TiO in alumina basic flux. MnO-SiO$_2$composition in both oxides was similar to a tephroite.

  • PDF

사파이어 화학기계적 연마에서 결정 방향이 재료제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ystal Orientation on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in Sapphir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 이상진;이상직;김형재;박철진;손근용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33권3호
    • /
    • pp.106-111
    • /
    • 2017
  • Sapphire is an anisotropic material with excellent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is used as a substrate material in various fields such as LED (light emitting diode), power semiconductor, superconductor, sensor, and optical devices. Sapphire is processed into the final substrate through multi-wire saw, double-side lapping, heat treatment, diamond mechanical polishing, and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Among these,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is the key process that determines the final surface quality of the substrate. Recent studies have reported that th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d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hanges according to the crystal orientations, however, detailed analysis of this phenomenon has not reported. In this work, we carried out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of C(0001), R($1{\bar{1}}02$), and A($11{\bar{2}}0$) substrates with different sapphire crystal planes, and analyzed the effect of crystal orientation on the material removal characteristics and their correlations. We measured the material removal rate and frictional force to determine the material removal phenomenon, and performed nano-indentation to evaluat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the reaction. Our findings show that the material removal rate and frictional force depend on the crystal orientation, and the chemical reaction between the sapphire substrate and the slurry accelerates the material removal rate dur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수의학강좌 II: 최근 한우 성우에 제각대용으로 뿔커버를 시술한 요령, 사례 및 그 이점에 대해서

  • 류일선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46권9호
    • /
    • pp.816-821
    • /
    • 2010
  •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소에 있어서의 제각은 화학적인 소락제, 송아지 제각기 (tube calf dehorner), 전기인두, 톱 및 선거(線鋸; wire saw) 등을 이용하고 있으나, 제각 처치시 소에 많은 스트레스를 주고 있는 실정에 있다. 2001년도에 일본의 요우카이치시(四日市) 소재 냉동 및 냉장창고업을 하는 일신냉장고(주)에 근무하는 직원이 현내의 비육농장에서 제각하는 것을 보고, 생산자나 소비자로부터 이야기를 나누던 중, 점차적으로 소 사육농장에서 다두사육화가 되면서 우군 무리중에서 순위싸움으로 인해 외상을 입거나, 경쟁에 밀린 소는 사료를 제대로 먹지 못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다는 것에 착안하여, 끝이 뾰쪽한 뿔에 복싱 글러브(boxing glove)와 같은 커버를 장착하면 제각을 하지 않고 소 본래의 자연체형을 유지한 체로 안심, 안전, 위험방지가 가능한 소의 뿔 커버를 연구개발하게 되었다. 최초로 제작된 소의 뿔 커버는 고무 특유의 수축작용을 이용해서 소의 뿔에 장착하였으나, 소의 큰 압력에 눌려 하루도 못가 각상피(角上皮)와 같이 탈락하였으며, 그 후 약 3년간은 실패를 거듭한 끝에 4년째인 2005년 봄에 의외의 장소에서 힌트를 얻었는 데, 귀가시 가족중 우연히 이가 빠졌는 것을 보고, 소의 각돌기(角突起)의 각첨부(角尖部)에 고정하는 방법을 생각하게 되었다. 연구를 시작하면서부터 NOSAI 수의사들, JA 동일본조합사료 수의사, 전농축산 서비스 등의 도움을 받았으며, 이후 오리온기업육성기술개발지원사업에 채택되어 4년여간의 연구를 한 끝에 약 30초의 부착시간이 걸리는 1회성의 영구적인 소의 뿔 커버를 특허개발(2005년)하여 2008년도부터 판매하기 시작하여 거세 화우, 교잡종 화우암소, 화우 암소 등에 일본 전역에서 보급되어 시술되고 있다. 최근 수개월전에 제가 아는 지인이 일본서 뿔 커버 2두분을 직접 구입하여 왔는 바, 직접 한우 경산우 암소 2두에 극히 간편하고 쉽게 시술하였기에 소개하여 도움을 주고 저 한다.

  • PDF

원전해체 시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을 위한 밀기형 절단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Pushing Type Cutting Device to Dismantle Concrete Structure for Decommissioning of Nuclear Power Plant)

  • 이봉재;권용규;홍창동;이동원;민경남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3-111
    • /
    • 2020
  •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에 사용되고 있는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가 장착된 당김형 절단 장치의 단점을 개선하여 밀기형 절단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밀기형 절단장치에는 먼지 집진 커버가 부착되며 마찰열을 냉각하기 위한 건식이나 습식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개발된 절단장치의 동작특성과 집진 먼지의 누설률 측정을 실험하였다. 시험결과 원활한 동작특성을 보였으며, 먼지의 누설률은 1.7%인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절단장비를 사용하여 생물학적 차폐 콘크리트 절단 시 작업자의 내부 피폭선량을 평가하였다. 보수적 평가를 위해 노심 중심부분을 절단하는 경우를 가정하였다. 비방사능이 99.5 Bq·g-1인 누설 먼지로 인해 반면마스크를 착용한 작업자의 예탁유효선량은 0.25 mSv로 평가되었다. 개발된 밀기형 절단장비 사용 시 미량의 먼지 누설률로 인해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이 저감되며, 사용의 편리성으로 세부 절단 계획을 수립할 수 있어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 감량에도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원전의 방사화된 생물학적 차폐 콘크리트를 비롯하여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작업 시 절단 장비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공사 중 발생되는 콘크리트 폐수처리를 위한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의 적용 및 적정성 평가 (Application and Adequacy Evaluation of Mobile Sewage Treatment Facilities for Concrete Wastewater Treatment Generated during Construction)

  • 정우석;길경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1-98
    • /
    • 2023
  • 공사 중 발생되는 일부 콘크리트 폐수는 작업자, 관리자,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우수/오수관를 통해 유입되어 관리가 쉽지 않고 콘크리트 철거시 물과 결합되어 나오는 건설오니들은 일시적으로 소량 유출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건설오니는 관리가 되지 않는 상태로 비점오염원의 형태로 하천 및 우수/오수관에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도로상 기설치된 콘크리트 옹벽 철거공법에 D.W.S공법(Diamond Wire Saw)을 적용하였고, 이로 인해 발생된 콘크리트 오폐수를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을 통해 물리/화학적 처리를 실시하고 제거효율 및 유출수의 폐수배출 허용기준에 만족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에 공사중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을 통해 물리/화학적 처리로 BOD 73.5%, SS 89.1%제거를 통한 공사중 오폐수의 유출수 농도 기준을 만족하고자 한다. 또한 공사진행시 이동식 오수처리 시설을 통한 물리화학적 처리 및 공사중 발생되는 오폐수 처리에 대한 환경보전비 산정의 적정성 및 경제성 분석에 대해 검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