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ter mushroom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8초

느타리버섯 균주별 항산화효능 및 폴리페놀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oyster mushrooms)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1-315
    • /
    • 2014
  • 느타리버섯은 한국사람들에게 인기있는 버섯이며 새송이버섯, 팽이버섯과 더불어 대부분 많이 재배되어지는 버섯이다. 느타리버섯의 항산화 효능과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에서는 ASI 209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정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212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폴리페놀 성분은 대부분 7~10 mg/g 이었으며, 추출용매별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다.

Comparative Analysis of Expressed Sequence Tags from Flammulina velutipes at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 Joh, Joong-Ho;Kim, Kyung-Yun;Lim, Jong-Hyun;Son, Eun-Suk;Park, Hye-Ran;Park, Young-Jin;Kong, Won-Sik;Yoo, Young-Bok;Lee, Chang-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74-780
    • /
    • 2009
  • Flammulina velutipes is a popular edible basidiomycete mushroom found in East Asia and is commonly known as winter mushroom. Mushroom development showing dramatic morphological changes by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is scientifically and commercially interesting. To create a genetic database and isolate genes regulated during mushroom development, cDNA libraries were constructed from three developmental stag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in F. velutipes. We generated a total of 5,431 expressed sequence tags (ESTs) from randomly selected clones from the three cDNA libraries. Of these, 3,332 different unique genes (unigenes) were consistent with 2,442 (73%) singlets and 890 (27%) contigs. This corresponds to a redundancy of 39%. Using a homology search in the gene ontology database, the EST unigenes were classifi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molecular function (28%), biological process (29%), and cellular component (6%). Comparative analysis found great variations in the unigene expression pattern among the three different unigene sets generated from the cDNA libraries of mycelium, primordium, and fruit body. The 19-34% of total unigenes were unique to each unigene set and only 3% were shared among all three unigene sets. The unique and common representation in F. velutipes unigenes from the three different cDNA libraries suggests great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during the different developmental stages of F. velutipes mushroom.

팽이버섯의 배지조성에 따른 균사 배양 및 자실체 수량 비교 (Comparison of mycelial growth and fruiting bodies yield according to substrate in Flammulina velutipes)

  • 정종천;이찬중;문지원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7-121
    • /
    • 2014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용 배지의 혼합수준에 따른 전탄소(T-C), 전질소(T-N) 함량과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자실체 수량 등 재배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배지재료의 혼합비율을 달리하였을 때 팽이버섯의 경우 [콘코브75+미강20+건비지5] 배지에서 자실체 수량이 190.5 g/850 ml로 가장 높았으나(20.4% 증가), 균 배양기간이 28일로 대조구보다 8일 지연되었다(대조구 [미송톱밥75+미강25]: 수량 158.2g, 배양기간 20일). [미송톱밥75+미강20+건비지5] 배지는 팽이버섯의 자실체 수량이 172.7 g(9.1% 증가), 균 배양기간이 21일로 대조구보다 1일 지연되었다.

볏짚버섯속(Agrocybe) 보존균주의 여름철 인공재배시 재배 및 형태적 특성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of genus Agrocybe on Artificial Cultivation in Summer)

  • 정종천;석동권;김승환;전창성;이찬중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8
    • /
    • 2009
  • 국립원예특작과학원 버섯과에 보존하고 있는 볏짚버섯속(Agrocybe ) 30균주에 대하여 버섯발생 실험을 실시하고,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볏짚버섯속 균주중 톱밥배지를 사용한 병재배에서 자실체가 발생된 것은 19균주 이었다. 이중 ASI 19007 등 13균주(I; A. chaxingu )와, ASI 19003 등 5균주(II; A. cylindracea ), ASI 19008(III; Agrocybe sp.)로 그룹 지어졌는데, ASI 19008은 균배양기간, 버섯발생기간 등 재배적 특성과 자실체의 형태적 특징이 다른 2그룹과 차이가 많았다. 또한 재배 계절에 따라 재배적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봄, 가을, 겨울에는 ASI 19003 균주가, 여름에는 ASI 19007 균주가 수량이 많고 품질도 좋았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계절에 알맞은 품종의 선택을 통하여 볏짚버섯속균의 연중 안정생산이 가능하여 농가소득 증대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 PDF

맛버섯균의 균배양 특성 및 톱밥재배 기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sawdust culti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mycelial growth of Pholiota nameko)

  • 김홍규;김용균;서관석;오세현;김홍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2-67
    • /
    • 2006
  • 맛버섯균의 균사 배양을 위한 최적배지는 버섯완전배지(MCM), 최적균사 생장온도는 25 C, 최적pH는 5.0이었다.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한 탄소원은 GLUCOSE, MANNOSE, 질소원은 YEAST EXTRACT, PEPTONE 및 ASPARAGINE, 등 이었다. 톱밥 병재배시($850m{\ell}$) 30일 배양후 숙성일수에 따른 초발이소요일, 자실체 생육일 수 및 수량을 검토한 결과 숙성하지 않은 배양 30일 처리시 초발이소요일 15~20일, 병당 수량 79g인 반면 숙성일수가 가장 긴 배양 70일 처리시 초발이 소요일 6~9일, 병당 수량 98g으로 숙성 일수가 길수록 초발이소요일이 빠르고, 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PP봉지 재배시 배 850g 배지에서 초발이소요일 17~21일, 갓의 수 39개, 수량 157g으로 배지 회수율이 가장 양호하였다.

  • PDF

표고 톱밥재배사의 溫-濕度 變化 動態 (Dynamics of Temperature and Humidity Changes in Lentinula edodes Sawdust Cultivation Sheds)

  • 구창덕;김재수;이화용;유성열;유창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48-756
    • /
    • 2009
  • 적정한 종균과 배지를 가지고 표고를 톱밥재배하는 요점은, 표고균은 생장시키면서 오염균은 억제하도록 환경, 특히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톱밥표고 재배사내 온도와 습도 변동을 이해하기 위하여, 대만과 중국 방식의 재배사에서 이들을 측정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대만방식에서 재배사의 온-습도 변화는 5개 특징적 기간(겨울 균사생장기, 봄 버섯발생기, 초여름 버섯발생기, 여름 버섯 비발생기, 가을 버섯발생기)로 구분되었다. 먼저 겨울 균사 생장기는 저온기로 겨울 12월~3월 초순으로 일평균 $-1{\sim}8^{\circ}C$였고, 봄 버섯발생기는 온도상승기로 3월 중순~5월 하순으로서 일평균온도는 $8{\sim}21^{\circ}C$, 밤낮 온도차이는 $15^{\circ}C$였다. 초여름 버섯발생기는 버섯발생에 적온기로 6월 초순~7월초순이며 일평균온도가 $17{\sim}25^{\circ}C$ 였고. 여름 버섯비발생기는 고온다습기로 7월 중순~8월 중순으로 일평균온도 $25{\sim}28^{\circ}C$였다. 가을 버섯발생기는 온도하강기간인 8월 하순~10월 하순으로 일평균온도가 $10{\sim}23^{\circ}C$, 밤낮 온도차이가 $10{\sim}15^{\circ}C$에 이르고, 일평균온도가 $7^{\circ}C$ 이상 하강하였다가 $5^{\circ}C$ 정도 상승하는 날이 5~7일 주기로 반복되었다. 한편 중국식 재배사내 온-습도변화는 겨울동안 차광과 보온 그리고 가온으로 일평균온도를 $-1.9{\sim}5.0^{\circ}C$를 유지하였고, 6월~10월에는 $15{\sim}32^{\circ}C$를 유지하였다. 배지를 배열한 선반 0~150 cm 높이에서 온도 변이폭은 $12-30^{\circ}C$, 습도 변이폭은 40~100% 였다. 표고 톱밥 재배자들은 표고균에게는 유리하면서 오염균에게는 불리하도록, 즉 고온 과습하지 않도록 하루 중에도 수시로 차광과 통풍, 보온 등으로 재배사내 온-습도를 조절하였다.

Trichoderma pseudokoningii에 의한 팽이버섯 푸른곰팡이병 (Forest Green Mold Disease Caused by Trichoderma pseudokoningii in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 최인영;이왕휴;최정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31-537
    • /
    • 1998
  • 자동화 시설내에서 재배되는 팽이버섯에 발생하는 푸른곰팡이병의 발생상황, 병원균 접종시기에 따른 피해정도, 병원균의 배양적 특성 및 팽이버섯 품종별 피해정도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시기별 푸른곰팡이병의 발병률을 배양병수(PP병)로 조사한 바, 배양기에 7.7%로 가장 높았으며, 그후 각 재배단계별로 약간씩 증가하여 수확기까지는 14.9%를 나타냈다. 접종시기에 따른 피해정도는 배양기에 접종시 100%의 감염률을 나타냈으며, 피해정도로 구분하면 +++(40% 이상 수량감소)이었고, 발이초기에는 100%의 이병률을 나타냈지만 피해정도는 감소하여 ++($10{\sim}39%$ 수량감소)를 나타냈으며, 발이 10일후에는 34.4%의 이병률과 피해도는 10% 이하로 푸른곰팡이병이 팽이버섯 발병에 끼치는 영향이 매우 컸다. 팽이버섯에 푸른곰팡이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Trichoderma pseudokoningii로 동정되고, 이 균은 $25^{\circ}C$에서 균사생육이 왕성하며, 팽이버섯 균사보다 2.6배의 빠른 균사생장을 나타냈다. PDA배양시 균총의 색은 황록색을 띄며, phialospore는 한 개의 세포로 레몬형, 표면은 매끈하였고, 크기는 $1.3{\sim}3.0{\times}1.0{\sim}2.5\;{\mu}m$였다. phialides는 볼링핀과 유사한 $2{\sim}3$개가 뭉쳐서 분생자병에 붙어있으며, 크기는 $3.2{\sim}9.2{\times}2.0{\sim}5.6\;{\mu}m$이었다. 계통에 따른 푸른곰팡이병 피해도는 팽이버섯 5개 계통중 FV 4-1계통이 다른 계통보다 교차생장률이 낮고 T. psedokoningii에 의한 생장억제 정도가 낮았다.

  • PDF

팽이와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갓과 대에서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함량 비교 (Comparison of amino acid and free amino acid contents between cap and stipe in Flammulina velutipes and Pleurotus ostreatus)

  • 김정태;김미정;전창성;신평균;오연이;유영복;;공원식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41-349
    • /
    • 2014
  • 팽이버섯과 느타리버섯의 색깔이 다른 계통과 부위별로 갓과 대로 나누어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하여 성분 조성과 함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버섯 종류와 계통, 그리고 부위에 따라 서로 다른 아미노산 종류가 검출되었다. 팽이, 느타리 모두에서 tryptophane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느타리에서는 특이적으로 ala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팽이에서는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methionine과 phenylalanine은 극히 적게 검출되었다. 느타리버섯에서는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phenylalanine과 cysteine이 낮았으며 특이하게 흑색변이계통에서 leuc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부위별로는 팽이와 느타리 모두 아미노산 종류별 비율은 동일한 경향을 보였으며, 일반적으로 대보다는 갓에서 아미노산 함량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유리아미노산 분석 결과에서는 버섯계통별로 검출되는 아미노산 함량이 서로 달랐으며, 버섯의 갓과 대에서도 검출되는 아미노산 조성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색 팽이 신품종 '설한' 육성 (Breeding of a new cultivar of White Flammulina velutipes, 'Seolhan')

  • 임지훈;오민지;오연이;김민식;이윤상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79-284
    • /
    • 2021
  • 팽이(Flammulina velutipes)는 주름버섯목(Agaricales), 뽕나무버섯과(Physalacriaceae)에 속하는 담자균류로서, 국내 생산량은 연간 31,818톤('19)으로 전체 생산량의 약 18%이며 버섯 전체 수출액의 약 36%를 차지할 정도로 대표적인 식용버섯이다. 그러나 국내 재배되고 있는 팽이 국산품종의 비중이 31.6%(20')로 매우 낮으므로 국제 경쟁력이 우수한 국내육성 품종확보가 필요하며 수출 버섯으로서 보다 품질이 우수한 품종 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농진청에서 육성한 '백승'과 '우리1호'의 단핵균주를 확보하여 mon-mon교잡을 통해 '설한' 품종을 육성하였다. 균사배양 특성은 25℃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좋았으며 20, 25℃에서 대조품종보다 균사 생장속도가 빨랐다. 병재배 시 배양 최적온도는 15~17℃로 배지온도가 20℃이상 되지 않게 관리해야하며 생육온도는 7~8℃로 대조품종에 비해 다소 높다. 또한 자실체 수량은 병당(850 mL) 226.5±8.0 g으로 대조품종에 비해 18.4% 증수하였으며 초발이일수가 2일 빨라 전체적인 생육기간이 단축되었다. 또한 설한의 외형은 대조품종보다 갓이 작고 대는 굵었으며 갓 색이 더 밝았다. 대치배양과 유전적 다형성 검정 결과, 설한이 다른 흰색 품종들과 유전적으로 구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팽이버섯 접종전과 수확후 배지의 이화학성 및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re-inoculation and Post-harvest Flammulina velutipes Media)

  • 정종천;이찬중;서장선;문여황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4-178
    • /
    • 2012
  • 본 시험은 팽이버섯 병재배 수확후배지의 가축 사료화에 활용하기 위하여 영양성분 분석을 수행하였다. 팽이버섯 재배에 주로 이용하는 콘코브, 미강 등 배지재료 8종과 버섯 재배전(살균후) 배지 3종 및 수확후 배지 3종에 대하여 pH, 수분함량, 전탄소(T-C), 전질소(T-N) 등 이화학성과 조단백, 조섬유, 조지방 함량 등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여기에 제시한 재배전 배지와 재배후 배지의 이화학성 및 영양성분 함량은 새로운 배지재료 선발시험에 기준으로, 그리고 수확후배지의 재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