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nd map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25초

지면경계조건이 UM을 이용한 동아시아 여름철 단기예보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Land Surface Boundary Conditions on the Short-range weather Forecast of UM During Summer Season Over East-Asia)

  • 강전호;서명석
    • 대기
    • /
    • 제21권4호
    • /
    • pp.415-427
    • /
    • 2011
  • In this study, the impacts of land surface conditions, land cover (LC) map and leaf area index (LAI), on the short-range weather forecast over the East-Asian region were examined using Unified Model (UM) coupled with the MOSES 2.2 (Met-Office Surface Exchange Scheme). Four types of experiments were performed at 12-km horizontal resolution with 38 vertical layers for two months, July and August 2009 through consecutive reruns of 72-hour every 12 hours, 00 and 12 UTC. The control experiment (CTRL) uses the original IGBP (International Geosphere-Biosphere Programme) LC map and old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LAI, the new LAI experiment (NLAI) uses improved monthly MODIS LAI. The new LC experiment (NLCE) uses KLC_v2 (Kongju National Univ. land cover), and the new land surface experiment (NLSE) uses KLC_v2 and new LAI. The reduced albedo and increased roughness length over southern part of China caused by the increased broadleaf fraction resulted in increase of land surface temperature (LST), air temperature, and sensible heat flux (SHF). Whereas, the LST and SHF over south-eastern part of Russia is decreased by the decreased needleleaf fraction and increased albedo. The changed wind speed induced by the LC and LAI changes also contribute the LST distribution through the change of vertical mixing and advection. The improvement of LC and LAI data clearly reduced the systematic underestimation of air temperature over South Korea. Whereas, the impacts of LC and LAI conditions on the simulation skills of precipitation are not systematic. In general, the impacts of LC changes on the short range forecast are more significant than that of LAI changes.

토양유식공식의 강우침식도 분포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tribution of Rainfall Erosivity in USLE/RUSLE for Estimation of Soil Loss)

  • 박정환;우효섭;편종근;김광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603-610
    • /
    • 2000
  •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기후 인자로는 강우, 기온, 바람, 습도 및 태양열 복사 등이 있다. 이들 인자 중 강우는 토양침식에 직접적인 영항을 미친다. 강우의 운동에너지는 토립자의 이탈을 유발하며 강우로 인해 발생하는 흐름은 이탈 토립자를 연행시킨다. 토양침식을 예측하는데 있어 이러한 강우의 영향을 나타내는 지표의 설정은 중요한다. 본 연구에서는 범용토양유실공식(USLE)과 개정공식(RUSLE)의 강우침식도 R의 추정을 위해 1973년부터 1996년 까지 24년간 전국 53개 기상청 관측소의 강우 자료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한 강우자료는 모든 관측소에 대해 동일 기간이며, 최근 24년간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최종 결과는 우리 나라의 등강우침식도로 나타내었다.

  • PDF

벡터 필드를 가진 3차원 오브젝트의 햅틱 렌더링 기법 (A Haptic Rendering Technique for 3D Objects with Vector Field)

  • 김래현;박세형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3권4호
    • /
    • pp.216-222
    • /
    • 2006
  • 벡터 필드는 공간상에 눈으로 보이지 않거나 표현하기 어려운 데이타의 진행을 이해 하기 쉽게 표현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바람이나 물의 진행 방향 및 세기, 온도의 전도, 전자기파 등의 과학적인 데이타의 시각화에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모델상에 존재하는 벡터 필드에 대해 시각적인 정보와 더불어 촉각을 통한 직관적인 인식을 제공하기 위한 햅틱 렌더링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벡터 필드를 햅틱 인터페이스에 적합하게 모델링 하는 기법과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지도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지로 햅틱 인터페이스를 통해 안내해 주는 햅틱 맵과 해류의 흐름을 보여주는 시각적인 벡터 필드를 사용자가 촉각을 통해 직관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앞으로 교육, 훈련, 그리고 오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러한 햅틱 벡터 필드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농경지 수재해 선제적 대응을 위한 공간정보기반 시뮬레이션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Geospatial Information-Based Simulation for Preemptive Response to Water Disasters in Agricultural Land)

  • 정재호;김승현;김대진;양승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1권7호
    • /
    • pp.52-60
    • /
    • 2022
  • 지구 온난화와 자연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풍수해로 인한 농경지 침수피해가 지속되고 있다. 건국 이래 지속적인 방재사업을 펼치고 있으나, 지속된 기간에 비해 진척은 미흡하고, 여전히 막대한 비용이 소비되고 있다. 따라서 농경지 침수에 선제적 대응을 위한 예측 시뮬레이션 등의 개발과 활용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IS(공간정보)기반 SWMM 모델을 활용한 침수분석 시뮬레이션 사례를 소개하고, 해당 시뮬레이션 결과와 미국과 국내의 타 모델의 결과 간의 오차율을 통해 타당성을 확인했다. 또한 해당 시뮬레이션을 농경지 침수에 활용하기 위한 방향으로 침수흔적도 작성 등 현행 농경지 침수 대비 기반 정보 정책을 보완할 다양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보다 많은 지역의 시뮬레이션 결과가 침수분석도 형태로 축적되면 범국가 차원의 수재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 나아가서는 예방을 위한 각종 응용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시성을 표시한 사과 검출 데이터셋과 적응형 히트맵 회귀를 이용한 딥러닝 검출 (Apple detection dataset with visibility and deep learning detection using adaptive heatmap regression)

  • 유태웅;서다솜;김민우;이슬기;오일석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2권10호
    • /
    • pp.19-28
    • /
    • 2023
  • 과실 수확 분야에서 다양한 계절성과 수확 비용 상승 등으로 자동 로봇 수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빛의 변화, 바람에 의한 진동, 나뭇잎 및 가지 겹침 등 복잡한 과수원 환경에서 정확한 사과 검출은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로봇 자동 사과 수확에 유리한 데이터셋과 적응형 히트맵 회귀 모델을 소개한다. 사과 데이터셋은 사과 위치뿐만 아니라 가시성을 같이 레이블링하였다. 가시성에 따라 가우시안 모양을 조절하는 적응형 히트맵 회귀 모델을 사용하여 사과 중심점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MAP@K가 K=5와 K=10일 때 0.9809, 0.9801로 사과 수확 로봇에 응용 가능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수영만의 안개 발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g Occurrence in Suyoung Bay)

  • 조규대;김순영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3호
    • /
    • pp.254-264
    • /
    • 1990
  • 수영만을 포함한 부산 지방 안개발생의 특징 및 안개 발생에 대한 부산 연안의 역할을 최근 5개년(1984~1988)의 기상 관측자료 및 지상 일기도, 그리고 해양관측자료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1989년 7월 한 달 동안 수영만에서 관측한 일기상 자료와 표면 수온을 부산지방의 일기상 자료, 표면수온과 비교하였다. 부산 지방의 안개는 5, 6, 7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안개 발생시의 주풍향은 수증기 공급이 용이한 남서풍 및 북동풍이었다. 안개 발생과 관련된 기압계 유형은 봄철(3, 4, 5월)이 pattern 7 (이동성 고기압형), 여름철(6, 7, 8월)이 pattern3(정체전선인 33$^{\circ}$N미만에 위치한 형)과 pattern 10(정체전선이 33~36$^{\circ}$N사이에 위치한 형)이었다. 또한 이류무의 발생은 전층 (850~500mb)에 걸친 대기 불안정도의 증가 보다는 하층 대기 (850~700mb)의 한.온 이류와 해표면의 난.한 수온과의 관계에 더 많은 관련성이 있었다. 내륙 지방인 대구 지방의 안개는 강한 야간 복사 냉각에 의해서 가을철 새벽에 발생하나 해안 지방인 부산은 남풍 계열의 바람이 부는 늦봄에서 여름철(5, 6, 7월)에 다량의 수증기 유입으로 높은 상대습도를 가지게 되어 대기가 약간의 복사 냉각에 의해서도 쉽게 과포화에 이르기 때문에 5, 6, 7월에 집중적으로 발생했다. 수영만과 부산지방의 일기상 자료, 표면 수온 및 안개발생일 등은 거의 비슷하며 안개 발생 mechanism 역시 거의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 PDF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KOMPSAT-3/3A/5 영상으로부터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 (Classification of Natural and Artificial Forests from KOMPSAT-3/3A/5 Image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 이용석;박숭환;정형섭;백원경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6_3호
    • /
    • pp.1399-1414
    • /
    • 2018
  • 자연림은 산림의 조성 과 보육 등에 인공적인 사람의 힘이 가해지지 않은 자연 상태의 산림이다. 반면 인공림은 사람이 조성 및 보육관리 하는 숲으로 목재생산, 자연재해 예방, 방풍 등의 목적을 가지는 산림이다. 인공림은 목재생산 등 인간이 목적을 가지고 관리하여 단위 면적당 더 많은 목재를 생산할 수 있는 경제적 장점도 가지고 있다. 자연림과 인공림의 구분은 산림 형태의 관리 방법과 목정이 상이하여 산림조사에서 기본적으로 조사하는 요소이며, 자연림과 인공림의 구분은 항공사진 판독과 현지조사 등의 절차를 통해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에 KOMPSAT-3, 3A, 5 위성 영상데이터에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ANN)을 적용하여 자연림과 인공림의 분류도를 만들고, 산림청의 1/5,000임상도의 자연림과 인공림 분류도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림의 자연림과 인공림 구분의 연구를 진행한 결과, 1/5,000 임상도와 비교했을 때, 학습결과 분류 전체 정확도는 77.03%이다. 영상의 획득 시기와 산림의 침엽수와 활엽수 등 기타요인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산림의 인공림과 자연림의 구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GIS기반의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Management System and GIS Based 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for New Renewable Energy)

  • 김광득;정재혁;윤창열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43-51
    • /
    • 2006
  • New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becomes one of the greatest issues all over the world because of serious environment problems and limited fossil resources. The new renewable energy source information system is treated seriously for efficient management and distribution as dealing with these energy problem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nage and utilize new renewable energy information because gathering and surveying information is progressed individually in each research field. Therefore this paper will establish 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 and propose the basic management system based-on GIS to analyze new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energy, wind power, small hydro, biomass, geothermal etc. and build the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The propose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can provide spatial analysis using thematic map, data search, data import/export and interpolation about users' queries.

Elastic analysis of arbitrary shape plates using Meshless local Petrov-Galerkin method

  • Edalati, H.;Soltani, B.
    • Wind and Structures
    • /
    • 제27권4호
    • /
    • pp.235-245
    • /
    • 2018
  • In this study the stress analysis of orthotropic thin plate with arbitrary shapes for different boundary conditionsis investigated. Meshfreemethod is applied to static analysis of thin plates with various geometries based on the Kirchhoff classical plate theory. According to the meshfree method the domain of the plates are expressed through a set of nodes without using mesh. In this method, a set of nodes are defined in a standard rectangular domain, then via a third order map, these nodes are transferred to the main domain of the original geometry; therefore the analysis of the plates can be done. Herein, Meshless local Petrov-Galerkin (MLPG) as a meshfree numerical method is utilized. The MLS function in MLPG does not satisfy essential boundary conditions using Delta Kronecker. In the MLPG method, direct interpolation of the boundary conditions can be applied due to constructing node by node of the system equations. The detailed parametric study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arbitrary geometries of the thin plates. Results show that the meshfree method provides better accuracy rather than finite element method. Also, it is found that trend of the figures have good agreement with relevant published papers.

서울시 건물형태에 따른 거칠기길이 분포특성 연구 (A Study on the Roughness Length Spatia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the Seoul Building Morphology)

  • 이채연;권태헌;박문수;최영진;안승만
    • 대기
    • /
    • 제25권2호
    • /
    • pp.339-35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s about building morphological parameters and aerodynamic roughness parameters of Seoul, Korea using the detailed urban geographic information datasets. Applied roughness parameter calculations are based on a digital map of buildings with lot area polygons. The quality of the developed roughness length ($z_0$) of Seoul was evaluated with densely installed 107 automatic weather st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between averaged wind speeds of AWS data and averaged $z_0$ is -0.303 in night and -0.398 in day (200 m radii circles case). Further $z_0$ enhancement should follow by considering other surface features such as high tree and orography of Seoul. However, this study would meet the needs to for local- or meso-scale meteorological modeling applications of Seoul. However, further studies would require for enhancing the $z_0$ applications of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