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inch system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한강 인공섬 윈치 제어시스템 개발과 테이터 통계 분석 (Development of the Winch Control System for Floating Island and Statistics Analysis for Data)

  • 김상용;박수홍;박지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309-315
    • /
    • 2012
  •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해양에서의 위치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에 적용되는 자동 윈치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윈치제어목적을 위하여 제어유닛의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개발된 결과는 한강 인공섬에 적용하여 개발내용의 유용성을 보여주었다.

유압 트랜스미션의 본드선도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Computer Aided Bondgraphs Modeling and Simulation of Hydrostatic Transmission)

  • 우성우;박래석;이종길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54-62
    • /
    • 1996
  • To get the tim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static transmission, seaborne winch is modelde by using bond graphs. After modeling of its basic elements, it is represented as power flow, and the determination of variable causality. The state equations are derived by using CAMP. As dynamic stabilites and solutions are investigated by perturbation method and direct integration, winch system is stable. Simulations are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low speed, high speed, and maximum tension.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the hydrostatic transmission have a big overshoot. But when it is comparaed to the empirical data with simulation results, it is similar to each other. When a lead compensator is applied to improv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hydrostatic transmission, rise time and overshoot of the system are improved.

  • PDF

무어링 윈치 브레이크의 형상 변경에 따른 제동력과 강도 해석 (Fluid-Structural Analysis of Circumference Pressurization type Butterfly Valve according to Pressurization Distance)

  • 신재명;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07-409
    • /
    • 2010
  • 기계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계의 동작시스템 부분들 중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부분이다. 만약 기계가 작동 중 멈추지 않으면 사고 시설물 피해 인명 피해 등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선박에서 또한 마찬가지이다. 선박에서 항해 중 배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윈드라스 윈치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으며, 배를 항구에 계류시키기 위해서는 무어링 윈치 브레이크 시스템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를 항구에 계류시키는 무어링 윈치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존의 무어링 윈치 브레이크 시스템의 형상 변경한 후 무어링 윈치 브레이크 시스템의 제동력과 강도해석을 실시해 보았다.

  • PDF

무어링 윈치의 분할각도에 따른 강도해석 (The Strength Analysis of Mooring winch according to the division angle)

  • 하정민;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81-182
    • /
    • 2009
  • 기계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계의 동작에 못지않게 중요한 부분이다. 만약 기계가 멈추지 않으면 큰 사고의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선박에서 또한 마찬가지이다. 선박에서 항해중 배를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윈드라스 윈치를, 배를 항구에 계류시키기 위해서 무어링 윈치를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를 항구에 계류시키는 무어링 윈치의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브레이크 밴드를 분리하였고, 이 분리한 무어링 윈치에서 가장 적절한 분리지점을 찾는 연구를 하였다.

  • PDF

무어링 윈치의 분할각도에 따른 강도해석 (The Strength Analysis of Mooring winch according to the division angle)

  • 하정민;한동섭;한근조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775-780
    • /
    • 2010
  • 기계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시스템은 기계의 안전상 동작만큼이나 중요한 부분이다. 기계를 급히 정지시켜야하는 비상시에 기계가 멈추지 않으면 큰 사고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모든 기계장치에서 공통된 사항이며, 선박에서 또한 마찬가지이다. 선박에는 2종류의 계류장치가 존재한다. 그 중 하나는 항해하는 선박을 근해에 정박시키기 위해서는 해저에 닻을 내리는 윈드라스 윈치이며, 또 다른 하나는 배를 항구에 계류시키기 위한 무어링 윈치이다. 그 중 기존에 사용하는 무어링 윈치의 경우, 브레이크 밴드가 하나의 철판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브레이크 밴드와 라이닝을 연결하는 볼트의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응력이 집중되는 부위를 선정하였고, 이 부위를 분리하여 응력 집중을 해소하였다, 또한 이 분리지점의 각도에 따른 해석을 수행하여 최적의 위치를 선정하였다.

예인윈치 케이블 권선정렬 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a Cable Spooling System for Towed Array Handling Winch)

  • 조상훈;양승윤;정찬희;박래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2-6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control of a self-activated cable spooling system for towed away handling winch using a hydraulic servo driving unit and a cable position measurement mechanism. To design a controller of the cable spooling system, it i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hydraulic servo system and derived the relationship of a parameters through the control theory. Also, it is derived from the control specfications using settling rotation angle and spooling safety ratio proposed to the analysis for the behavior of the system. The cable spooling system is tested and evalua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 PDF

예인윈치 케이블 권선정렬 시스템의 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a Cable Spooling System for Towed Array Handling Winch)

  • 양승윤;조상훈;최준호;박래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0년도 제15차 학술회의논문집
    • /
    • pp.250-25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on the control of a self-activated cable spooling system for towed array handling winch using a hydraulic servo driving unit and a cable position measurement mechanism. To design a controller of the cable spooling system, it is carried out the analysis of the hydraulic servo system and derived the relationship of a parameters through the control theory. Also, it is derived from the control specifications using settling rotation angle and spooling safety ratio proposed to the analysis for the behavior of the system. The cable spooling system is tested and evaluated to validate the performance of the controller.

  • PDF

Barge 형 수상선의 DP(Dynamic Positioning) System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ynamic Positioning System for Barge Type Surface Vessels)

  • 부이반퍽;김영복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6-74
    • /
    • 2012
  • In this paper, the authors propose a new approach to control a barge type surface vessel. It is based on the Dynamic Positioning System(DPS) design. The main role of barge ship is to carry and supply the materials to the floating units and other places. To carry out this job, it should be positioned in the specified area. However sometimes the thrust systems are installed on it, and in general the rope control by mooring winch system is used. It may be difficult to compare the control performances of two types. If we consider this problem in point of usefulness, we can easily find out that the winch control system is more useful and applicable to the real field than the thrust control system except a special use. Therefore, in this paper we consider a DPS design problem which can be extended to the many application fields. The goal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 the sliding mode controller (SMC) for positioning the our vessel is proposed. Especially, in this paper, a robust stability condition is given based on descriptor system representation. In the result, the sliding mode control law guarantees to keep the vessel in the defined area in the presence of environmental disturbances. And second, the thrust allocation problem is solved by using redistributed pseudo-inverse (RPI) algorithm to determine the thrust force and direction of each individual actuator. The proposed approach has been simulated with a supply vessel model and found work well.

A Study on Heuristic Berthing System Design with Winch and Damper Assistance

  • Kim, Young-Bok;Kim, Chang-Woo;Ji, Sang-Won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0-27
    • /
    • 2018
  • Vessel maneuvering problem in the harbor area is generating considerable interests in terms of marine cybernetics. In this sense, the vessel is operated and moves at ultimately low or zero speed in shallow water area. So the vessel is usually aided by the cooperation with thrusters, main propulsion system, tugboats and pilots, etc. In this paper, we suggest a new vessel berthing technique using dampers and winches as a solution for excessively complicate and dangerous berthing work. In the proposed berthing method, in order to manipulate the actuators (winches and dampers), a simple and heuristic control strategy is applied for a basic experiment. Finally,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utomatic vessel berthing strategy based on the heuristic control method.

모바일하버 선박의 계류안정화시스템 및 의장장치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for Mooring Stability System and Equipments of Mobile Harbor)

  • 이윤석;정태권;정창현;김세원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1-317
    • /
    • 2010
  • 하역장치가 장착된 모바일하버 선박은 새로운 해상운송시스템 개념으로, 특정 정박지에서 대형 컨테이너 선박에 계류하여 해상상태 3 이하 조건에서 신속하면서 효율적인 컨테이너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모바일하버와 관련한 주요 연구로는 고속하역시스템, 부유체 구조 설계, 안벽하역시스템 해석 및 작업크레인 설계 등의 원천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모바일하버 선박의 하역작업 중 동적안정성 확보를 위한 계류안정화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으로, 국내외 계류장치에 대한 현황 분석을 기초로 현재 선박에 탑재되어 있는 의장장치인 윈치시스템에 계류안정화 기능을 추가시킨 포지셔닝윈치를 개발하여 모선과의 상대운동을 최소화하는 방안에 대한 개념설계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