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lingness for Marriage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가정교과를 적용한 결혼이주여성 대상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s Family Life Education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Applying Home Economics)

  • 김지욱;전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1-73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가정생활의 향상 및 실천 능력의 증진을 위하여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가정교과서의 가정생활문화 단원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내용의 타당성은 2명의 전문가에게 검증받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J구에 거주하는 14명의 결혼이주여성이며, 프로그램은 서울 J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2014. 9.16-10.7일까지 총 3일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객관적 평가와 주관적 평가(반구조화된 면접 및 설문조사)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객관적 평가 문항은 선행연구 및 가정교과서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고, 그 내용은 전문가 2인으로부터 검증받았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가족이 여는 행복한 가정생활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총 8회기로 구성된 가정생활문화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이해 및 자신들 모국의 가족문화의 이해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고, 나아가 가족생활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르고자 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효과성 결과를 살펴보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한 객관적 평가에서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주관적 평가 결과, 모든 참여자가 프로그램 목표달성, 프로그램 내용과 활동의 적절성, 운영만족도에서 4.0점 이상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반구조화된 면접을 통한 주관적 평가의 결과, 결혼이주여성들은 가정생활문화와 관련 심화된 내용을 지속적으로 배우고 싶다는 의지에서 가정생활문화교육에 대한 높은 욕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가정교과를 활용한 가정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건강한 가정생활문화 구현에 주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성평등의식과 자녀교육지원 (Androgynous Equalitarianism of Parents Recognized by Adolescents and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 박옥임;임정순;김정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3-134
    • /
    • 2005
  • The purpose of the research lies in investigating how the androgynous equalitarianism of parents recognized by adolescents and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differ in accordance with social and population factors. The subjects were 397 adolescents of secondary schools in Chonnam.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carried out using SPSS/WIN 10.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dolescents were found to recognize the androgynous equalitarianism in their parents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gender, birth ranking, academic record, and father education level. (2) Educational support of parents recognized by adolescents, showed some notable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ype of school, birth ranking, academic record, place of residence, mother's age, father education level, form of marriage, and economic class. (3) The relationship between androgynous equalitarianism and Educational support of parents recognized by adolescents had a positive correlation.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provide an atmosphere wherein the budding children can display their utmost potentiality regardless of gender to grow independent way of thinking and behaving and ability. Also consistent willingness to practice education in androgynous equalitarianism for the realization of equal society for both men and women is believed prerequisite.

  • PDF

여성 베이비부머의 결혼기 자녀에 대한 자원이전 인식 (Female Baby Boomers' Perceptions on Resource Transfers to their Children Who Have Gotton Married or Plan on Getting Married)

  • 홍성희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3권2호
    • /
    • pp.61-7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source transfer process from female baby boomers to their children who have gotten married or plan on getting marri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xplored. (1)To what extent have female baby boomers been transferring their resources to their children supporting marriage or vice versa? (2)What are the opinions of female baby boomers on future resource transfer plans to their children? (3)What are the opinions of female baby boomers on supporting themselves in their old age, and those of their children on supporting their aging parent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1 female baby boomers who were born between 1955 to 1963. A case study research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interview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conomic resource was the most common type of resources that the interviewees transferred to their children. Those who could not transfer their economic resources instead transferred their instrumental resources. Second, it was anticipated that the current trend of interviewees' resource transfers would be similar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those who used to transfer a large amount of economic resources to their children showed their willingness to do the same in the future. Third, the interviewees did not expect support from their children, but rather were trying to prepare for their old age by themselves.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the female baby boomers' transferring economic resources to their children implied that they took responsibility for their children. This appears to stem more from to altruistic motivation than reciprocal motivation. Moreover, it can be cautiously concluded that female baby boomers have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transfer of their resources from male's since the interviewees had different opinions on it from their husbands'.

중국 영유아의류 브랜드의 온라인 체험 마케팅과 브랜드 충성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nline Experience Marketing and Brand Loyalty of Chinese Infant Clothing Brands on Purchase Intention)

  • 장헌;한아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27권3호
    • /
    • pp.1-18
    • /
    • 2023
  • The online shopping industry in China has experienced rapid growth, particularly in the infant goods sector, which is considered highly promising in terms of its growth potential. This growth can be attributed to the Chinese market's increasing economic power, the implementation of new policies concerning marriage and childbirth, changes in family structure, and evolving and diverse consumer demands for infant products. While the infant clothing industry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player in the Chinese market, there is still a lack of sufficient academic research on the online shopping environment specific to China's infant clothing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on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Chinese consumers of children's wear. The study findings indicated that the emotional experience, action experience, and relationship experience encountered by consumers during online interaction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brand loyalty. Both perceptual experience and cognitive experience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s' willingness to make a purchase.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brand loyalt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e perception of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brand loyalty, and purchase intention varied based on individual attributes, and gender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nline experiential marketing and brand loyalty.

가구주 근로유형과 가계저축: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 (Householder's Working Type and Household Saving: A Perspective of the Precautionary Saving Behavior Theory)

  • 심영
    • 소비문화연구
    • /
    • 제15권1호
    • /
    • pp.93-118
    • /
    • 2012
  • 본 연구는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의 관점에서 가구주 근로유형이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 자료는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KOWEPS) 자료로, 가구주 근로유형이 상용직과 비상용직(임시직, 일용직, 공공근로)인 가계로 한정하여 2009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가구 총 6,207가구 중 2,463가구를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가구주의 근로유형은 가계저축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예비적 저축행동 이론에서 제시하는 기대와는 일치하지 않았다. 즉, 상용직 가구주 가계가 임시직, 일용직 혹은 공공근로의 비상용직 가구주 가계보다 더 많은 예비적 저축을 하였고, 나아가 더 많은 예비적 자산을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주 근로유형별 가계저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가구주 근로유형별로 영향 요인 및 정도에 차이가 존재하기는 하였으나 주로 월평균 총소비지출, 부채 유무, 순자산, 빈곤 여부, 가구원수, 기초보장 유무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예비적 저축에 대한 기초보장의 정적 영향이었다.

지역별 가계지출 부담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수도권과 비수도권 비교를 중심으로 (Comparing the Effects of Regional Household Expenditure Burden on Childbirth Intention of Married Women: The Case of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 이다은;서원석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151-168
    • /
    • 2021
  • 본 연구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가계지출 부담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패널로짓 모형을 이용해 비교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핵심 대상인 기혼여성의 범위는 가임 가능성이 높은 25세부터 39세까지로 한정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주 지역과는 관계없이 대체로 배우자의 경제력이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있어 중요한 요인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결혼생활 만족도는 높을수록 출산 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녀가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가치관이 있을수록 출산 의사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계지출 부담은 기존 자녀 수와 같은 내부요인을 제외하고 기혼여성의 출산 의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교육비 지출에 대한 부담은 출산 의사를 큰 폭으로 감소시키는 핵심 원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계지출 부담은 거주 지역에 따라 출산 의사에 상이한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도권은 의료비 및 원리금 대출이, 비수도권은 교통통신비가 출산 의사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출산 제고를 위해서는 가계지출에 대한 부담완화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거주 지역에 따라 차별적인 정책접근이 요구된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