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type yeast strains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Positive Charge of Arginine Residues on Histone H4 Tail Is Required for Maintenance of Mating Typ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 Yeom, Soojin;Oh, Junsoo;Lee, Eun-Jin;Lee, Jung-Sh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9호
    • /
    • pp.1573-1579
    • /
    • 2018
  • Transcriptional gene silencing is regulated by the chromatin structure, which is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histones. Saccharomyces cerevisiae contains transcriptionally silenced regions such as telomeric regions and hidden mating (HM) loci. The positively-charged amino acids on the histone H4 tail were reported to be critical for the telomeric silencing in yeast, by interacting with Dot1, a specific methyltransferase for the $79^{th}$ lysine on histone H3. However, Dot1 did not affect gene silencing within HM loci, but whether the positively-charged amino acids on the H4 tail affect HM silencing has not been defined. To elucidate the function of the H4 tail on HM silencing, we created several MATa-type yeast strains bearing the substitution of arginine with alanine or lysine on the histone H4 tail and checked the sensitivity of MATa-type yeast to alpha pheromone. The arginine point mutants substituted by alanine (R17A, R19A, and R23A) did not show sensitivity to alpha pheromone, but only two arginine mutants substituted by lysine (R17K and R19K) restored the sensitivity to alpha pheromone-like wild type. These data suggested that the basic property of arginine at $17^{th}$ and $19^{th}$ positions in the histone H4 tail is critical for maintaining HM silencing, but that of the $23^{rd}$ arginine is not. Our data implicated that the positive charge of two arginine residues on the histone H4 tail is required for HM silencing in a manner independent of Dot1.

효모변이주 Saccharomyces cerevisiae Sa59에 의한 glutathione 생성 (Production of Glutathione by the Yeast Mutant Saccharomyces cerevisiae Sa59)

  • 장혜윤;오철환;오남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01-804
    • /
    • 2013
  • Glutathione 생성능이 우수한 효모균주의 획득을 목적으로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를 변이처리 하였다. 선발된 변이주들의 전체적인 glutathione 함유량은 6.1-15.8 mg/g이었으며, glutathione 함유량과 항산화활성은 비교적 양호한 양의 상관관계($R^2$=0.488)를 보였다. 특히, 변이주 S. cerevisiae Sa59의 glutathione 함유량이 wild type에 비해 약 38% 증가되었으며, 환원력 또한 0.40으로 가장 높아 glutathione 생성을 위한 변이주로 선발하였다. 배양방법에 따른 gluthathione의 부피당 생산성은 진탕배양이 정치배양에 비해 약 70% 증가하였으며, 단위균체량당 glutathione 함유량 또한 진탕배양 했을 때 약 19% 증가하였다. Glucose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건조균체량과 발효에 의한 에탄올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glutathione 함유량과 환원력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Glutamate, cysteine 및 glycine을 각각 0.04% 첨가하였을 때 단위부피 및 단위균체량당 glutathione 함유량이 각각 16%, 66% 증가하였으며, 환원력 또한 0.52로 가장 우수하였다.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이 Candida albicans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 (Disruption of the Dual Specificity Kinase Gene Causes the Reduction of Virulence in Candida albicans)

  • 박윤희;박희문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5-87
    • /
    • 2011
  • C. albicans는 사람에게 병증을 유발하는 기회감염성 진균으로 효모형에서 균사형 및 위균사형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이형성의 감소나 상실은 병원성의 결여와 연관되어 있기에 C. albicans의 병원성에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여겨진다. 선행 실험을 통하여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에서 이형성의 감소를 관찰하였기에, 마우스 모델에서 병원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중특이성 인산화 효소의 결손 균주를 감염시킨 경우, 마우스의 생존기간이 약 15일로 야생형의 3.9일보다 증가하였다. 또한 신장조직에 침투한 C. albicans의 세포수는 야생형에 비해 10배 가량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C. albicans에서 이형성과 병원성에 연관된 이중특이성 인산화효소에 의한 새로운 신호전달기작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Protection of Metal Stress in Saccharomyces cerevisiae: Cadmium Tolerance Requies the Presence if Two ATP-Binding Domains of Hsp 104 Protein

  • 이경희;엄정훈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2권5호
    • /
    • pp.514-518
    • /
    • 2001
  • We have explored the importance of two ATP binding domains of Hsp104 protein in protection of yeast cells from cadmium exposure. In the previous study we have discovered that the presence of two ATP binding sites was essential in providing heat sh ock protection as well as rescuing cells from oxidative stress. In this paper we first report wild type cell with functional hsp104 gene is more resistant to cadmium stress than hsp104-deleted mutant cell, judging from decrease in survival rates as a result of cadmium exposure. In order to demonstrate functional role of two ATP binding sites in cadmium defense, we have transformed both wild type (SP1) and hyperactivated ras mutant (IR2.5) strains with several plasmids differing in the presence of ATP binding sites. When an extra copy of functional hsp104 gene with both ATP binding sites was overexpressed with GPD-promoter, cells showed increased survival rate against cadmium stress than mutants with ATP binding sites changed. The degree of protection in the presence of two ATP binding sites was similarly observed in ira2-deleted hyperactivated ras mutant, which was more sensitive to oxidative stress than wild type cell. We have concluded that the greater sensitivity to cadmium stress in the absence of two ATP binding sites is attributed to the higher concent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ed by cadmium exposure based on the fluorescence tests. These findings, taken all together, imply that the mechanism by which cadmium put forth toxic effects may b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oxidative stress, which is regulated independently of the Ras-cAMP pathway. Our stud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cadmium defense itself and cross-talks between oxidative stress and metal stress, which can be applied to control human diseases due to similar toxic environments.

국내에 서식하는 꽃에서 분리한 야생 효모 분포 및 종 다양성 (Distribution and Species Diversity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Flowers in Korea)

  • 김정선;이미란;김재윤;허준;권순우;윤봉식;김수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75-484
    • /
    • 2020
  • 국내에 서식하는 꽃에서 다양한 토착 효모를 분리 및 확보하고 효모의 분포 특성과 종 다양성에 관해 연구하였다. 국내 25지역에서 꽃 9종 77개체를 채집한 후 효모를 순수분리하였다. 효모 502균주의 large-subunit (LSU) rDNA 염기서열을 분석 및 상동성 비교로 각 효모의 종을 동정하였다. 분리된 효모는 총 50종으로 동정 되었고, 모든 꽃 시료로부터 Aureobasidium pullulans, A. leucospermi, Filobasidium magnum이 분리되었다. 꽃에 우점한 효모 3종을 제외하고, 효모 균주 수가 적게 분리된 종은 지역과 분리원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할 수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꽃으로부터 확보한 국내 토착 효모 50종은 산업적 활용을 위한 자원으로써 역할을 기대할 수 있고, 추후 효모와 기주 간의 상호작용이나 효모다양성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한 야생효모의 동정 및 특성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Wild Yeasts Isolated from Korean Domestic Grape Varieties)

  • 최상훈;홍영아;최윤정;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04-6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산 포도로부터 분리된 효모들 중 와인 발효 적성이 우수한 균주들을 선정하여 ITS-I-5.8S-ITS II DNA 염기서열 분석과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하여 동정하였고 발효환경 내성을 알아보았다. 분리 효모들의 ITS I-5.8S-ITS II 영역을 PCR로 증폭한 결과 약 800bp의 DNA가 증폭됨을 확인하였다. 이 DNA를 제한효소 HaeIII로 처리한 경우 모두 약 400bp의 DNA band 확인되었고, Hinf I로 처리한 경우에는 약 350 bp와 300 bp의 DNA band를 나타내었다. 분리된 4 균주의 염색체 DNA를 PFGE로 확인한 결과 MM10, WW108 그리고 SS89(SS812 동일)가 서로 다른 3가지 염색체 패턴을 나타내었다. ITS I-5.8S-ITS II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모두 S. cerevisiae CBS 4054 표준균주와 97% 이상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매우 가까운 근연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근린결합분석을 이용한 phylogenetic 분석을 통하여 분리 균주인 MM10, SS89, SS812 그리고 WW108 균주는 S. cerevisiae CBS 4054 표준 균주와 계통 유연관계에서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정된 4종의 야생효모 중 200 ppm의 아황산 함유 배지에서 MM10과 WW108 균주는 24시간대에서 6% 미만의 생육 저해률을 보였다. 또한 $30^{\circ}C$ 배양온도에서 30% 포도당을 함유하는 YPD 배지에서 36시간대에서 가장 높은 성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SS89 균주는 660 nm에서의 흡광도가 약 40에 가까운 수치를 나타내었다. 배양온도 $40^{\circ}C$에서는 모든 효모군이 10~15의 수치를 나타내어 낮은 성장을 나타내었다. 알코올(8%, v/v)을 함유하는 YPD 배지에서 배양초기에는 내성이 약하였으나 배양이 진행되면서 적응을 하기 시작하고 24시간대에서 가장 낮은 생육 저해률을 보였다.

Biodegradation of Endocrine-disrupting Bisphenol A by White Rot Fungus Irpex lacteus

  • Shin, Eun-Hye;Choi, Hyoung-Tae;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7호
    • /
    • pp.1147-1151
    • /
    • 2007
  • Biodegradation of endocrine-disrupting bisphenol A was investigated with several white rot fungi (Irpex lacteus, Trametes versicolor, Ganoderma lucidum, Polyporellus brumalis, Pleurotus eryngii, Schizophyllum commune) isolated in Korea and two transformants of T. versicolor (strains MrP 1 and MrP 13). I. lacteus degraded 99.4% of 50 mg/l bisphenol A in 3 h incubation and 100% in 12 h incubation. which was the highest degradation rate among the fungal strains tested. T. versicolor degraded 98.2% of 50 mg/l bisphenol A in 12 h incubation. Unexpectedly, the transformant of the Mn-repressed peroxidase gene of T. versicolor, strain MrP 1, degraded 76.5% of 50 mg/l bisphenol A in 12 h incubation, which was a lower degradation rate than wild-type T. versicolor. The removal of bisphenol A by I. lacteus occurred mainly by biodegradation rather than adsorption. Optimum carbon sources for biodegradation of bisphenol A by I. lacteus were glucose and starch, and optimum nitrogen sources were yeast extract and tryptone in a minimal salts medium; however, bisphenol A degradation was higher in nutrient-rich YMG medium than that in a minimal salts medium. The initial degradation of endocrine disruptors was accompanied by the activities of manganese peroxidase and laccase in the culture of I. lacteus.

누룩으로부터 맥아당 이용능과 에탄올 생산성이 우수한 효모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rom nuruk for Production of Ethanol from Maltose)

  • 최다혜;최영환;여수환;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4-39
    • /
    • 2016
  • 전국에서 수집한 누룩으로부터 50점의 S. cerevisiae 균주를 분리하고 18S rRNA 유전자 영역 중 ITS 단편의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였다. 누룩에서 분리한 S. cerevisiae 균주 중 MBYK45로 명명된 균주는 대조구 균주 및 누룩에서 분리한 다른 균주들에 비해 맥아당을 이용한 균체성장 및 에탄올 생산성이 우수하였다. MBYK45 균주는 맥아당 농도 20%, 배지 pH 6.0, 배양온도 $35^{\circ}C$ 조건에서 에탄올 생산성이 $3.79{\pm}0.14g^{-1}l^{-1}h^{-1}$로 가장 우수하였고 $110.80{\pm}0.81g/l$ 에탄올을 생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맥아를 원료로 하는 전통주 제조에 적합한 것으로 사료되는 S. cerevisiae MBYK45 균주를 누룩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균체성장 및 에탄올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설정하였다.

AbSte7, a MAPKK Gene of Alternaria brassicicola, Is Involved in Conidiation, Salt/Oxidative Stress, and Pathogenicity

  • Xu, Houjuan;Zhang, Qianqian;Cui, Wenjuan;Zhang, Xiaofei;Liu, Weiyang;Zhang, Li;Islam, Md. Nurul;Baek, Kwang-Hyun;Wang, Yuj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7호
    • /
    • pp.1311-1319
    • /
    • 2016
  • Alternaria brassicicola (Schwein.) invades Brassicaceae and causes black spot disease, significantly lowering productivit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their upstream kinases, including MAPK kinases (MAPKKs) and MAPKK kinases (MAPKKK), comprise one of the most important signaling pathways determining the pathogenicity of diverse plant pathogens. The AbSte7 gene in the genome of A. brassicicola was predicted to be a homolog of yeast Ste7, a MAPKK; therefore, the function was characterized by generating null mutant strains with a gene replacement method. AbSte7 replacement mutants (RMs) had a slower growth rate and altered colony morphology compared with the wild-type strain. Disruption of the AbSte7 gene resulted in defects in conidiation and melanin accumulation. AbSte7 was also involved in the resistance pathways in salt and oxidative stress, working to negatively regulate salt tolerance and positively regulate oxidative stress. Pathogenicity assays revealed that AbSte7 RMs could not infect intact cabbage leaves, but only formed very small lesions in wounded leaves, whereas typical lesions appeared on both intact and wounded leaves inoculated with the wild-type strain. As the first studied MAPKK in A. brassicicola, these data strongly suggest that the AbSte7 gene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growth, development, and pathogenicity of A. brassicicola.

구리흡착 단백질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효모의 중금속 흡착 (Heavy-Metal Adsorption by Recombinant Saccharomyces cerevisiae Harboring Multiple Copies of the CUP1 Gene)

  • 서진호;박상옥;김명동;한기철;전영석;안장우;한남수
    • KSBB Journal
    • /
    • 제17권1호
    • /
    • pp.38-43
    • /
    • 2002
  • 중금속 결합 단백질인 metallothionein (MT)를 발현하는 CUP1 유전자를 다중으로 함유하는 재조합 Saccharomyces cerevisiae의 균체성장과 중금속 제거특성을 조사하였다. CUP1 유전자를 다중으로 함유하는 재조합 효모는 중금속을 포함한 배지에서의 균체성장과 중금속 흡착능이 중금속에 대하여 내성을 가지고 있는 야생효모나 숙주세포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서로 다른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중금속을 함유하는 배지에서의 균체성장과 중금속 흡착능의 차이는 중금속에 대한 내성과 중금속 흡착에 MT 단백질의 발현 수준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구리를 함유하지 않고 고농도의 아연과 망간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재조합 효모는 높은 균체 농도와 중금속 제거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MT 단백질을 발현하는 CUP1 promoter가 아연과 망간에 의해서도 발현이 유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T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발현하여 재조합 효모에 의한 중금속 흡착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최적의 구리농도는 0.31 mM로 결정되었으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Triton X-100은 재조합 효모의 균체성장과 중금속 흡착을 증가시켰지만, 대사 저해제는 균체성장과 중금속 흡착을 모두 저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