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ld marine fishe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횟집 수조 보관 중에 자연산, 양식산 참돔 및 숭어의 물리·화학적 성분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During Storage at an Aquarium Tank of Wild and Cultured Gray mullet (Mugil cephalus) and Red seabream (Pagrus major))

  • 조영제;박현규;김승미;심길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451-45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utrition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changes, and to evaluate the food quality of live fish in cultured and wild fishes which have been kept in an aquarium tank. The moisture and lipid content of wild and cultured fishes when kept in an aquarium tank for seven-days storage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ose of the initial stage storage(zero day). The breaking strength was also rapidly decreased in all of live fishes tested in this study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protein conten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However, the content of cortisol, which is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in tissues, was apt to increasing as the periods of storage extended. The cortisol content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ultured fishe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y of activities of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which is also a indicator indicating a stress reaction, were not changed in the serum of wild and cultured fish, suggesting the ALT and AST activity dose not directly related with a healthy loss originated from stress. The death ratio of wild fishes were higher than cultured ones due to limited activity and stress during the storage in a aquarium tank.

2006년 6월에 트롤어법으로 어획된 남해안 자연산어류에 대한 질병 모니터링 (Monitoring of diseases in wild marine fish stocks collected in June 2006 by a trawl in the Southern Korean Waters)

  • 조미영;이덕찬;김진우;차승주;박신후;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5-225
    • /
    • 2006
  • 자연산어류의 질병 감염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2006년 6월에 남해안 해역에서 트롤에 의하여 어획된 개체 중 13 종 176 개체의 어류와 1 종 15개체의 새우류 등 총 191 개체의 자연산어류에 대한 바이러스성 및 세균성 질병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우리나라 양식 어류의 주요 질병과 관련한 바이러스성 병원체의 존재는 확인되지 않았다. 시료 6 개체에서 세균이 분리되어 확인한 결과 Pseudomonas속 세균 5 균주와 Proteus속 세균 1균주가 확인되었으나 양식 어류의 폐사와 관련한 세균군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며, 양식산어류의 질병 발생에 대한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자연산어류에 대한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통영연근해역 양식산 및 자연산 어류 중의 미량금속 함량 및 안전성 평가 (Trace Metal Contents in Cultured and Wild fishes from the Coastal Area of Tongyeoung, Korea and their Safely Evaluations)

  • 최종덕;정인권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5-210
    • /
    • 2005
  • 2003년 3월부터 2004변 2월까지 통영 인근 연안에 서식하고 있는 양식산 및 자연산 어류의 부위별 미량금속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수은은 Cold-amalgam법에 의하여 직접 측정하없고,납,카드뮴,비소,구리,크롬, 아연, 망간 등은 습식분해 후 ICP 및 AAS로 분석하였다. 미량금속별로는 수은이 양식산에서 0.031, 자연산이 0.047,납은 0.321, 0.407, 카드뮴은 0.048, 0.063, 비소는 1.006, 1.132, 구리는 0.467, 0.506, 크롬은 0.233, 0.293, 아연은 9.69, 12.20, 망간은 0.798, 0.624 mg/kg으로 각각 분석되었다. 대부분의 미량금속은 망간을 제외하고 자연산이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부위별로는 수은, 납, 카드뮴, 구리 및 아연 등은 비장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고, 비소는 쓸개와 간에서, 크롬은 껍질에서, 망간은 비장과 간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통영연근해 어류 중의 미량금속 함량은 우리나라의 중금속 허용기준치 및 미국의 중금속 권고치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자연함유량 수준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국민이 어류를 통하여 섭취하는 납, 수은, 카드뮴 등의 미량금속 주간 섭취량이 FAO/WHO에서 미량 금속 안전성 평가를 위하여 제시한 PTWI $6.0\∼13.0\%$로 조사되었다.

남해안 자연산 어류에서 Marine birnavirus(MABV)의 검출 (Detection of Marine Birnavirus(MAB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 of Korea)

  • 윤현미;김석렬;이월라;정성주;오명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8
    • /
    • 2008
  • Marine birnavirus(MABV)는 중요한 어류 병원체로서 일본 양식산 방어서 처음 분리되어 이후 다양한 해산어종에서 MABV 분리가 보고되었으며 환경적인 샘플인 저질, 해양의 동물성 플랑크톤과 해수에서도 MABV 유전자가 검출되고 있다. 본 연구는 Marine birnavirus disease 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MAB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Reverse transcriptase-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3종 17마리에서 MABV가 거출되어 감염율10.6%를 보였다. 조사된 13종의 어류 중 특히 농어목에서 가장 높는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MABV 분리균주는 염기서열 분석에서 94.7%-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7.2-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IPNV strain과는 구분되며 MABV에 속하였다.

국내 시중 유통 자연산 및 양식산 활어의 중금속 함량 (Heavy Metal Contents in Wild and Cultured Fishes from the Korean Coasts)

  • 목종수;심길보;이태식;송기철;이가정;김성길;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561-568
    • /
    • 2009
  • We determined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the muscle of wild and cultured fishes, collected from fish markets located in the eastern (Pohang), western (Gunsan), and southern (Tongyeong) coasts of Korea, from 2004 to 2005. As the results of monitoring the heavy metal contents in spring season, the wild fishes contained the range of Cd (0.01-0.08 mg/kg), Cr (ND-0.28 mg/kg), Cu (0.06-1.53 mg/kg), Hg (0.02-0.16 mg/kg), Mn (0.04-1.15 mg/kg), Ni (ND-0.09 mg/kg), Pb (0.03-0.41 mg/kg), and Zn (1.84-6.61 mg/kg). While for the cultured fishes, Cd (0.01-0.05 mg/kg), Cr (ND-0.17 mg/kg), Cu (0.05-0.61 mg/kg), Hg (0.02-0.13 mg/kg), Mn (0.03-0.17 mg/kg), Ni (ND-0.08 mg/kg), Pb (0.03-0.33 mg/kg), and Zn (2.06-6.20 mg/kg) were contained. In summer seas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 in the muscle of the wild fishes were as follows: Cd (ND-0.11 mg/kg), Cr (0.01-0.37 mg/kg), Cu (0.21-1.31 mg/kg), Hg (0.01-0.11 mg/kg), Mn (ND-1.47 mg/kg), Ni (ND-0.26 mg/kg), Pb (0.06-0.48 mg/kg), and Zn (2.94-14.38 mg/kg). In comparison, the contents of heavy metal in the muscle of cultured fishes were Cd (ND-0.05 mg/kg), Cr (0.13-0.33 mg/kg), Cu (0.19-0.56 mg/kg), Hg (0.05-0.26 mg/kg), Mn (ND-0.14 mg/kg), Ni (ND-0.58 mg/kg), Pb (0.07-0.45 mg/kg), and Zn (2.43-7.53 mg/kg). Also the fall and the winter season, the heavy metal contents in the fishes showed almost similar with other season, however, Pb was lower and Zn was higher than both spring and summer season. The wild fishes contained the heavy metals a little more than the cultured fishes. We could not observe clear seasonal variation in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e fishes. The levels of Hg and Pb in all samples tested did not exceed the maximum permissible levels in the fishes set by the Korean Food & Drug Agency for safe human consumption.

음향 텔레메트리 기법에 의한 인공어초 지역에서의 조피볼락의 이동범위 및 일주행동 측정 (Acoustic Telemetrical Measurement of the Movement Range and Diurnal Behavior of Rockfish (Sebastes schlegeli) at the Artificial Reef)

  • 신현옥;태종완;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9-136
    • /
    • 2005
  • The movement ranges and diurnal behavior of the rockfish (Sebastes schlegeli) sonic tagged externally were measured by the acoustic telemetry in the marine ranching area of Tongyoung on 20 to 26 March and 4 October to 3 November, 2003.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Two cage cultured fishes (body length: $30-34{\cal}cm$) were released the point where located approximately $250{\cal}m$ from the caught point on 30 March, 2003. They moved to the south $500{\cal}m$ away Sojangdudo and stayed within a $500{\cal}m$ radius of the position during the study. 2. Three wild fishes (body length: $28-32{\cal}cm$) were released around the caught point on 4 and 8 October, 2003. It was often measured that tagged fishes moved out the $500{\cal}m$ radius of released point for a week after release. After several days, the movement range tended to be reduced. Finally, they stayed within the $250{\cal}m$ radius of released point.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diurnal behavior of the rockfish between the cage cultured and the wild fishes. The movement range, however, for the night-time was a little wider than for the day-time.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VHSV)검출 (Detection of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 West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윤현미;김석렬;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01-209
    • /
    • 2007
  •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는 유럽과 북미지역의 담수 무지개송어에 심각한 바이러스성 질병을 야기하는 원인체였으나 담수어류 뿐만 아니라 해산어류에서도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최근 일본과 우리나라 양식 넙치에서 VHSV에 의한 대량 폐사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VHS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VHS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목적으로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였다. RT-PCR을 이용한 연구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12종 17마리에서 VHSV가 검출되어 검출율 10.6%를 보였으며 조사된 12종의 어류 중 특히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VHSV G gene을 이용한 계통분류학적 분석결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양식산어류의 분리주 (KVHS01-1)와 98.4%~99%, 아미노산 분석에서 97~99% 유사성을 나타내어 본 연구에서 조사되어진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된 VHSV는 GenogroupⅠ에 속하였다.

Genetic positioning of Korean viral hemorrhagic septicemia virus (VHSV) from cultured and wild marine fishes

  • Kim, Wi-Sik;Jung, Sung-Ju;Kim, Jong-Oh;Kim, Du-Woon;Kim, Jeong-Ho;Oh, Myung-Joo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1
  • Viral haemorrhagic septicaemia virus (VHSV) is an epidemic virus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arms in Korea, since the virus have first isolated in 2001. In the present study, partial glycoprotein (G) gene nucleotide sequences of seven Korean VHSV from cultured olive flounder and wild marine fishes in coastal areas of Korea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ir genetic relatedness to worldwide isolates. Phylogenetically, all Korean VHSV formed only one minor cluster including Japanese isolates, in genotype IVa, while the North America isolates formed a different minor cluster in genotype IVa.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VHSV could be an indigenous virus in Korean and Japanese coastal areas, but have not been introduced from North America.

남.서해안과 동중국해 자연산 어류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의 검출 (Detection of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from marine fish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and East China Sea)

  • 이월라;김석렬;윤현미;키타무라신이치;정성주;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11-220
    • /
    • 2007
  • Red sea bream iridovius (RSIV)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참돔 (Pagrus major), 돌돔(Oplegnathus fasciatus) 등 주로 돔류에 질병을 유발하는 어류 병원바이러스로 알려져 왔으나, 돔류 이외에도 감수성을 나타내는 어종이 매우 다양하며 아시아를 중심으로 고수온기에 대량 폐사를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체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RSIV에 대한 자연산어류에서 검출동향의 모니터링을 통해 금후 red sea bream iridoviral disease (RSIVD)에 대한 예방학적 접근의 일환으로서 자연산 어류로부터의 RSIV 검출 및 지리적 분포, 보균 어종에 대한 유전학적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는 2003년과, 2005년도에 동중국해역 3지점, 서해안 5지점 그리고 남해안 5지점에서 어류를 채집하여 PCR을 이용한 검출결과, 자연산 해산어류 160마리 중 39마리에서 RSIV가 검출되어 24.3%의 높은 검출율을 보였으며 특히 조사된 어류 중 상어목에서 가장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 자연산 어류에서 분리한 RSIV 분리주는 양식산어류에서 분리된 RSIV-K strain과 염기서열 분석에서 97.2%~100%, 아미노산 분석에서 94.7~100%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megalocytivirus Subgroup Ⅲ에 속함을 확인하였다.

2010~2012년 연안에서 서식하는 해산어에서 아니사키스 유충의 감염현황 (Current status of anisakid nematode larvae infection in marine fishes caught from the coastal area of Korea between 2010 and 2012)

  • 김위식;전찬혁;김정호;김도형;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7
    • /
    • 2012
  • 2010~2012년까지 남해안 연안에서 서식하는 총 9목 30과 50종 243마리의 자연산 해산어류를 대상으로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의 감염현황을 조사하였다.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의 감염률은 10.7% (26/243마리) 로 나타났으며, 2010년 여수 시료에서 7.4% (7/95마리), 2011년 여수와 제주 시료에서 각각 22.7% (5/22마리) 와 8.2% (5/61마리), 2012년 완도 시료에서 40.9% (9/22마리) 로 나타났다. 2011년 통영 및 완도 시료에서는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이 발견되지 않았다. 총 10종의 어류 (성대, 쏨뱅이, 넙치, 볼락, 삼치, 흰꼬리볼락, 점농어, 황놀래기, 독가시치 및 노래미) 26마리에서 분리된 89마리의 아니사키스과 선충 유충을 ITS gene을 타겟으로 한 PCR-RFLP 및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동정한 결과, 6종의 아니사키스충이 동정되었고 성대, 쏨뱅이, 넙치 및 볼락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감염율을 보였다: Anisakis pegreffii (53.9%, 48/89 아니사키스 유충), Hysterothylacium aduncum (38.2%, 34/89), H. fabri (3.4%, 3/89), hybird (A. simplex X A. pegreffii) (2.4%, 2/89), A. simplex (1.1%, 1/89), Raphidascaris lophii (1.1%, 1/89). 유충의 감염은 혼합감염 (19.2%, 5/26마리) 보다는 단독감염 (80.8%, 21/26마리) 이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