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ife-older marriag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우리나라 여성연상 결혼의 경제적 요인 : 실증분석 (Wife-older Marriage and Economic Factors : Empirical Analysis)

  • 성낙일;조동혁
    • 한국인구학
    • /
    • 제33권3호
    • /
    • pp.1-30
    • /
    • 2010
  • 본 연구는 2004~2007년 기간 중 혼인통계에 관한 통계청의 마이크로데이터서비스시스템 원자료를 사용해 지역, 교육수준, 직종, 결혼종류 등 각 항목별로 남녀 결혼연령차 및 여성연상혼 현황을 분석하고, 여성연상혼에 영향을 미친 결정요인을 로짓모형(logit model)과 다항로짓모형 (multinomial logit model)을 활용해 고찰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여성연상혼은 여성의 교육수준이나 직종 자체보다는 남녀의 교육수준 차이나 소득차이와 더 큰 관련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연상혼은 여성의 교육수준과 직종(소득)이 남성보다 우월할 때 더 많이 발생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남성의 소득이 여성보다 100만원 더 적을 경우에 여성연상혼 확률은 0.7% 가량 증가하였다. 동갑혼 선택확률의 결정요인은 여성연상혼과 비교해 약간 차이가 났다. 예를 들어, 여성이 재혼인 경우에는 남성연상혼과 비교해 여성연상혼 선택확률은 증가하였지만 동갑혼 선택확률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일반 대중매체를 통해서 종종 논의되었던 사회적 관심문제를 과학적 분석방법을 통해 규명해본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농촌의 가정생활주기 모형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Life Cycle Model in the Rural Area)

  • 최정화;김화임;이동태;정용복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8권1호
    • /
    • pp.83-100
    • /
    • 1990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understand of rural family life cycle(FLC) and to get a FLC model for the twentieth in rural area.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603 farm households in rural a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ge of first marriage was 21.5 years old(urban : 22.4), the first bearing 23.2(24.2), the last bearing 31.7(32.6), the first child marriage 47.2(46.5), and the last child marriage 59.7(52.7). The number of child and interval were 3.9 persons and 2.9 years respectively. From the survey results, the rural family life cycle was established. Establishment stage(from the marriage to the 1st child birth) : 21-23 yrs. Extension stage(from the 1st child birth to the last child birth) : 23-32 yrs. Complete extension stage(from the last child birth to the 1st child's marriage) : 32-47 yrs. Shrinking stage(from the 1st child's marriage to the last child's marriage) : 47-60 yrs. Complete shrinking stage(from the last child's marri ge to the death of husband) : 60-63 yrs. Dissolution stage(from the death of husband to the death of wife) : 53-75 yrs. 2) In general, the older the age, the younger the first marriage age, the greater the number of child, and the longer the interval of child bearing. The last child's marriage was too last to have the period of recovery stage. In terms of FLC by marital chorts, the later the year of marriage, the older the age of the first marriage and first baby bearing, the smaller the number of child, and the faster the launching stage.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older age of the first marriage and the first baby bering, the smaller the number of child, and the shorter the interval of child bearing. 3) Two types of rural FLC model for the twentieth were formulated. Type A was formulat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type B was formulated based on 『'88 population dynamics survey』 of Economic Planning Board(EPB). 「TYPE A」*Establishment stage(from the marriag to the 1st child birth) : 22.5-23.5 yrs. one child : the 1st child's marriage(49.5yrs), the death of husband(64.2yrs), the death of wife(71.7yrs) two children : the last child's birth(25.7yrs), the last child's marriage(51.7 yrs) three children : the last child's birth(27.9yrs) the last child's marriage(53.9yrs) 「TYPE B」*Establishment stage(from the marriage to the 1st child birth) : 25.3-26.3 yrs. one child : the lst child's marriage(52.3yrs), the death of husband(67.0yrs), the death of wife(74.5yrs) two children : the last child's birth(27.8yrs), the last child's marriage(53.8 yrs.) three children : the last child's birth(29.3yrs), the last child's marriage(55.3yrs).

  • PDF

중년기 주부의 가족관계향상을 위한 가족생활교육 요구도 분석 (Study on the Need for the Family Life Education among the Middle Aged Wives)

  • 김명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61-7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middle aged wives need for the family life education(FL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17 middle aged wives who's last child age over-18th. 1. The need for the FLE is indicated at the middle level, and we can see the strongest need of the being educated about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of the being educated about the wife itself, about the older parent relationship and about the spousal relationship by turn. 2. Wife's age, husband's age, duration of marriage, income, number of children, type of famil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eed for the family life education. 3. The middle aged wives want to educate about emotional control of leaving child, economic stability, teaching their child about value of marriage, and prevention and care of dementia. 4. This paper proposes that we should develope and execute not only the program of the FLE with respect to enough the need of the being educated, but also the programs of education about the grand parent role because of the increasing of the number of old aged people.

  • PDF

교육수준에 따른 한국인의 유배우기대여명 (A study on the Korean Average Marital Life Expectancy by a Standard of Education)

  • 우원규;조영태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93-111
    • /
    • 2009
  • 이 연구는 Wolfbein-Wool 노동생명표를 변형한 결혼생명표를 이용하여 교육상태에 따른 한국인의 평균유배우기대여명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5년 인구총주택조사와 사망원인통계자료를 사용하였고 교육수준은 초등학교이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이상 총 4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유배우율, 이혼율, 사별률과 사망률을 기초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배우기대여명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연령이 높아지면서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수준을 가진 사람의 격차가 크지 않았고 남자의 경우 더 높게 나타나기도 하였다. 2. 같은 교육수준을 가진 남자가 여자보다 유배우기대여명이 더 길었다. 3. 30세에 결혼한 남자는 대부분의 삶을 배우자와 살지만 모든 교육수준에서 여자는 홀로 10년 이상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배우기대여명은 교육수준에 따라 연령별, 성별 차이가 있었다. 결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인 유배우율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높았고, 이혼율은 교육수준이 높은 집단이 낮은 연령에서는 낮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제일 높았다. 한편 사별률은 배우자의 사망을 뜻하는데 같은 교육수준을 가진 사람들끼리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수준별 사망 형태를 가졌다.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과정 연구 (The Characteristics and Transitional Process of the Communication Behavior between Korean Husbands and Wives among Generations)

  • 이두원
    •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 /
    • 제17권1호
    • /
    • pp.129-151
    • /
    • 2009
  • 부부간 의사소통은 결혼 기간이 축적될수록 '공유된 경험세계'가 상대적으로 많은 반면 '친밀성'으로 인해 다양한 의사소통 문제들이 창출되는 산실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부간 의사소통은 표면적으로 매우 용이한 의사 소통 상황으로 비추어질 수 있지만 심층적으로 살펴보면 다양한 대인 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문제가 산재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연구는 한국사회의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를 각 세대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탐색해보고, 결혼생활이 축적됨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부부간 의사소통 행태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30대, 40대, 50대 부부, 즉 연령 동기자 그룹을 대상으로 대인 커뮤니케이션과정의 5가지 차원-개방적 태도 차원, 문제 해결 차원, 의사 표현 차원, 경청(傾聽) 차원, 피드백 차원에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간 의사소통 행위의 특성이 각 세대별로 파악 되었으며, 다시 의사 종단 분석을 통하여 개방적 태도 차원, 문제 해결 차원, 의사 표현 차원, 경청 차원, 피드백 차원의 부부간 의사소통 행위가 변천하는 과정을 추적해볼 수 있었다.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사회적 지지와 부양 부담: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n Burden of Spouse Caregiver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s)

  • 한경혜;이서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683-699
    • /
    • 2009
  • 고령화와 가족 구조의 변화로 노인 부양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그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배우자 부양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배우자 부양은 '돌봄' 외에도 '결혼 생활의 연장'이라는 특징이 있어 성인 자녀를 비롯한 기타 가족 부양자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험일 가능성이 크다. 또한 남편과 아내가 처한 맥락이 상이하므로 이들의 성별 차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를 돌보는 부양자에 초점을 맞추어 배우자 부양자의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1년 보건사회연구원에서 실시한 「장기요양보호 대상 노인의 수발 실태와 복지욕구」 자료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검증, X2검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부양 동기 및 사회적 지지가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부담의 하위 항목에 따라 차이점과 공통점이 각각 발견되었다. 부양 동기의 경우, 부인을 돌보는 남성의 부양 부담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남편을 돌보는 여성부양자에게서는 부양 동기와 부양 부담과의 관련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사회적 지지는 남성 부양자의 부양 부담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여성 부양자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적을수록 경제적 부담을 느낄 승산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양자의 건강상태와 피부양자의 ADL 수준은 남녀 모두의 신체적 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타나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배우자 부양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연구와 정책적 노력에 성인지적 관점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