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ole education

검색결과 1,616건 처리시간 0.028초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기준 연구: 국내외 영상물 등급 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Media for the Textbook: Based on the Review of domestic and foreign Media Rating Systems)

  • 박유신;이규정;손지현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7호
    • /
    • pp.295-333
    • /
    • 2017
  • 본 연구는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수록이 활발해짐에 따라 영상물 선정의 기준과 관련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하여 실행된 기초연구이다. 이를 위해 먼저 영상물이 어린이 및 청소년의 발달단계에 따른 정서적 영향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고 영상물과 학생의 정서 및 건강, 교육적 효과성 간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후 국내외 영상물 관련 심의 및 등급분류 기준을 폭넓게 검토함으로써 국가 수준의 정책 차원에서 영상물 등급제를 제도화 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위의 사항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일곱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편수자료 등에 영상물 선정 기준을 명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용도서에 수록하기 위한 영상물의 정치적 중립성과 인권 측면을 검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외 영상물 등급 제도의 범주 항목 및 연령별 준거를 참고하여 교과용도서 내 영상물 선정 지침을 상세화해야 한다. 넷째, 명백한 교육적 목적이 있을 경우에 한하여 영상물 등급 제도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교과용도서의 영상물 수록 지침 설정을 위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과용도서 개발 전 과정에 영상물 전문가 집단이 참여해야 한다. 일곱째, 교실 수업에서 교육용 영상물을 활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병행해야 한다.

일 지역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건강행태에 관한 연구 -2014 지역사회건강조사- (A Study on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 Behaviors in a Region -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

  • 안옥희;최성희;김서현;류시옥;최영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18-225
    • /
    • 2016
  • 최근 우리나라는 사회 경제적으로 급성장하면서 생활습관과 질병양상이 다양하게 변화하여 만성질환 발병에 중대 위협을 받고 있다. 특히 만성질환의 원인요소를 공통적으로 포함하고 있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은 예방관리가 시급하며 우리나라 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22.4%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SPSS 23.0을 사용하여 2014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 12,481명 중 충실히 응답된 전라북도 대상자 12,185명을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건강행태의 특성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유무 차이는 성별, 흡연, 연령, 교육수준, 격렬한 신체활동 일수 등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이상지혈증, 고혈압 및 당뇨가 있는 집단에게 음주, 흡연 및 격렬한 신체활동 요인에 관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참여를 활성화 시키는 방안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일 지역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 건강행태를 분석하여 건강생활실천 요소를 규명하고 건강증진 활성화에 기여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GIS 기법을 이용한 폐석면 광산의 위해성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s using GIS Method for the Abandoned Asbestos Mines)

  • 최진범;손일;노진환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3
    • /
    • 2011
  • 폐석면 광산의 위해성 평가는 통상 ABS 방식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조사지역 전반에 관한 위해성 경향을 파악하는 데 그치는 한계를 지닌다. 이 연구에서는 새로운 평가방식으로 잠재적 위해지수(PIHR)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석면 위해도를 계랑화하였다. PIHR 값에 대해 석면이 인체에 위해를 주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가중치를 부여한 후, 토양 내 석면 농도 값을 적용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의 적지선정기법을 활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어느 폐석면 광산에 적용한 결과, 잠재적 위해 지수가 매우 높은 지역은 전체 면적의 7.8%에 해당되는 27.3 ha이며, 위해성 평가는 미국 환경보호청의 종합위해정보시스템(IRIS) 모델을 적용하여 각각 만 명당 1명(석면농도 0.36% 이상), 3만 명당 1명(석면농도 0.1% 이상), 10만 명당 1명(석면농도 0.04% 이상) 평생초과 발암 위험도 기준으로 관리할 경우 3.0, 12.9, 19.5 ha로 면적이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광해 복원범위 선정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음식물 생쓰레기 분리배출과 지렁이퇴비화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감량 및 자원화 모델 연구 (Research on Reduction and Recycling of Food Waste by Separating Raw Food Waste and Earth Worm Composting in the Apartment)

  • 최광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7-146
    • /
    • 2011
  • In this research, food waste source reduction model for apartment was investigated. In spite of prohibition of direct landfill of food waste and continuous efforts made by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food waste production increases steadily. Recycling ratio of the food waste increases every year, but its products have many problems like low quality, stability, salt, odor etc. Household occupies 63.3% of whole food waste production and this is subject to be a key factor to control food waste. We surveyed S apartment in Kwangju city as a model case, in which administrative office and women's association adopted clean plate eating, separation of raw food waste and earth worm composting as a series of method for source reduction and recycling inside the apartment. With the help of residents' participation and practice, food waste production decreased 15.6% from 0.31 g/capita/day in 2007 to 0.26 g/capita/day in 2009 (domestic average 0.30 g/capita/day). Separation of raw food waste and its composting using earth worm were very effective, and were subject to resolve the problems of present food waste treatment technologies. And earth worm composting was very useful in environmental, economical, societal and educational aspects. Instead of economical incentive, educational programs about food value, environmental problem and critical method for food waste separation were more effective for promotion of source reduction. From the analyses on the process and success factors in this model, we could conclude that leader's role was one of the key factors for the settlement of source reduction, and that was to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food waste and to seek solution, to test techniques, and to practice by oneself. Furthermore, networking and collaboration among residents, local government, NGO and local press promoted residents' participation, and it was through various education and investigation. Finally, source reduction and self recycling model of food waste in the apartment, that applies separating raw food waste and earth worm composting based on the collaboration among residents, local government, NGO, and local press, should be disseminated, and environmental policy also should be changed to make it possible.

연령증가에 따른 영양지식 관심도와 식품섭취 및 식생활 양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level of concern with nutritional knowledge and food intake according to increasing age and the mode of food life)

  • 김이수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95-317
    • /
    • 2001
  • This study divided people into the age groups of their twenties, thirties, forties and more than fifties and multilaterally examined their nutritional knowledge and mode and attitude of food intake in order to survey the effects that the level of concern with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age has on the mode of food life with a sample of women in more than their twenties who live in the region of Seoul. If I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who are surveyed, in age their twenties accounted for the most part of 34.6 percent, and in educational background people who did not graduate from high schools accounted for 58.6 percent and jobless people 55.9 percent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se standard of living was thought to be in a middle level, and in the income of home, people with less than two million Won were universal, and in physical condition an average case accounted for 37.8 percent, but the case that most of people were fat(49.1%) was characterized by more than a thin case(13.1%,). In the object of survey the case of being nutritionally reeducated was as 76.1% higher than the case of not doing so, but the necessity for nutritional education was not felt by 62.7%,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ndicated according to age (p<.001***) and in the sources of nutritional knowledge mass media accounted for 49.3%. The knowledge about nutrition was well known as a whole and in evaluating nutritional knowledge, top group accounted for 75.4% and evaluating scores according to age showed differences, but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food intake and food habit, those who are surveyed was surveyed to observe the quantity of a meal (31.9%) best, and they were revealed in the order of 30.5%, of taking in fruits and 28.3%, of having meals regularly. In particular, in the regularity of meals,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age(P<.001***) was indicated by their fifties accounting for 38.7% and their twenties 10.9%. In food habit, regardless of age, the case of taking in marine algae for 0 to two days indicated 53.7% and the case of faking in greeny yellow vegetables 52.0%, and we could see that modern people evade the kind of vegetables, and in the scores of evaluating food habit a middle group accounted for 57.3% and as age increases, the group of higher age showed more desirable mode of food life than the one of lower age, showing statistical significance(p<.01**).

  • PDF

대학생들의 방사선에 대한 인식도 (University Students' Awareness of Radiation)

  • 김창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27-34
    • /
    • 2012
  • 2011년 3월 11일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한국 대학생들의 방사선과 의료 방사선에 대한 생각을 파악하여 방사선에 대한 적절한 교육 방법과 국민들의 방사선 안전에 대한 올바른 대중 커뮤니케이션에 대해 모색하고자 전국 5개도(경기, 강원, 충청, 전라, 경상도)의 4년제 방사선학과가 설치된 대학교에서 790부 설문지를 수거한 후 분석하였다. 설문은 3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방사선이 위험하다'고 느끼는 중요 원인 중 하나는 '적은양의 방사선을 쪼여도 나중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3.28{\pm}1.05$)로 분석됐다. 방사선에 대한 관리에서는 개인보다는 정부가 나서야 된다는 응답자가 $3.87{\pm}0.89$으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자력 발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쪽으로 나의 생각을 바꾸게 했다'라는 문항에는 $2.79{\pm}0.95$로 나타났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의료 방사선에 대한 생각이 부정적으로 바뀌었다'라는 문항에는 전체적으로 $2.64{\pm}1.02$, 방사선학과 $2.31{\pm}1.00$, 치위생학과 $2.94{\pm}0.95$, 기타학과 $3.13{\pm}0.82$로 방사선과 관련된 교과목을 수강 경험이 없는 기타학과 학생일수록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방사선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82.28%로 나타났으며, 그 중 T.V나 인터넷이 가장 효율적인 교육 방법으로 나타났다.

Levels of common salivary protein 1 in healthy subjects and periodontal patients

  • Heo, Seok-Mo;Lee, Sol;Wang, HongTao;Jeong, Jeong Hyeok;Oh, Sang Wook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6권5호
    • /
    • pp.320-328
    • /
    • 2016
  • Purpose: Human saliva, as a vital part of the immune defense system, contains a number of distinct proteins and peptides. Recently human common salivary protein 1 (CSP1) has been identified as an abundant salivary protein and may play a role in promoting the binding of cariogenic bacteria to salivary pellicles. However, nothing else is known regarding the role of CSP1 in periodontolog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and compare CSP1 levels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eriodontal patients. Methods: This controlled clinical study was conducted in periodontally healthy individuals and patients with chronic periodontit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Institutional Review Board approval. Whole saliva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6 healthy subjects and 33 chronic periodontitis patients and analyzed.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immune blotting were conducted to ensure that anti-CSP1 monoclonal antibody (mAb) binds to CSP1 in human saliva. A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system was house-fabricated using mAb-hCSP1#14 and mAb-hCSP1#4 as a capture and a detector mAb, respectively. The CSP1 concentrations in saliva from 36 healthy subjects and 33 periodontal patients were quantified using the CSP1 sandwich ELISA system,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Student's t-test. Results: Immunoblot analysis using mAb-hCSP1 as a probe confirmed that CSP1 in human saliva existed as a single band with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27-kDa. The quantification of CSP1 concentrations by CSP1 ELISA showed that the median values (25th to 75th percentiles) of periodontal patients and healthy subjects were 9,474 ng/mL (range, 8,434.10,139 ng/mL) and 8,598 ng/mL (range, 7,421.9,877 ng/mL), respectively. The Student's t-test indicated the presence of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 groups (P=0.024). Conclusions: The presence of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SP1 levels between healthy subjects and periodontal patients suggests that CSP1 may be a potential biomarker for the detection or screening of periodontitis patients.

퇴행성 근골격계 질환을 가진 중년여성이 지각한 가족지지의 자아존중감의 관계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of Middle Age Women with Degenerative MusculoSkeletal Diseases)

  • 강경자;이은진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5-24
    • /
    • 2000
  • Middle age for wome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tages of the whole normal life span and has unique problems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specifically degenerative musculoskeletal diseases. Therefore middle age women should prepare in order to lead a healthy and fruitful life as they enter/begin old age. As the population of middle age women increase, the demands of nurses who care for this age group also continue to glow. Nurses must be interested in this middle age group of women in Korea.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extent of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of the middle age women with degenerative musculoskeletal diseas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nurse's contribution to middle age women's health promotion that maintain and promote qualify of her life.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112 women aged 40-60, attending the out patient clinic one University Hospital and one Hospital, in Pusa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st August to the 30th of September, 1998 by using 36 items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used for measuring family support was of Chai's(1983) FSS which was modified by Kang's(1984) Family Support Scale. And that for self-esteem was Rosenberg's(1965) Self-esteem Scale. The reliability of Chai's FSS and Rosenberg's instruments were tested by Cronbach's alpha and showed that they were 0.93 and 0.89 each respectively.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computer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family support was $39.31{\pm}9.42$. 2. The mean score of the perceived self-esteem was $33.16{\pm}6.75$. 3.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family support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was satisfaction of marriage(F=-3.069, p<0.003). 4.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self-esteem among sociodemographic variables were age(F=3.992, p=0.000), education(F=2.260, P=0.026), housing (F=-1.987, P=0.049) and satisfaction of marriage(F=-2.305, P=0.023). 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family support and self-esteem (r=.621, p<.000). In conclusion, perceived the family support was important for middle age women to increase their self-esteem. Nurses should be aware of the necessity of family support in the supportive nursing of middle age women and should be able to make a plan to educate the family about supporting the wife/mother. The continuing study of the health promotion of middle age women to find out variables influencing middle age women' health must continue.

  • PDF

중학교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중재방안으로서의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Reading Comprehensive Strategy Program for Underachieving Gifted Students)

  • 최선일;진석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5권4호
    • /
    • pp.649-66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함으로써, 미성취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안을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읽기 이해 구성주의 모형과 읽기 이해 전략 모형에 따라 미성취 영재학생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미성취 영재의 조작적 정의에 근거하여 36명의 미성취 영재학생을 판별하였다. 판별된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프로그램 전 후 읽기 이해 능력, 읽기 메타 인지 능력, 학교 성적 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읽기 이해 전략을 이외의 다른 미성취 요인들로 인한 미성취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미성취 영재 학생과 그들의 선생님을 면담하였다. 연구 결과,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은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의 읽기 메타인지 능력과 읽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켰으며, 그들의 학업 성취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특히 미성취 영재로 판별된 36명의 학생들 중 3분의 1에 해당하는 12명이 읽기 이해 전략 프로그램을 통하여 미성취 수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할 때, 중학교 미성취 영재학생들에게 읽기이해 전략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학습전략을 체득하도록 하는 것은 그들의 미성취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의 육상 탄성파탐사 (On-Land Seismic Survey of Korea)

  • 권병두
    • 자원환경지질
    • /
    • 제39권4호
    • /
    • pp.441-450
    • /
    • 2006
  •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육상탄성파탐사를 실시한 것은 1960년대 중반이다. 탄성파탐사와 관련된 최초의 보고저가 나온 것은 국립지질조사소의 김종수박사 등이 1964년 포항지역의 석유부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한 반사법 탄성파탐사와 서울대학교의 현병구교수가 탄광의 갱도 주벽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굴절법탐사이다. 이후, 국립지질조사소 기본연구계획의 일환으로 경상계 퇴적분지의 층후 및 지질구조 조사를 위한 굴절법탐사가 실시되었다. 1970년대 들어서는 지하수조사, 광물자원탐사, 땅굴조사, 원자력 발전소 지반조사 등 탐사의 대상과 목적이 다양해졌으며, 1978년에는 CDP기법을 이용한 반사법탐사가 경상분지 지역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이후, 육상 탄성파탐사는 토목건설 분야에서 지반조사를 위한 굴절법탐사를 위주로 이루어지다가, 1990년대 들어서서 고해상반사법탐사와 탄성파토모그래피 및 다양한 시추공 탄성파탐사가 시도되었다. 이와 함께 응용분야도 단층대나 조간대와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학술적 목적의 연구와 더불어 고속도로, 철도, 댐 건설 등 각종 토목엔지니어링, 지열과 광물 자원탐사, 매립지나 해수침투 지역 등의 환경영향 조사, 문화재 안전관리를 위한 고고학에의 응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2002년에는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측선 상에서 지각규모의 탄성파탐사가 이루어져 육상탄성파탐사 연구의 새 장을 열게 되었다. 그 동안 우리나라 대륙붕과 해외 유전지역에서의 활발한 석유탐사를 통하여 이룩한 탐사기술의 자립화와 자료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이룩한 기술적 발전은 앞으로 육상탄성파탐사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