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pigment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3초

산란계 사료에 천연 및 합성착색제 첨가가 산란성적, 난질, 난황의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

  • 김창혁;이성기;이규호
    • 한국가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가금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13-115
    • /
    • 2002
  • 본 시험은 시판 착색제의 형태 및 혼합 수준에 따른 산란성적, 난황 착색도 및 난황 지방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 1과 2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1과 실험2에서 사료섭취량, 산란율, 난중 및 사료효율은 착색제의 첨가에 따른 영향이 없었으며, 난질에 있어서도 난백고와 haugh unit은 착색제 첨가와 전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1에서 난황착색도가 Roche color fan 12∼13에 근접하기 위한 천연 red 착색제 첨가 수준은 25∼30ppm이었고, 합성 red 착색제는 15∼20ppm이었으며, 본 시험의 조건에서는 천연착색제보다 합성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2에서 착색제 혼합에 따른 착색 효과는 천연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2구와 동일한 양의 합성 red 착색제를 첨가한 TM6구를 비교하였을 때, 천연 red 착색제 보다 합성 red 착색제의 착색효과가 우수하였다. 난황내 지방산 함량은 착색제 첨가로 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

랫드 및 토끼에 대한 치자 황색색소에 관한 단회 투여 경구 독성 시험 (Single-Dose Oral Toxicity of the Gardenia Yellow Pigment in Rate and Rabbits)

  • 김희구;이상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7-81
    • /
    • 1998
  • 치자에서 분리한 황색색소에 대한 랫드 및 토끼에 있어서의 단회투여 경구 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황색색소는 랫드의 경우 5,000, 2,500, 1,250, 625, 312,5 및 1mg/kg의 용량으로 경구로, 토끼에는 5,000, 2,500 및 1,250mg/kg의 용량으로 경구로 암.수 각각에 1회 투여한 후 14일 동안 관찰하였다. 시험결과에 있어 랫드 및 토끼의 모든 황색색소 투여군에서 사망예, 임상증상, 체중변화, 육안적 소견 및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특기할만한 이상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랫드와 토끼에서 황색색소의 LD50치를 산출할 수 없었다. 따라서 LD50치는 랫드 암.수 모두에서 체중 kg당 5,000mg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치자로부터 분리한 황색색소는 랫드 및 토끼에서 단회 투여 경구 독성시험에서 어떠한 독성 및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제제로 사료된다.

  • PDF

Pigment and Saikosoponin Production Through Bioreactor Culture of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 Wenyuan Gao;Lei Fan;Hahn, Eun-Joo;Paek, Kee-Yoeup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권1호
    • /
    • pp.1-5
    • /
    • 2001
  • Traditional culture technology of medicinal plants mainly depends on the field culture, which has many problems. With progress of modern culture technology,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duce valuable secondary metabolites from medicinal plants. In this paper, we discuss about the pigment and saikosaponin production from too medicinal plants,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through bioreactor culture system. A two-stage bioreactor culture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production of yellow and red pigments and saikosaponins by cell suspension cultures of Carthamus tinctorius and Bupleurum falcatum. In Carthamus tinctorius, balloon type airlift bioreactors and column type airlift bioreactors were employed for the tell culture and for the pigment production, respectively. The greatest pigment production was obtained on White medium supplemented with 4 mg/L kinetin, high levels of sucrose concentration and photosynthetic photon flux. In Bupleurum falcatum, adventitious roots were cultured in balloon type airlift bioreactors and the root growth was greatest on SH medium containing 5 mg/L IBA and 0.2 mg/L kinetin.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ents of main active saikosaponins a, c, and d in adventitious roots were almost the same as those in field cultured root.

  • PDF

전통 호분(합분) 제조기술 연구 : 소성방법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Hobun(Oyster shell W.) Manufacturing Technique : Centering on Calcination Method)

  • 이한형;김순관;김호정;정혜영
    • 보존과학회지
    • /
    • 제23권
    • /
    • pp.103-118
    • /
    • 2008
  • 호분(합분)은 패각을 주원료로 하여 체질안료 및 백색안료의 용도로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물질로, 과거의 제조기술이 사라져가는 전통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재료의 제조기법을 되살리고 문화재보수재료로서 원활한 공급의 기초를 마련하기 위하여 과거 호분의 제조기법 중 패각의 소성에 의한 제조기술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소성법의 전체공정은 크게 4단계, 소성단계 ${\rightarrow}$ 소화(또는 분쇄)단계 ${\rightarrow}$ 수비단계 ${\rightarrow}$ 건조단계로 요약할 수 있으며, $600^{\circ}C$ 이하의 소성온도에서 패각 중에 존재하는 유기질의 분해산물에 의해 백색도가 낮아지며, 좋은 백색도를 위해 최소 $700^{\circ}C$ 이상의 소성온도가 필요함을 밝혔다. 또한 조사된 제조기술에 의거해 생산된 호분은 상당량의 수산화칼슘을 함유하며, 그대로 안료로서 사용이 부적합하고, 별도의 가공단계가 필요함을 임상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한편, 한국화의 안료사용기법에서 소개되고 있는 호분의 사용법은 이러한 가공단계가 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이 방법은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으므로, 소량 고품질 호분의 생산에 적합할 것으로 추론하였다.

  • PDF

동국대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Wooden Gamsil with Inscription of "Botajeon" in the Collection of the Dongguk University Museum)

  • 이의천;강민지;박정혜;김수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7권
    • /
    • pp.125-146
    • /
    • 2022
  •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보타전명 목조감실은 조선후기 목조 건축 양식으로 제작한 목조감실이다. 목조감실 안료의 박락, 부재의 탈락 등 손상이 확인되어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 전 손상형태와 유형을 분류하고, 과학적 분석(수종 분석, 섬유 동정, 안료의 성분분석(P-XRF))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제작에 사용된 목재는 주로 잣나무류, 현판은 가래나무속, 섬유는 벼섬유로 식별되었다. P-XRF 결과, 백색 안료는 연백과 아연화, 적색안료는 장단, 청색안료는 울트라 마린 블루, 녹색 안료는 에메랄드 그린으로 확인하였다. 목조감실의 보존처리는 건식·습식세척으로 고착된 오염물을 제거한 후 탈락한 부재들을 위치에 맞게 접합하고, 일부 결손부를 복원하였다.

피부에서의 백삼 분획물의 멜라닌 색소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White Ginseng Fraction on Skin Pigmentation)

  • 조연옥;공연희;이영철;김성수;최상윤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2-194
    • /
    • 2008
  • In our previous study, ethylacetate fraction of white ginseng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 inhibited mushroom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melanocytes. This study examined its effects on the expression of melanin biosynthesis-related enzymes to explore the depigmenting pathway. Moreover, depigmenting effect on animal skin was examined using UV-B induced hyperpigmented skin of brown guinea pigs. The ethylacetate fraction of the white ginseng extract exhibited depigmenting activity in the skin of brown guinea pig without visible edema. In addition, this fraction reduced tyrosinase expression in melanocytes. The results suggested that ethylacetate fraction of white ginseng extract might be used as skin depigmenting material by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and expression.

저장상대습도(貯藏相對濕度)가 백삼품질(白蔘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제1보(第1報) : 등온흡습곡선(等溫吸濕曲線)과 TBA가(價), 지용성(脂溶性) 및 수용성색소(水溶性色素)의 변화(變化)- (Effect of Relative Humidities on the Qualities of White Ginseng during Storage -I. On the Sorption Isotherm and Changes of TBA Value, Fat Soluble and Water Soluble Pigment-)

  • 노혜원;도재호;김상달;오훈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7-31
    • /
    • 1983
  • 백삼(白蔘)을 상대습도별(相對濕度別)로 장기보존(長期保存)하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지질산패도(脂質酸敗度), 지용성(脂溶性) 및 수용성색소(水溶性色素)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단분자층(單分子層) 수분함량(水分含量)은 백삼(白蔘)이 6.68g/100g, 백삼분말(白蔘粉末)이 7.81g/100g이었으며 그때의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는 각각(各各) 0.16, 0.18이었다. TBA가(價)는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할수록 증가(增加)하였으며 상대습도(相對濕度) 96%인 경우에 가장 컸으며 23%, 32%인 경우에 가장 낮았다. 지용성(脂溶性) 및 수용성색소(水溶性色素)의 변화(變化)도 상대습도(相對濕度)가 높을수록 저장기간(貯藏期間)이 경과하면서 급격한 증가(增加)를 보였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백삼(白蔘)을 장기간(長期間) 보존(保存)할 경우 단분자층(單分子層) 수분활성도(水分活性度)보다 다소 높은 $0.23{\sim}0.32$에서 저장(貯藏)하는 것이 품질정정화(品質定定化)를 위한 최적조건(最適條件)이라 보이며 적어도 Aw=0.57 이하(以下)의 조건(條件)을 유지(維持)시켜야 된다고 생각된다.

  • PDF

통도사 괘불탱의 채색상태 및 사용 안료의 과학적 분석 (Diagnosis of Coloration Status and Scientific Analysis for Pigments to Used Large Buddhist Painting(Gwaebultaeng) in Tongdosa Temple)

  • 이장존;안지윤;유영미;이경민;한민수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31-442
    • /
    • 2017
  • 본 연구는 양산 통도사 괘불탱의 손상 및 채색 상태 유형에 대한 자료를 확보하고, 비파괴 방법과 박락된 시편의 교차분석을 통한 채색 안료의 종류를 밝혀내고자 하였다. 괘불탱의 손상 유형을 확인한 결과, 꺾임과 접힘, 들뜸, 결실, 박락 등이 관찰되었다. 채색 안료 분석 결과, 적색 계열의 안료는 연단과 진사, 유기 안료가 사용되었고, 녹색 안료는 공작석과 염화동(녹염동광)을 사용하였으며, 청색 안료는 석청과 군청, 백색 안료는 연백과 활석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황색 안료는 연백과 유기 안료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연백 위에 유기 안료를 덧칠하였으며, 흑색 안료는 먹을 사용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박락된 시료를 수습하여 안료의 입자상태 분석을 통해 녹색안료의 결정형을 쉽게 구분할 수 있었으며, 진한청색과 연한청색도 마찬가지로 입자의 크기나 형태가 원료의 상이함에 따라 서로 다름을 확인하였다. 또한, 황색과 자색은 입자감이 없는 유기안료를 사용하였으며, 특이하게 어두운 적색은 주황색과 먹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화기에 기록된 안료명에 대한 고찰 (A Consideration of Pigments name on Ceremonial writing of Youngsan Ritual Ceremony Buddhist Painting, BongJeongsa)

  • 송유나;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3-25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에 대한 비파괴성분 분석과 현미경 관찰을 통해 괘불에 채색된 안료의 화학적 성분 및 채색 기법을 해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괘불의 화기에 명시되어 있는 채색 재료의 명칭에 대한 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백색 안료는 연백, 황색 안료는 석황, 유기염료, 적색 안료는 진사/주, 연단, 대자, 적색 염료을 사용하였으며, 녹색 안료는 석록 또는 녹염동광, 청색 안료는 석청, 쪽, 흑색은 먹을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화기에 명시된 안료 이름은 주홍, 중청, 하엽, 황단, 황금 등으로 주홍은 진사(천연) 또는 주(인공), 중청은 석청, 하엽은 석록 또은 녹염동광, 황단은 석황, 황금은 금박인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