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fruitbody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19초

Molecular Marker Related to Fruitbody Color of Flammulina velutipes

  • Kong, Won-Sik;You, Chang-Hyun;Yoo, Young-Bok;Kim, Gyu-Hyun;Kim, Kwang-Ho
    • Mycobiology
    • /
    • 제32권1호
    • /
    • pp.6-10
    • /
    • 2004
  • White and brown strains of Flammulina velutipes were inter-crossed. All $F_1$ showed light-brown fruitbody, suggesting that a gene for the brown fruitbody was incompletely dominant against the white one. And backcross experiment showed that more than two genes were involved in color determination. To isolate a molecular marker linked to fruitbody color, a set of primers was designed from a sequence of clones derived by a bulked segregant analysis. These markers showed a specific band which co-segregated with brown fruitbody forming strains.

느타리버섯 생육온도와 자실체의 발생과 생장 (Initiation and growth of fruitbody of oyster mushroom as affected by cultivation temperature)

  • 전창성;공원식;유영복;장갑열;백수봉;천세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3-38
    • /
    • 2006
  • 느타리버섯 병재배에서 온도처리에 따른 품종간의 차이와 생리적 특성을 확인하기위하여 온도에 따른 시험을 수행한 결과 느타리버섯의 품종에 따라 온도처리별 발이 및 수량성에서 각기 다른 반응을 보였다. 특히 원형3호는 $16.5^{\circ}C$이상에서는 발이하지 않았으나 $13^{\circ}C$에서 발이 후 모든 온도처리에서 생장하였다. 고온성인 삼복느타리버섯은 $10^{\circ}C$에서는 발이 후 생장을 못하고 고사하였으며, $13^{\circ}C$에서 발이시킨 후 10, $25^{\circ}C$의 온도로 변온처리에서는 정상적으로 생장하지 못하였고, 수량도 얻지 못하였다. 자실체 색깔은 고온에서는 백색에 가깝게 변하며, 저온의 경우 회색계열의 품종은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갈색계열의 버섯은 진한 갈색으로 변하였다. 발이 특성은 저온에서는 균일하고 양호하였으나 온도가 높아지면서 불균일하고 배지표면에서 부분적 발이현상으로 인하여 수량성과 품질이 낮았다. $13^{\circ}C$에서 생장한 흑색의 버섯을 $23^{\circ}C$로 이동하여 갓 색이 백색인 버섯을 다시 $10^{\circ}C$ 변온처리를 하면 흑회색으로 변화하였다. 이런 온도에 따른 자실체의 색의 변화에 의해 느타리버섯의 갓 색은 온도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Studies on the Effect of Vinyl Mulching on Pleurotus Cultivation - Bunch Formation an Pleurotus sajor-caju(III) -

  • Oh, Se-Jong;Shin, Pyung-Gyun;Jang, Kab-Yeul;Kim, Hee-Kyu
    • Mycobiology
    • /
    • 제31권1호
    • /
    • pp.54-56
    • /
    • 2003
  • Perforated vinyl mulching technique was performed on Pleurotus sajor-caju beds to assess fruitbody formation. Individual fruitbody of P. sajor-caju was transformed into bunch type on vinyl mulching bed. It was effective to grow the mushroom without waterlogging and abortion of small pins on the beds as well as hygienical bed management. A bunch showed 79 fruitbodies and 225 g of weight. Available site for fruiting was reduced up to 20% in comparison of 100% for conventional bed. The color of fruitbody turned on brownish white from treated vinyl mulching bed.

여름느타리 버섯류의 미토콘드리아 DNA 비교 (Variations in Mitochondrial DNA of Pleurotus sajor-caju)

  • 변명옥;김경수;유창현;차동열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7-121
    • /
    • 1994
  • 여름느타리버섯 Pleurotus sajor-caju 균주를 인디아, 파푸아뉴기니아를 포함한 5개국으로부터 수집하였다. 파푸아뉴기니아 균주는 흰색 자실체를 형성하나 나머지 4개 지역 균주는 갈색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갈색 자실체와 백색 자실체로부터 각각1핵 균주를 얻어 서로 교배하였다. 그들은 다른 교배형을 나타냈으며 갈색종은 $A_1A_2B_1B_2$이었고 백색종은 $A_3A_4B_3B_4$이었다. 여름느타리버섯 5개 균주의 균사체에서 DNA를 분리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DNA는 bisbenzimide-CsCl 초원심 분리에 의해 핵 DNA와 분리되었다. 5개 균주중 2개 균주의 미토콘드리아 DNA는 EcoRI 제한효소 패턴이 다르게 나타났다. 분리된 각 band의 절편 크기를 합산한 미토콘드리아 DNA크기는 60-65 kb로 추정되었다.

  • PDF

팽이버섯 자실체 색택의 유전연구 (Studies on the Inheritance of fruitbody color in Flammulina velutipes)

  • 변명옥;공원식;김영호;유창현;차동열;이두형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4호통권79호
    • /
    • pp.237-245
    • /
    • 1996
  • 팽이버섯 야생종과 재배종들의 esterase isozyme 밴드패턴을 비교하고 그 중 특정 야생종 ASI 4019균을 단포자 분리후 교배형을 결정하였다. 단포자의 PDA plate상에 색소 집적과자실체 형성관계를 비교한 결과, 갈색 색소를 집적시킨 단포자와 색소를 집적시키지 않은 단포자간 교배시 갈색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며 색소를 집적시키지 않은 백색 단포자간 교배한 결과 백색 자실체를 형성하였다. 백색자실체는 재배종의 백색과 색택이 다르게 나타났다. 백색 균사체를 나타내는 단포자와 재배종 단포자를 교배한 결과 연갈색 자실체가 나타났으며 이 Fl의 단포자를 재배종 단포자와 여교배하여 BC1F1을 비교한 결과 1계통은 연갈색 자실체만 형성하고 또 다른 한계통은 연갈색 자실체 8개, 연갈색과 백색 자실체가 혼합된 것이 2개 있었다.

  • PDF

Studies of Molecular Breeding Technique Using Genome Information on Edible Mushrooms

  • Kong, Won-Sik;Woo, Sung-I;Jang, Kab-Yeul;Shin, Pyung-Gyun;Oh, Youn-Lee;Kim, Eun-sun;Oh, Min-Jee;Park, Young-Jin;Lee, Chang-Soo;Kim, Jong-Gu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53-53
    • /
    • 2015
  •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transformation(ATMT) of Flammulina velutipes was used to produce a diverse number of transformants to discover the functions of gene that is vital for its variation color, spore pattern and cellulolytic activity. Futhermore, the transformant pool will be used as a good genetic resource for studying gene functions.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was conducted in order to generate intentional mutants of F. velutipes strain KACC42777. Then 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 harboring pBGgHg was transformed into F. velutipes. This method is use to determine the functional gene of F. velutipes. Inverse PCR was used to insert T-DNA into the tagged chromosomal DNA segments and conducting sequence analysis of the F. velutipes. But this experiment had trouble in diverse morphological mutants because of dikaryotic nature of mushroom. It needed to make monokaryotic fruiting varients which introduced genes of compatible mating types. In this study, next generation sequencing data was generated from 28 strains of Flammulina velutipes with different phenotypes using Illumina Hiseq platform. Filtered short reads were initially aligned to the reference genome (KACC42780) to construct a SNP matrix. And then we built a phylogenetic tree based on the validated SNPs. The inferred tree represented that white- and brown- fruitbody forming strains were generally separated although three brown strains, 4103, 4028, and 4195, were grouped with white ones. This topological relationship was consistently reappeared even when we used randomly selected SNPs. Group I containing 4062, 4148, and 4195 strains and group II containing 4188, 4190, and 4194 strains formed early-divergent lineages with robust nodal supports, suggesting that they are independent groups from the members in main clades. To elucidate the distinction between white-fruitbody forming strains isolated from Korea and Japan,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ir SNP data with group I members as outgroup. However, no significant genetic variation was noticed in this study. A total of 28 strains of Flammulina velutipe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genomic regions responsible for producing white-fruiting body. NGS data was yielded by using Illumina Hiseq platform. Short reads were filtered by quality score and read length were mapped on the reference genome (KACC42780). Between the white- and brown fruitbody forming strain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SNPs can be detected among the white strains as homozygous because white phenotype is recessive in F. velutipes. Thus, we constructed SNP matrix within 8 white strains. SNPs discovered between mono3 and mono19, the parental monokaryotic strains of 4210 strain (white), were excluded from the candidate. If the genotypes of SNPs detected between white and brown strains were identical with those in mono3 and mono19 strains, they were included in candidate as a priority. As a result, if more than 5 candidates SNPs were localized in single gene, we regarded as they are possibly related to the white color. In F. velutipes genome, chr01, chr04, chr07,chr11 regions were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white fruitbody forming. White and Brown Fruitbody strains can be used as an identification marker for F. veluipes. We can develop some molecular markers to identify colored strains and discriminate national white varieties against Japanese ones.

  • PDF

백색자실체를 형성하는 영지 균주의 비정형(非定型) 자실체 구조의 형성 (Atypical Fruiting Structure Formation of White Fruitbody-Forming Isolates in Ganoderma lucidum)

  • 서건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322-327
    • /
    • 1999
  • 영지버섯 원목재배시 발생한 백색자실체에서 2핵 균사체 5균주를 분리하였다. 이들 균주의 자실체는 정상적인 갓, 자실층, 대로 분화되지 않았고, 발생해서 3개월 후에도 착색되지 않았다. 이들 백색자실체 형성균주와 재배용 균주는 배지상에서의 생장률, 균총의 색 그리고 비정형자실체(atypical fruiting structure; AFS) 형성에 차이를 보였다. 백색자실체 형성균주는 환기와 광 조건하에서 갈색의 AFS를 쉽게 형성하였다. Gl-010과 Gl-011 균주는 암상태와 BLB 광을 조사하였을 때에는 AFS를 형성하지 않았지만, 가시광선하에서는 AES를 형성하였다. 이들 균주의 AFS형성은 $0.5{\mu}mol\;m^{-2}\;s^{-1}$ 이하의 약한 광에서 잘 형성되었고, 그 이상의 광도에서는 억제를 받았다. 한편, Gl-010과 Gl-011 균주 이외의 4 균주는 암상태와 BLB에서도 AFS를 잘 형성하였으나, 이들의 모균주인 Gl-030은 어때한 광 조건하에서도 AFS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AFS에서 형성된 담자포자를 발아시켜 얻은 단핵 균사체는 모균주와 화합성이었다.

  • PDF

Breeding of Flammulina velutipes Strains Adaptable to Elevated-temperature

  • Kong, Won-Sik;Cho, Yong-Hyun;Jhune, Chang-Sung;Yoo, Young-Bok;Kim, Kwang-Ho
    • Mycobiology
    • /
    • 제32권1호
    • /
    • pp.11-16
    • /
    • 2004
  • Winter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needs low temperature during its cultivation. To save on farm costs, especially during summer, a strain adaptable to a higher or elevated-temperature must be developed. At the start of breeding program, parental strains which could endure high temperature were obtained. Seuenty four dikaryotic strains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emperature. They also had different fruiting temperature. Finally we selected three brown strains ASI 4048, 4057 and 4072, and collected their spores. These selected strains can germinate even at a high temperature of $32^{\circ}C$, which were dramatically higher than the other strai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w white strain adapted to mid-temperature by backcross mating was developed. Molecular markers were applied to select white fruitbody producing strains without cultivation. They showed a specific band which co-segregated with brown fruitbody forming strains in $BC_1F_1$ progenies. Selected white strains were tested under several elevated temperature conditions.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 단포자 분리주의 유전적 변이성 (Genetic Variability of Flammulina velutipes Monosporous Isolates)

  • 공원식;김동현;김영호;김경수;유창현;변명옥;김광호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2호통권81호
    • /
    • pp.111-120
    • /
    • 1997
  • 팽나무버섯[Flammulina velutipes(Curt. ex Fr.) Singer]의 새로운 우량균주를 육성하고자 단핵균주를 분리하여 이들의 특성을 조사하고 계통내 교배 시험한 결과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모균주에 비해 균사생장의 변이가 적고, 균총의 색이 모두 백색이며 RAPD 밴드로 본 변이가 적었던 반면,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된 단핵균주는 균총의 색이 백색, 갈색, 연갈색으로 분리되고 RAPD 밴드에 다양한 변이를 보였다. 또한 백색 재배종의 교배형은 A1A2B1B2 교배형이었으나, 갈색 야생종의 교배형은 백색종과 교배형이 다르게 나타나 A3A4B3B4교배형으로 결정하였다. 백색 재배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간 자식교배에 의하여 육성한 이핵균주는 모본보다 자실체 수량이 적고 수량의 변이 폭이 컸다. 갈색 자생종에서 분리한 단핵균주를 서로 교배한 결과 자실체의 색깔에 변이를 나타내었는데 백색 자실체를 형성하는 교배균주 중에는 모본보다 수량이 많은 이핵균주도 있었다. 따라서 갈색 자생종의 자식교배로 현재 재배되는 순백계와는 다른 새로운 백색계통을 육성할 수 있었다.

  • PDF

흰목이균과 Hypoxylon sp.의 균사생장 및 성분분석 (Ingredient Analysis and Mycelial Growth of Tremella fuciformis and Hypoxylon sp.)

  • 장현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6권1호
    • /
    • pp.25-35
    • /
    • 2014
  • 흰목이균은 배양 9일째 24mg/25mL로 peak를 나타내고 그 이후의 생장은 완만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단백질 함량은 배양 8일째까지 급속히 0.69㎍/mL으로 peak를 나타내고 그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고온성 흰목이 및 Hypoxylon sp.의 유리당 분석을 sugar alditol acetate 유도체를 GC로 분석하고 HPLC로 80% 메탄올 추출물을 농축한 다음 elution buffer로 녹여 분석한 결과 유리당 중 6탄당인 galactose와 glucose, 5탄당인 fructose, 이당류인 trehalose의 함량을 각각 조사한 결과, 고온성 흰목이의 경우 자실체에는 galactose의 함량이 높았고 균사체에는 이당류인 trehalose가 총 당량 중 42.6%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