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Sea

검색결과 209건 처리시간 0.026초

목시조사(2000-2010)에 의한 한국 연안 고래류의 종류 및 분포 (Distribution of Whales and Dolphins in Korean Waters Based on a Sighting Survey from 2000 to 2010)

  • 손호선;박겸준;안용락;최석관;김장근;김현우;안두해;이영란;박태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86-492
    • /
    • 2012
  • In the late 1970s, the National Fisheries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NFRDI) started cetacean research to submit the Korean whale catch record to the International Whaling Commission. This continued until the moratorium on commercial whaling in 1986. The NFRDI resumed cetacean research with a pilot whale sighting survey in 1999. Subsequently, the NFRDI has conducted 53 cetacean sighting surveys within the Korean exclusive economic zone between 2000 and 2010. The surveys took a total of 760 days and cruising for 23,866 nautical miles.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asiaeorientalis was sighted most frequently (735 times), followed by the minke whale Balaenoptera acutorostrata (396 times), the long-beaked common dolphin Delphinus capensis (102 times), and the Pacific white-sided dolphin Lagenorhynchus obliquidens (27 times). Minke whales were distributed in the Yellow Sea and coastal area of the East Sea from spring to fall. Pacific white-sided dolphin sightings were restricted to the middle and upper coastal areas of the East Sea in summer. Common dolphins were sighted from east of the southern coast to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spring to fall. Finless porpoise occurred in all Korean coastal areas, except the middle and upper eastern coast.

비백색 잡음 환경에서 정합필터 성능개선을 위한 백색화 기법 (Whitening Method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Matched Filter in the Non-white Noise Environment)

  • 김정구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5-19
    • /
    • 2006
  • 비백색잡음(non-white noise)인 잔향(reverberation)이 신호탐지(signal detection)의 주 방해신호인 천해 능동소나(active sonar) 환경에서의 표적탐지는 선백색화기(pre-whitener)를 사용하여 수신신호를 백색화한 후 백색잡음에서 최적 탐지기(optimum detector)인 정합필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잔향이 비정상(non-stationary)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현이 매우 힘들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잔향은 지역적 정상상태(local stationary).라고 가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잔향신호의 지역적 정상상태의 범위를 추정(estimation)하고, 이 추정을 바탕으로 비백색 잔향신호 환경에서 선백색화 블록 정규화 정합필터(pre-whitening block normalized matched filter)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선백색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잔향신호의 백색화 기법은 표적신호 전 후의 잔향신호를 사용하여 처리블록(processing block)을 백색화하기 때문에 기존의 백색화 기법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제안된 백색화 기법을 이용한 탐지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우리나라 인근해역에서 실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기법을 사용한 탐지기는 기존의 백색화 기법을 사용한 탐지기보다 우수한 탐지선응을 보였다.

  • PDF

Detection of Sequence-Specific Gene by Multi-Channel Electrochemical DNA Chips

  • Zhang, Xuzhi;Ji, Xinming;Cui, Zhengguo;Yang, Bing;Huang, Jie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1호
    • /
    • pp.69-75
    • /
    • 2012
  • Five-channel electrochemical chips were fabricated based on the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technology and were used as platforms to develop DNA arrays. Different kinds of thiolated DNA strands, whose sequences were related to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gene, were separately immobilized onto different working electrodes to fabricate a combinatorial biosensor system. As a result, different kinds of target DNA could be analyzed on one chip via a simultaneous recognition process using potassium ferricyanide as an indicator. To perform quantitative target DNA detection, a limit of 70 nM (S/N=3) was found in the presence of 600 nM coexisting noncomplementary ssDNA. The real samples of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oducts were detected by the proposed method with satisfactory result, suggesting that the multichannel chips had the potential for a high effective microdevice to recognize specific gene sequence for pointof-care applications.

염분과 표준 독성물질(Cu, Cd)이 말똥성게(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 및 배 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nity and Standard Toxic Metal(Cu, Cd) 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in the Sea Urchin(Hemicentrotus pulcherrimus))

  • 황운기;이충원;김광섭;안경호;박승윤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4권1호
    • /
    • pp.9-16
    • /
    • 2009
  • Effects of salinity and standard toxic metals on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were investigated in the sea urchin, Hemicentrotus pulcherrimus. Spawning was induced by injecting $1{\sim}2$ mL of 0.5 M KCl into the coelomic cavity. Males released white or cream-colored sperms and females released yellow or orange-colored eggs. The fertilization rate was below 30% when salinity was 20 psu and lower, but was almost above 90% when salinity was 25 psu and higher. The embryo development rate was below 60% when salinity was 25 psu and lower, but was above 80% when salinity was between 30 and 35 psu.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in the control condition(not including Cu and Cd) were greater than 90%, but decreased a high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creasing of Cu(r=-0.80, r=-0.78) and Cd(r=-0.90, r=-0.82)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in the addition of Cu($EC_{50}$=17.30 ppb, $EC_{50}$=10.32 ppb) and Cd($EC_{50}$=364.57 ppb, $EC_{50}$=244.04 ppb),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alinity concentrations for successful fertilization and normal embryogenesis of H. pulcherrimus are above 25 psu and 30 psu, respectively, and the biological assays of fertilization and embryo development rates using H. pulcherrimus are useful methods for the ecological toxicity test of marine pollution elements.

방류용 수산종묘의 수산생물 병원체 검출 동향 (2009~2012) (Currant Status of Detection of Aquatic Animal Pathogens in Cultured Juveniles for Stock Enhancement from 2009 to 2012)

  • 조미영;원경미;한현자;김현정;지보영;김석렬;이순정;김진우;박명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9-110
    • /
    • 2013
  • 수산종묘는 인류에게 중요한 동물성 단백질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방류를 통한 수산자원 관리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수산자원의 증강을 목적으로 2009년에는 33품종, 2010년에는 44품종, 2011년에는 43품종, 2012년에는 46품종에 대해 수산생물전염병에 대한 감염 여부를 조사하였다. 검사품종 중에서 해면품종으로는 전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 넙치, 조피볼락, 꽃게 순으로 나타났다. 내수면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쏘가리, 대농갱이, 다슬기, 참게의 순으로 나타났다. 감성돔, 돌돔, 붉은쏨뱅이, 뱀장어는 4년 동안 지속적으로 검사 횟수가 감소하였다. 숭어에 대해서는 2009년에만 전염병 검사가 수행되었다. 8개의 검사 항목에 대해 총 8,476건의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56건 (0.67%)에서 koi herpesvirus, white spot syndrome virus, red sea bream iridovirus 또는 viral haemorrhagic septicemia virus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방류용 수산종묘의 질병 관리에 대한 고찰 (Aquatic animal health management in stock enhancement)

  • 서장우;조미영;김진우;박경현;지보영;최동림;박명애;오명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5-98
    • /
    • 2010
  • 농림수산식품부와 국립수산과학원에서는 2009년도 방류 품종 (해면 품종 22종과 내수면 품종 11품종)을 대상으로 수산동물전염병의 감염 여부를 검사하였다. 총 12개 지방자치단체에 서 방류를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경상남도, 전라남도, 제주도 및 충청남도는 해면 품종을 주로 방류하였으며, 경기도, 전라북도 및 충청북도는 내수면 품종을 많이 방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검사품종중에서 해산품종으로는 전복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 해삼(15.2%), 넙치 (11.5%), 감성돔과 조피볼락(6.8%), 꽃게 (5.6%), 돌돔 (5.1%), 볼락 (4.6%), 붉은쏨뱅이 (4.5%)로 나타났다. 내수면 품종 중에서는 붕어가 19.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뱀장어 (17.0%), 동자개 (12.3%), 다슬기 (12.0%), 메기 (8.4)의 순으로 검사 실적이 많았다. 총 33종의 품종을 대상으로 1,080회의 검사가 의뢰되었으며, 검사항목별로 2,066건의 검사를 실시한 결과 19건에서 red sea bream iridovirus (RSIV), koi herpesvirus (KHV) 또는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와 같은 병원체가 검출되어 불합격 처리되었다.

한국 연안 고래류의 혼획 현황 (Status of the Cetacean Bycatch near Korean Waters)

  • 김두남;손호선;안용락;박겸준;김현우;안소언;안두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892-900
    • /
    • 2013
  • In 2011, the system for conserving and managing cetacean resources in Korea changed. The status of the cetacean bycatch was analyzed using a distribution certificate that was issued by the coast guard. During 2011.2012, 12 species were bycatch in Korean waters: three species of baleen whale and nine species of dolphin.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was the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the common dolphin (Delphinus delphis), harbor porpoise (Phocoena phocoena), and Pacific white-sided dolphin (Lagenorhynchus obliquidens). Among the baleen whales, the common minke whale (Balaenoptera bonaerensis) was first and Bryde's (Balaenoptera edeni) and humpback (Megaptera novaeangliae) whales appeared in the Korea Strait and East Sea, respectively. Among the dolphins, the finless porpoise ranked first in the Yellow Sea. The common dolphin, Pacific white-sided dolphin, and harbor porpoise were more frequent in the East Sea than in other waters. The cetacean bycatch was caused mainly by pots, set nets, gill nets, and stow nets. Among the three species of baleen whale, the common minke whale was caught by pots and set nets, and comprised over 68.9% of the total bycatch in 2011 and 56.2% in 2012. Comparing the bycatch caused by fishing gears by area in 2011 and 2012, 97.9% and 99.6%, respectively, of the finless porpoise bycatch in the Yellow Sea was by stow nets. In the Korea Strait, trawl bycatch comprised 67.3% in 2011 and 73.0% in 2012, followed by gill nets, set nets, and pots targeting finless porpoise and common minke whales. In the East Sea, gill nets were responsible for 46.7% in 2011 and 61.2% in 2012, followed by set nets and pots.

사육수온에 따른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소화기관의 trypsin 활성과 배설률 (Trypsin Activity in the Digestive Organs and Gastric Evacuation Rate of Litopenaeus vannamei at the Different Rearing Water Temperatures)

  • 김수경;김봉래;김대현;김종식;장인권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4-189
    • /
    • 2008
  • 흰다리새우 Litopenaeus vannamei 적정 사육기법을 개발하고자 사육수온(20, 23과 $26^{\circ}C$)에 따른 간췌장, 전장과 중장에서의 trypsin 활성 및 먹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26^{\circ}C$에서의 흰다리새우 간췌장내의 효소활성은 $23^{\circ}C$ 구간보다 2배, $20^{\circ}C$ 구간보다 3배의 활성을 보였다. 전장에서의 효소활성은 사육수온에 관계없이 300 nmol/mg/min 과 340 nmol/mg/min로 유사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먹이섭취 후 최대 활성이 나타나는 시간은 수온이 높을수록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에서의 효소활성은 먹이섭취량과 관계없이 $26^{\circ}C$ 구간에서 가장 높게 기록되어 수온이 높을수록 중장에서의 효소활성 또한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에 대한 전장과 중장의 무게 비율의 변화, 즉 섭취된 먹이량에 의한 비율변화를 조사한 결과 전장에서의 최대 먹이섭취는 $23^{\circ}C$ 구간으로 체중의 0.6%를 섭취하였으며, $26^{\circ}C$는 0.5% 그리고 $20^{\circ}C$에서는 0.4%의 먹이를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최대먹이섭취는 $23^{\circ}C$에서 일어났지만 수온이 높은 구간인 $26^{\circ}C$에서 효소의 활성은 가장 높았고 배설률 또한 높아서 먹이의 잔류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20^{\circ}C$ 구간에서는 가장 적은 양의 먹이를 섭취하였고 효소활성 또한 가장 낮았으나 소화관내 먹이 잔류율이 실험기간 동안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온에서 먹이섭취량에 따른 소화효소의 활성변화와 배설률에 따른 먹이 잔류시간을 고려하여 먹이공급량과 시간을 조절한다면 최적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study of response control on the passive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parallel structures

  • Zhu, Hongping;Iemura, Hirokaz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9권4호
    • /
    • pp.383-396
    • /
    • 2000
  • A new structure-vibration-control approach is proposed which uses a passive coupling element between two parallel structures to reduce the seismic response of a system due to earthquake excitation.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two coupled single-degree-freedom systems subject to stationary white-noise excitation are examined by means of statistical energy analysis (SEA) techniques. Optimal parameters of the passive coupling element such as damping and stiffnes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re determined with an emphasis on the influence of the structural parameters of the system on the optimal parameters and control effectiveness. Numerical results including the root mean square values of the response due to the filtered white-noise excitation and the time-histories of response to El Centro 1940 NS excitation are presented.

수중 천이소음측정을 위한 다중 임계치 잡음제거기법 연구 (A Study on the Denoising Method by Multi-threshold for Underwater Transient Noise Measurement)

  • 최재용;도경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576-58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함정의 주요 식별인자인 천이소음을 측정하기 위하여 웨이브렛 패킷을 이용한 수중 배경잡음 및 외부 잡음을 제거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함정 천이소음은 해양환경 특성상 낮은 신호대 잡음비를 가지므로, 개별센서로 측정하기 위해서는 잡음 제거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배경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웨이브렛 임계치를 각 노드에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기존의 잡음제거 방법은 다양한 외부 잡음이 존재하는 수중환경에서는 적합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배경잡음 및 외부 잡음을 제거하기 위해 신호와 잡음을 구분하여 각 노드별 임계치를 차별 적용하며, 이러한 임계치에 따른 변형된 소프트임계처리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의 타당성은 모의 시뮬레이션과 다중 개별센서를 이용한 해상실험을 통하여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