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ite Ginseng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7초

한방화장품이 건강한 성인 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예비 연구 (Preliminary Research of the effect of Korean Herbal Cosmetic on Quality ofLife based on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DLQI) in Healthy Women)

  • 조가영;박효민;권이경;조성아;강병영;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1-121
    • /
    • 2015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 of Korean Herbal Cosmetic on quality of life (QoL) of Korean Herbal Cosmetics Using Dermatology Life Quality Index (DLQI) stratified by blind versus non-blinded option.Methods : Forty five healthy females aged 30's to 40'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Volunte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Group A (n=22) was provided an anti-aging cream with ginseng extract in the original packaging including the brand name and logo. Group B (n=23) were provided same cream in a plain white normal jar without any package decoration or logo.Results : All females except two volunteers in group A completed a DLQI questionnaire, baseline, after 4 weeks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baseline of DLQI scores of all groups was 3.23±2.7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LQI scores between before, 4 weeks and 8 weeks after in both groups ; The scores changed from 4.25±3.45 to 0.95±1.15 at 4 weeks, 1.00±1.72 at 8 weeks in group A, The scores of group B changed from 2.35±1.47 to 0.83±1.23 at 4 weeks, 0.65±0.98 at 8 weeks. But both had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follow up times and groups. Subscale DLQI scores improved after 4weeks were 'Symptoms and feelings', only in group BConclusions : Both group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oL quality scores evaluated by DLQI. However, interaction was not observed for whether the participants knew the brand and content of the cream.

대구지역 관광운수 영업자의 연령별 식행동 특성 및 음식 기호도 조사 연구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s by Age)

  • 김정숙;정세훈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29-541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eating behaviors and the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s by age. The survey was performed from 17 to August 25, 2003 by questionnaires and the subjects were 365 males. As a general factor, the subjects of survey were male drivers in their thirties to sixties. Their education level was middle school(44.9%) and high school(45.8%) diploma. This study showed that the managers eat three meals per day with high percentage(75.9%) and a large number of managers(24.1%) eat two meals only. 77.8% of the subjects responded that their diet life were irregular due to the property of their job. Frequency of eating-out turned out to be much higher in managers aged 60 over(p<0.001). They considered taste of the food firstly, and the prices of the food secondly, but the nutritional value of the food was considered with a low percentage(22.7%). We found that their BMI were overweight from 23.5 to 26.01, their calorie and some nutrient intakes were below their RDA. The most insufficiently consumed nutrient(less than 75% of RDA) was vitamin B₂ followed by calcium. The food preferences of subjects showed that the managers preferred boiled rice to any other rice as a staple foods. Their favorite menu of one-course Korean style meal turned out to be the bibimbob(boiled rice mixed with assorted vegetable and meat). As for subsidiary foods, out of all various meat soups, beef soups and beef-rib soups were most preferred. The most preferred stew were soybean paste stew and kimchi stew, and the most preferred cooked vegetables were cooked spinach, seasoned cucumber. Baechu kimchi(white cabbage kimchi) were the most preferred kind of kimchi. For desserts there was a very high preference for the watermelons, apples, and pears. For beverages the most preferred were ginseng tea, fruit juices and dietary fiber drinks. From the results listed above, the nutritional education needed to be done to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to set the proper menu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ence each age group of managers.

  • PDF

항산화반응을 유발하는 물질의 검색에 적용할 수 있는 형질전환 마우스 생산을 위한 새로운 Prx 6/Luc 벡터시스템의 제조 및 폐암세포주에서 반응성 확인 (Construction and In vitro Study of a Prx 6/Luc Vector System for Screening Antioxidant Compounds in the Transgenic Mice)

  • 이영주;남소희;김지은;황인식;이혜련;최선일;곽문화;이재호;정영진;안범수;황대연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7-174
    • /
    • 2013
  • Peroxiredoxin 6 (Prx 6)는 티올-특이적 항산화 단백질에 속하는 효소로서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과산화물의 환원작용을 촉매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Prx 6의 promoter를 이용하여 항산화반응을 유발하는 추출물을 효과적으로 스크리닝하는 새로운 형질전환마우스를 개발하는 최종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중간단계로서, hPrx 6/Luc 벡터를 개발하고, 이들 벡터의 안정적 발현과 성공적 반응성을 세포주를 이용하여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 Prx 6 promoter를 증폭하여 luciferase cDNA와 결합한 hPrx 6/Luc 벡터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벡터를 제한효소 절단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hPrx 6/Luc 벡터는 NCI-H460 세포에 transfection한 후 인삼(KWG), 홍삼(KRG), 맥문동(LP), 홍문동(RLP)의 4가지 추출물을 처리하여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luciferase activity는 4가지 추출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KRG과 LP를 처리한 그룹이 KWG과 RLP를 처리한 그룹보다 높았다. 또한, luciferase activity는 RLP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hPrx 6/Luc 벡터와 hPrx 6 mRNA반응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4가지 추출물을 처리한 후 hPrx 6 mRNA의 양을 RT-PCR로 분석하였다. 그러나, hPrx 6 mRNA의 양은 비록 고농도의 RLP 추출물에서는 약간의 증가가 관찰되었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4가지 추출물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4가지 추출물에 의한 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의 변화는 비록 일부 차이는 있었지만 hPrx 6/Luc 벡터와 유사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hPrx 6/Luc 벡터는 성공적으로 제조되었고, 세포내에서 안정적으로 발현하면서 항상화물질에 민감하고 정량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이러한 세포주에서 확인결과를 바탕으로 형질전환마우스가 개발된다면, 항산화물질을 정량적으로 스크리닝하는 시스템으로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조(속미(粟米)·출미(秫米))를 이용한 식치방(食治方)의 문헌(文獻) 조사 -1300년대에서 1600년대 한국 의서(醫書)를 중심으로- (Literary Investigation of Food-Therapy(食治方) Using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Beaur) - Korean Medicine Literature in 1300's-1600's -)

  • 박순애;최미애;김미림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91-805
    • /
    • 2015
  • 1300년대부터 1600년대까지 발간된 10권의 의서 및 식이요법서 문헌에서 조를 이용한 식치방을 조사한 결과 기록 횟수는 총 63회이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의 식치 기록은 총 21회로 조사한 문헌 중 횟수가 가장 많았고, 식료찬요(食療纂要)는 두 번째로 식치방 기록은 총 16회이다. 식치의 조리방법별 분류에는 죽(粥) 조리방법이 가장 많았고 탕(湯) 조리방법, 밥(飯) 조리방법, 즙(汁) 조리방법, 환(丸) 조리방법 순으로 기록되었다. 죽과 탕의 조리법이 많은 것은 소화기에 주는 부담이 적고 흡수가 용이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조와 같이 사용된 식재료는 총백(蔥白), 생강, 계란, 해백, 술, 참새, 수탉간, 시, 붕어, 붉은 팥, 흰 수탉 등이고, 조와 같이 사용된 약재는 인삼(人蔘), 복령(茯笭), 당귀(當歸), 대추(大棗), 맥문동(麥門冬), 백출(白朮), 육계(肉桂), 토사자(免絲子) 등이다. 특히 한국 전통음료로 조를 발효시킨 장수(漿水)를 약 전처리나 법제에 사용하고 약재와 같이 복용하였다. 조를 이용한 식치방의 증상별 분류를 보면 비위(脾胃) 반위(反胃)에 12회, 대소변난(大小便難)에 11회, 곽란에 6회, 허증(虛症) 보익(補益)에 6회 기록되었다. 비위(脾胃) 반위(反胃), 대소변난(大小便難), 곽란, 허증(虛症) 보익(補益) 등의 식치방에 여러 번 기록된 것은 약재가 귀했던 시기에 식치(食治)로 비위(脾胃)를 보(補)하고 대소변(大小便)을 좋게 하여 건강 증진과 질병 예방에 중점을 두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소갈(消渴), 중풍(中風), 산후제질(産後諸疾), 소아제병(小兒諸炳), 기침 해수(咳嗽) 등 증상 치료에도 기록되어 조 식치방은 남녀노소에게 두루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민족의 경험의학이 바탕이 되는 조 식치방을 활용한다면 현대인들에게 좋은 약선 메뉴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 소련거주(독립국가연합) 한인들의 김치 이용의 실태에 관한 조사 1. 김치와 식생활 (A Research on Kimchi Culture for the Koreans in CIS 1. Dining Habits in Relation to Kimchi)

  • 김영희;김영숙;이경임;신애숙;박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93-600
    • /
    • 1996
  • 구 소련(독립국가연합) 중 비교적 한인이 많이 살고 있는 모스크바, 사할린, 우즈베크스탄, 카자흐스탄 지역의 한인 199명을 대상으로 김치와 식생활에 관한 조사를 실시 한 결과, 식사형태는 조사대상자의 90.5%가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지역적으로 볼 때 모스크바가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은 반면 사할린은 거의 대부분이 한식 형태였다. 또한 고연령으로 갈수록 한식 중심의 식사를 하고 있었고 연령이 낮거나 이주 후 세대를 거칠수록 양식으로의 전환율이 높았다. 김치에 대한 기호도는, 응답자의 85.9%가 김치를 좋아 하였으며 좋아하는 이유는 대부분이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이라는 자부심과 김치가 맛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김치 섭취횟수는 응답자의 95%가 하루 한끼 이상은 김치를 섭취 하고 있었으며 특히 사할린은 매끼 마다 섭취하는 사람이 많았다(88%). 또 연령과 이주세대에 따른 섭취 횟수의 차이는 나이가 어리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김치 섭취횟수가 줄어들었다. 과거와 현재의 김치 섭취량의 차이는, 41.7%가 과거 보다 많이 섭취하였고 21.6%는 별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별로는 사할린은 섭취량이 많아진 경우가 많았고 모스크바는 섭취량이 적어진 경우가 더 많아 두 지역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또 나이가 적고 이주세대를 거칠수록 과거 보다 섭취량이 줄어들어 나이가 적을수록 현지의 음식에 적응하여 섭취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먹어보거나 본 적이 있는 김치로는 배추김치 (99%)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오이김치(91.5%), 양배추김치(띨.4%), 물김치(82.4%), 가자미식해 (75.4%) 등의 순으로 우리나라에서 상용하는 깍두기, 총각김치 , 부추김치 등의 비율이 낮고 양배추김치, 가자미식해 등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사할린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김치 경험이 다양한 결과를 보여 한국에서의 김치 문화가 많이 남아 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또 김치를 이용해 많이 해먹는 음식으로는 주로 김치찌개와 김치볶음 등이었으나 이것도 50%대에 머물고 있어 김치로 다른 음식까지 만들어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양적인 여유가 없다는 것을 짐작할 수가 있었다. 김치에 대한 러시아인들의 반응은, '김치를 잘 먹었다'는 응답이 99.5%이고 '전혀 못먹었다'는 사람은 한명도 없었는데 이로써 양식 위주의 서양인에게도 김치가 잘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가 있었고 또한 김치 이용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