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y protein concentration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2초

이유자돈에서 건조 유청 대체를 위한 옥수수 전분 가공제품 Bio-starch의 급여 평가 (Evaluation of Bio-starch from Corn Processing to Replace Dried-Whey in Weaned Pigs)

  • 신승오;유종상;이제현;장해동;김효진;황염;진영걸;조진호;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499-508
    • /
    • 2008
  • 본 연구는 이유자돈 사료 내 유청을 대체하기 위한 bio-starch의 적정 급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을 실시하였다. 21일령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이유자돈 12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 개시시 체중은 6.01±0.34kg 이었고, phase 1(0~2주) 및 phase 2(3~5주)의 2단계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설계는 1) 대조구(Control diet)와 배합사료 중 건조 유청의 일부를 bio-starch로 각각 5, 10 및 15% 대체 급여한 2) BS5, 3) BS10 및 4) BS15 처리구로 4개 처리를 하였으며, 처리당 6반복, 반복당 5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전체 사양 시험기간 동안 일당사료섭취량에 있어서 BS5와 BS15처리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섭취량을 나타내었으며(P<0.05), 체중, 일당증체량 및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시험 2주의 건물과 질소 소화율은 bio-starch 10% 급여 수준에서 높은 소화율을 나타내었고(quadratic effect, P=0.03 & P= 0.01; cubic effect, P<0.001 & P=0.01), 종료시의 건물, 질소 및 에너지 소화율은 bio-starch 5% 급여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P<0.05). 시험 2주의 total protein은 bio-starch 급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0% 첨가 수준에서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linear effect, P=0.04; cubic effect, P=0.01). 또한, BUN 농도는 bio- starch 급여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linear effect, P=0.01). 설사 발생 개체와 지수는 대조구가 bio-starch 처리구에 비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본 시험의 결과 이유자돈의 성장단계에 따라 건조 유청을 bio-starch로 5~10% 대체 급여시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소화율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응고제를 달리하여 제조한 두부의 질감과 구조 특성 (Textural Characteristics and Microstructure of Soybean Curds Prepared with Different Coagulants)

  • 이헌주;황인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4-290
    • /
    • 1994
  • To prepare soybean curds, the concentration of $CaCl_2,\;MgCl_2,\;CaSO_4$ and glucono-%{\delta}$-lactone fresh solution as coagulants were determined by transmittance of whey using spectrophotometer. The concentrations of four coagulants at which the transmittance had the highest value were chosen. Moisture content, yield and protein recovery of soybean curds prepared with four coagulants were investigated. The textural properties were examined by Instron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sensory evaluation was carried out. The microstructure of soybean curds was examined by SEM. Soybean curds obtained with $CaCl_2\;and\;MgCl_2$ were hard and coarse, and had roasted nutty taste, whereas those with $CaSO_4$ and GDL revealed very smooth, soft and uniform. Soybean curd prepared with GDL had the lowest acceptability because of sour taste. The texture and acceptability of soybean curds were influenced by the type of coagulant.

  • PDF

소 및 돼지 혈액에서의 혈장단백질 분석 및 이들의 유화능 (Analysis of the Plasma Proteins from Bovine and Porcine Blood and Their Emulsifying Activity)

  • 윤숭섭;이현규;송은승;최영준;전석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88-991
    • /
    • 1998
  • 소와 돼지 혈액중의 혈장 단백질을 분리하여, 성분 분석과 단백질 함량을 정량했으며 혈장단백질의 식품 기능성에 관하여서는 기존 유화제로서 활용되는 유청 단백질인 WPC와 비교하여 유화능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FPLC 및 SDS-PAGE에 의한 성분분석 결과 혈장 알부민(SA)은 돈혈장단백질(PPP), 우혈장단백질(BPP), 유장단백질(WPC)의 순서로 많이 함유되었으며, 혈장 단백질에는 ${\beta}-globulin$분획(주로 transferrin)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그외 미량성분(fibrinogen, immunoglobulin)들이 확인되었다. 단백질 함량은 BPP (85%) 및 PPP (82%) 모두 높은 함량을 보여 우수한 단백질원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보였다. 유화력도 혈장단백질들이 단백질 농도 2% 이하에서는 WPC보다 높았으며, 4% 이상에서는 WPC보다는 약간 낮았다. 또한 염농도 및 pH 의존성에 관하여 유화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PPP 및 BPP의 pH 영역에 대한 유화활성은 WPC와는 상이하게 산성쪽의 pH에서 염기성쪽보다 더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염(NaCl)첨가로 인한 유화 활성의 영향은 WPC와 비교하여 pH 의존성이 상당히 높았으며, 특히 산성쪽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을 살펴볼 때 소 및 돼지의 혈액에서 제조한 혈장단백질들은 우수한 유화특성을 갖는 식품소재로 확인되었다.

  • PDF

Sialic Acid를 지표성분으로 하는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의 기능성식품 개발연구 - I. 효소분리로 7% Siailc Acid가 표준적으로 함유된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7%)의 랫드를 이용한 90일 반복경구투여 독성시험 평가 연구 - (Development and Research into Functional Foods from Hydrolyzed Whey Protein Powder with Sialic Acid as Its Index Component - I. Repeated 90-day Oral Administration Toxicity Test using Rats Administered Hydrolyzed Whey Protein Powder containing Normal Concentration of Sialic Acid (7%) with Enzyme Separation Method -)

  • 노혜지;조향현;김희경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99-116
    • /
    • 2016
  • 본 시험은 sialic acid가 7%를 함유하도록 제조한 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제제(whey protein of hydrolysis)의 기능성 식품원료로 개발을 위한 동물안전성을 평가함에 연구목표를 두었다. GMP를 원료로 제조한 시험물질은 sialic acid 7%(v/v)와 원료인 GMP 가수분해 단백질이 93%로 구성되어 있었다(시험명: 7%-GNANA). 시험물질의 독성 유무는 한국식품의약안전청(KFDA, 2014)과 OECD(2008)의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방법으로서, 시험물질의 투여용량을 0, 1,250, 2,500 및 5,000 mg/kg/day로 하여 SPF Sprague-Dawley 계열 암수 랫드에 90일 동안 반복경구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독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평가항목으로서는 사망률, 일반증상관찰, 체중 변화, 사료 섭취량 측정, 안검사, 요검사, 혈액학적 및 혈액생화학적 검사, 부검 시 장기의 중량측정, 부검 시 육안적 검사 및 조직병리학적 검사 등을 평가하였다. 90일 반복경구투여 실험결과로서, 시험물질투여 및 관찰기간 동안 사망동물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일반증상, 체중 변화, 사료섭취량, 안과학적 검사, 요검사 그리고 혈액학적 및 혈액이화학적 이상 및 혈액응고검사에서 대조군 대비 특이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p<0.05). 부검 및 병리조직학적 평가 결과,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유래 중요한 변화 없이 시험물질-유래 경미한 변화(non-adverse effect)만인 5,000 mg/kg/day에서 확인되었다. Weight-based classification(독성 강도에 따른 분류)을 적용한 최종 독성평가 결과, 수컷의 경우 NOEL(No Observed Effect Level)은 5,000 mg/kg/day 그리고 암컷의 경우는 NOAEL(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은 5,000 mg/kg/day로 최종 확인되었다. 따라서, 암수 모두에서 시험물질의 NOAEL은 투여최대용량인 5,000 mg/kg/day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GMP를 원료로 하여 제조한 7%-GNANA(유청가수분해단백분말)는 투여가능 최대용량에서도 독성이 없는 안전한 천연물이라는 것을 확인하였고, 의약품이나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마유의 영양적 특성 및 생리활성 성분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nents in Mare Milk)

  • 장운기;정석근;한기성;설국환;박범영;함준상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1호
    • /
    • pp.75-83
    • /
    • 2013
  • Mare milk is gaining importance because of its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rapeutic properties, which enable its use as part of the diet of the elderly, convalescents, and newborn infants. This review describes the func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mare milk, such as proteins, carbohydrates, and lipids, and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cidification and released free amino acids of fermented mare milk. The protein profile of mare milk differs from that of bovine milk but is similar to that of human milk. The salt and lactose content in mare's milk is similar to that in human milk, but mare's milk has a significantly lower content of fat. Whey protein concentration is higher and casein content is much lower in mare milk than in bovine milk. These health-promoting properties indicate that mare milk and its derivatives could become valuable foods for elderly consumers in the form of probiotic beverages. Protein allergies related to and the potential industrial applications of mare milk have also been discuss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bovine milk. Although mare milk has diverse advantages if used as a nutritional food and has positive effects on health,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enable its use as a complete substitute for human milk or as a health food.

  • PDF

젖소 초유 중의 Insulin-like Growth Factor-1 함유 분획이 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vine Colostral Whey Fraction containing Insulin-like Growth Factor on Cell Proliferation)

  • 황경아;양희진;하월규;이수원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71-175
    • /
    • 2004
  • 젖소 초유 유청을 ultrafiltration으로서 30kDa 사이의 IGF-I rich fraction을 분획하였다. 분획한 IGF-I rich fraction은 SDS-PAGE와 Western blotting으로 IGF-I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sandwich ELISA로써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fraction중 IGF-I의 함량은 단백질 mg당 10ng으로 나타났다. IGF-I rich fraction으로 IEC-6, Detroit 551, EL-4 및 L6 in vitro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 IEC-6 cell은 IGF-I 기준으로 10ng, 1 ng, 0.1ng, 0.01ng에서 각각 대조구에 비해서 60%, 53%, 30 그리고 20%의 세포증식효과를 나타내었다. IEC-6의 증식은 ICF-I의 투여량이 증가할수록 세포의 증식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Detroit 551 cell은 10ng과 1ng수준에서 각각 56%와 26%의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EL-4 cell과 L6 cell은 10ng 수준에서 각각 53%와 46%의 세포증식 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든 세포주에서 IGF-I 함유농도가 10 ng 투여구에서 세포 증식율이 가장 높았으며 IEC-6 cell, Detroit 551 및 EL-4 cell은 모두 약 60%의 세포 성장률을 나타내었고 L6 cell은 약 50%의 성장률을 보였다.

나노여과에 의한 순물 농축액의 기능적 특성 및 밀가루 반죽의 리올로지 성질에 미치는 영향 (Function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 by Nanofiltration and Effects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 엄상미;김유풍;장은정;김우정;오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3-253
    • /
    • 2006
  • 두부 순물 분말 및 NF 분리 농축 분말의 일반성분과 이들 분말을 식품에 첨가할 경우 반드시 고려해야할 유지 및 수분 흡착력, 용해도, 유화력과 밀가루 반죽에 첨가시 리올로지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일반 성분의 경우, 순물 분말과 순물의 NF 분리농축 분말의 수분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고, NF 분리농축 분말의 회분 함량은 17.5%로 순물 분말에 비해 27.6% 정도 낮았다. 순물 분말과 NF 분리 농축 분말은 각각 0.97, 0.94 g/g의 유지 흡착력을 가지고 있어 ISP의 유지 흡착력에 비해 낮았으며, NF분리 농축 분말의 경우 수분 흡수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증류수, 0.1M 및 0.5M NaCl 처리구에서 NF 농축 분말은 순물분말과는 달리 pH 6.0 부근에서 각각 가장 낮은 단백질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4% 및 6% NF 분리 농축 분말용액의 유화력은각각 pH4.0 및 6.0에서 최저값을 나타내었으며 EAI 값은 19${\sim}$50으로 순물 분말보다 3${\sim}$8배 정도 낮았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에 있어서 NF분리 농축 분말의 경우 threonine이 854.87 mgg%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으며 그 다음이 arginine >tyrosine >glycine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NF 분리 농축 분말의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2,110.1 mgg%로 순물 분말보다 약 21배 정도 높았다. 또한 밀가루에 NF 분리 농축분말을 첨가한 경우 그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 점도와 최종 점도 모두 감소하였다.

Human 성장호르몬을 도입한 Transgenic Rats의 작출과 번식표현형에 관한 연구 I. mWAP/hGH을 도입한 Rat의 Endogenous GH분비 변화와 성성숙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henotype of Reproduction and Production of Human Growth Hormone(hGH) with Transgenic Rats I. Changes in Endogenous Grwoth Hormone Secretion and Onset of Puberty in hGH Transgenic Rats)

  • 장규태;김성현;성환후;주학진;박미령;윤창현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7-136
    • /
    • 1998
  • A chimeric gene comprising murine whey acidic protein(mWAP) and human growth hormone(hGH) was used to produce transgenic rats express hGH and secrete it into the blood. Two lines of transgenic rats carrying the mWAP/hGH construct were established; High line wa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high levels of serum hGH, and low line had relatively low levels. The secretory profiles of rat GH(rGH) as well as hGH, the transgene product, were obtained in transgenic males and females of low line; both hGH and rGH serum levels were flattened with no episodic fluctuations, and the overall mean concentration of rG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normal littermates. Although the animals of High line showed an acceles, as assessed by vaginal opening and occurrence of first ovulation, advanced by 7∼8 days in both lines of animals. Accordingly, the body weight at puberty of low line transgenic females was much lower than that of normal littermates, indicating that continuous hGH expression could induce precocious puberty without enhancing the growth rate.

  • PDF

Influence of Culture Media Formulated with Agroindustrial Wastes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 Linares-Morales, Jose R.;Salmeron-Ochoa, Ivan;Rivera-Chavira, Blanca E.;Gutierrez-Mendez, Nestor;Perez-Vega, Samuel B.;Nevarez-Moorillon, Guadalupe V.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64-71
    • /
    • 2022
  • The discarding of wastes into the environment is a significant problem for many communities. Still, food waste can be used for lactic acid bacteria (LAB) growth. Here, we evaluated three growth media equivalent to de Mann Rogosa Sharpe (MRS), using apple bagasse, yeast waste, fish flour, forage oats, and cheese whey. Cell-free supernatants of eight LAB strains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nine indicator microorganisms. The supernatants were also evaluated for protein content, reducing sugars, pH, and lactic acid concentration. Cell-free supernatants from fish flour broth (FFB) LAB growth were the most effective. The strain Leuconostoc mesenteroides PIM5 presented the best activity in all media. L. mesenteroides CAL14 completely inhibited L. monocytogenes and strongly inhibited Bacillus cereus (91.1%). The strain L. mesenteroides PIM5 consumed more proteins (77.42%) and reducing sugars (56.08%) in FFB than in MRS broth (51.78% and 30.58%, respectively). Culture media formulated with agroindustrial wastes positively improv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elected LAB, probably due to the produc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or bacteriocins.

대두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탈지대두유(脫脂大豆乳)가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Production of Soy Yogurt -Effects of Defatted Soy Milk on the Growth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 이정숙;고영태;백정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7권1호
    • /
    • pp.7-13
    • /
    • 1984
  • 본 연구는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에서 만든 대두유에 여러 가지 당(糖), 발육촉진물질, amino acid, 유제품부산물을 가하여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것으로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배양시간에 따른 유산균의 생육도를 측정한 실험으로부터 대략 12시간까지가 대수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서 사용된 당(糖) 가운데 glucose와 fructose가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에 현저한 효과를 보였으며, 그 적정농도는 각각 3% 정도였다. 첨가된 발육촉진물질 가운데 yeast extract가 유산균에 의한 산의 생성을 가장 촉진시켰으며 그 적정농도는 0.5% 정도였다. l-methionine의 첨가에 의하여 유산균에 의한 산생성이 감소하였다. 대두유에 첨가된 유청분말과 탈지분유는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촉진 효과가 저조하였다. 대두 단백질의 농도를 달리했을 때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