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heat Flour

검색결과 1,014건 처리시간 0.024초

밀가루의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과 생지형성(生地形成)에 관(關)한 시험(試驗) (Studies on the Farinograph Test and Crude Protein Content of Wheat Flour)

  • 김희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61-64
    • /
    • 1974
  • 6종(種)의 밀가루에 대(對)하여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과 생지형성력(生地形成力)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보통계(普通系)밀에 있어서도 산지(産地)와 품종(品種)에 따라 현저(顯著)한 차이(差異)가 있었다. 국산(國産)밀을 원료(原料)로 한 밀가루의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은 $10.4{\sim}11.8%$이고 생지형성시험결과(生地形成試驗結果)에서의 valorimeter value는 $39{\sim}48$로서 두 항목(項目)의 조사성적(調査成績)이 상반(相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으며 미주산(美洲産)밀을 원료(原料)로 한 밀가루의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은 $12.1{\sim}12.8%$이고 valorimeter value는 $72{\sim}80$으로서 두 항목(項目)의 조사성적(調査成績)이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다. 2) 같은 미주산(美洲産)밀 중(中)에서도 보통계(普通系)밀을 원료(原料)로 한 밀가루에서는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과 생지형성능력(生地形成能力)의 조사성적(調査成績)이 같은 경향(傾向)을 보였으나 이립계(二粒系)밀을 원료(原料)로 한 밀가루에서는 조단백함량(粗蛋白含量)이 12%인데 valorimeter value는 38로서 두 항목(項目)의 조사성적(調査成績)이 상반(相反)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agr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wheat under high temperature

  • Cheong, Young-Keun;Yoon, Young-Mi;Kang, Chon-Sik;Son, Jae-Han;Park, Jong-Chul;Kim, Yang-Kil;Park, Jong-Ho;Song, Tae-Hwa;Park, Tae-Il;Kim, Kyong-Ho;Kim, Bo-Kyeong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60-260
    • /
    • 2017
  • High temperature is one of major environmental stress. Heat in flowering season of wheat is able to effect negatively to fertilization and also heat effect to maturity. Therefore, Heat stress effects severely to qualities of wheat and yield productivity. In this study, we evaluated to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by high temperature in 13 Korean wheat varieties. Weight of 1,000 grains decreased when wheat got the heat stress. In particular, heat stress during the heading dates were more damaged than after the end of heading dates except two varieties Keumkang and Jokyoung. Plant height of each cultivar under high temperature and normal field averaged 80.5 cm and 83.0cm, respectively. The length of spike and awn in each cultivar were similar to both condition. Flour yield and gluten contents of most heat damaged wheat decreased. Under the temperature, protein contents of six varieties like as Keumkang, Baekjoong, Hojoong, Yeonbaek, Joah and Shinmichal 1 decreased but the others increased. The sedimentation values (SDSF) of four varieties decreased under the high temperature. But SDSF of 7 varieties like as Baekjung, Suan, Hojoong, Jojoong, Uri, Shinmichal and Shinmichal 1 was increased. The lightness (L) of wheat flour derived from high temperature treated wheat was darker than non-treated wheat.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we confirmed that agricultural traits and qualities decreased in heat damaged wheat.

  • PDF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Made with Flour Partly Substituted by Lotus Leaf Powder)

  • 박상하;장경희;변광인;강우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2009
  • 제빵용 시판 강력분에 연잎 분말을 첨가한 건강 기능성 식빵 제조를 위하여 연잎 분말의 첨가량을 2.5%-7.5%로 변화시키면서 반죽에 대한 물성, 식빵의 저장성, 제빵적성 및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식빵의 비용적은 연잎 분말 2.5% 첨가구에서 약 5%의 증가를 보였으나 연잎 분말 5%, 7.5% 첨가구의 경우는 각각 대조구의 87%, 80%에 상당하는 비용적을 나타내어 연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비용적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의 저장성 실험에서 제빵 직후의 빵 crumb의 경도는 연잎 분말 2.5%첨가구에서 64.5으로 가장 부드러운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장에 따른 노화의 속도도 가장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이상 첨가시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빵 crumb의 경도도 증가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죽의 경도값은 연잎 분말의 첨가와 비례하여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값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연잎 분말의 첨가에 의해 변화하는 빵내부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는 L값은 연잎 분말 첨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 전체적인 기호도에서는 대조구와 연잎 분말 2.5% 첨가구 시료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맛에서 대조구의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에서 조직감, 관능적 특성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2.5%정도의 연잎 분말 첨가 식빵의 제빵적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인스탄트 메밀국소가 백서의 소화흡수율, 간장 및 혈청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Instant Buckwheat Noodle on Digestibility and Lipids Profiles of Liver and Serum in Rats)

  • 최용순;안철;심호흠;최면;오상룡;이상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78-483
    • /
    • 1992
  • 인스탄트 메밀국수가 백서의 소화율, 성장율 및 조직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할 목적으로 정제사료에 탄수화물원으로서 설탕, 인스탄트 소맥면 및 메밀면 (소맥분중 10 및 30% 함유) 섭취군으로 4군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설탕섭취군보다 다른 3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실험군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에서의 식이 탄수화물원의 차이는 조소화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콜레스테롤 농도는 각군간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 및 간장의 중성지질의 농도는 메밀면 섭취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스탄트(알파화) 메밀면(30% 함유)은 다른 주요 영양성분의 소화율에 장애를 주지 않으며, 완만하게 중성지질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칡전분 첨가국수의 제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 이영순;임나영;이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81-688
    • /
    • 2000
  • 칡 전분을 이용한 국수제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칡 전분의 첨가량을 달리한 제면 특성에 대하여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가루와 칡 전분의 수분결합능력과 용해도 및 팽윤력을 측정한 결과 칡 전분이 밀가루에 비해 수분결합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해도 및 팽윤력은 칡 전분이 온도의상승에 따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2. 호화개시온도는 칡 전분의 첨가로 인한 영향이 없었으나, 최고점도와 95$^{\circ}C$에서의 점도, 95$^{\circ}C$에서 15분방치 후의 점도는 표준면(S$_{0}$)보다 칡 전분이 많이 첨가 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칡 전분을 첨가한 면의 중량과 부피는 칡 전분이 많이 함유한 것일수록 증가하였지만, 삶은 국물 탁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계적 측정에서는 칡 전분 2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2}$)는 표준면(S$_{2}$)보다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등이 높게 나타났으나, adhesivenes의 경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칡 전분을 첨가한 국수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된 면에 비해 조리면의 L값과 b값은 낮게 나타났으며, a값과 $\Delta$E값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건조면과 조리면 모두 칡 전분을 많이 함유할수록 칡 전분의 갈색으로 인하여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반면 a값과 $\Delta$E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칡 전분의 첨가량에 따른 국수의 관능검사에서 칡 전분 1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1}$)이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칡 전분 2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2}$)도 칡 전분 1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1}$)과 비슷한 점수를 얻어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으나, 칡 전분 3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3}$)및 칡 전분 4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4}$)의 경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칡 국수 조제 시, 칡 전분 10% 첨가군(S$_{1}$)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을 이용한 완두 전분 복합면의 반죽구조 및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noodle structure made from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김은주;윤재영;김희섭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500-506
    • /
    • 1999
  • 완두 전분입자의 형태 및 완두 복합분의 반죽구조, 조리직후의 복합면의 내부구조를 SEM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두전분은 타원형으로 그 크기가 불규칙적이고 다른 전분에 비해 크고 구부러지거나 들어간 모양이었다. 95$^{\circ}C$에서 가열하였을 때 완두전분은 부분적으로 중첩되었을 뿐 그 형태는 거의 유지하였다. P20과 C20의 반죽 구조는 밀가루 반죽에서의 큰 전분 입자들이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에 비해 작은 전분입자들이 많아졌으며, P30은 다른 복합분 반죽의 구조보다 좀 더 많고 작은 전분입자들이 엉켜 있었다. 국수를 조리한 직후와 조리한 후 30분이 지난 뒤의 형태 변화를 관찰한 결과 P30과 P20의 조리된 직후의 형태는 각각 상이한 형태를 나타내었고 조리 30분후의 형태도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SEM으로 관찰된 P20과 C20의 구조는 밀가루 반죽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제면시 영향을 주지 않을 것으로 보였으며 P30 역시 P20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제면적성으로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Farinogram에 나타난 P20과 P30은 밀가루와 유사한 반죽시간과 중간정도의 안정도를 보이는 반면에 C20은 짧은 반죽시간과 낮은 안정도를 보였다. 대체로 C20이 P20, P30에 비해 도착시간과 반죽형성시간, 안정도가 짧게 나타났다. 또한 P20은 밀가루와 유사한 안정도와 반죽 저항도(MTI)를 나타냄으로서 제면적성에 적합함을 입증하였다.

  • PDF

우리밀을 이용한 Sourdough Starter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perties of Sourdough Starters using Korean Wheat)

  • 안혜령;허수진;이광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46
    • /
    • 2009
  •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가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글루텐 함량, pH 및 TTA 측정, 발효율, mixograph, crumbScan과 관능검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우리밀은 pH의 수치가 4.0에서 4.5 사이로 나타나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당하였다. KWF 5와 KWF 6은 다른 우리밀에 비하여 기공의 조밀도가 높았고, 찌그러짐의 정도가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 KWF 6이 우리밀 중에서 텍스쳐와 껍질의 생상에서 좋은 평가를 받았다. 결과적으로, 비록 강력 밀가루를 사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starter SF를 첨가하여 제조한 식빵인 sourdough bread SF를 관능검사 결과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결과에서 보여지듯이 대조구보다 우리밀을 이용하여 제조한 sourdough bread KWF 6이 좋은 sourdough starter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ourdough로부터 젖산균과 효모의 분리 및 배양 특성 (Characteristics of Culture and Isolat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from Sourdough)

  • 김기주;정현채;권오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80-1185
    • /
    • 2004
  • 본 연구는 sourdough 제빵에 관여하는 우수한 효모와 젖산균을 분리, 선별하고 이들의 최적 배지 조성을 연구하였다. 1차 분리된 젖산균 115균주 중 항균성이 우수하고, 산 생성 및 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Leuconostoc sp.로 나타났다. 효모는 8개 균주를 1차 선별하였으며, 발효와 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Saccharomyces sp.로 동정되었다. 당 발효성을 실험한 결과, glucose와 sucrose에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상업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ucrose가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젖산균은 밀가루배지에 1% sucrose첨가만으로 생육이 우수하였으나, 효모인 경우는 증식이 더 필요하였다. 추가적으로 분리된 효모의 생육 실험을 하여 나타난 최적배지조성은 wheat flour 0.5%, peptone 0.5%, sucrose 3%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인 경우는 peptone의 첨가없이 wheat flour 0.5%, sucrose 1%로 나타났다.

소맥분과 물엿을 첨가한 침엽수 톱밥배지에서의 꽃송이버섯 생산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by use of coniferous sawdust-based media with wheat flour and molasses)

  • 오득실;박현;박화식;김명석;채정기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42
    • /
    • 2006
  • 꽃송이버섯은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아 버섯재배자들 사이에서 재배를 희망하는 농가들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실용적인 재배법이 확립되지 않아 까다로운 버섯으로 인식하여 재배를 기피하고 있어 본 실험에서는 침엽수 톱밥과 소맥분, 물엿을 이용한 간편하고 경제성 있는 배지조성법을 연구하였다. 톱밥 접종원과 액체 접종원을 사용한 경우의 균사 생장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으며, $4^{\circ}C$에서 1일 동안 저온충격을 주는 방식이 원기 형성을 위하여 가장 좋은 방법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자실체 발생용 최적배지는 '미송+소맥분+옥수수+면실박+10% 물엿 수용액'으로 41%의 회수율을 보였으나, '낙엽송+소맥분+옥수수+면실박+10% 물엿 수용액'에서도 회수율이 37%로 자실체 발생량이 많았다. 또한 회수율과 버섯배지 중량 감소율과의 관계를 보면 회수율이 높을수록 중량 감소율이 높아 서로 비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알로에 첨가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Aloe(Aloe vera Linne))

  • 신두호;김동원;정용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99-405
    • /
    • 2007
  •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made by adding levels of 30%, 60%, and 100% aloe gel were investigated. The 60% aloe gel sample had a larger dough volume than the control dough. Also, the loaf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bread made with 60% aloe gel were larg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read. The pasting temperature in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substituted aloe gel as compared to wheat flour with water added$(66.5{\pm}12^{\circ}C)$; the wheat flour with 100% aloe gel had a pasting temperature of $90.7{\pm}1.1^{\circ}C$. Peak viscosity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when compared to the wheat flour with water added. Setback also was decreased gradually with the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as compared to the wheat flour with added water. From the setback decrease it is suggested that the aloe controlled retrogradation of the bread during short-term storage. The crumb color of the bread made with the aloe ge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at of the control bread, and the color of the crumb was yellow-white. Bread hardness de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the substituted aloe gel. However, bread gumminess and chewiness increased gradual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aloe gel. The springiness of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With regard to flavor and taste,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produced a green-like odor and had a bitter taste. The mouth feel of the breads made with aloe gel was considered soft and moist. The overall acceptabilities of the breads made with 30% and 60% aloe ge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bread, but the bread made with 100% aloe gel had a green smell and bitter taste. Yet accordingly, the results indicate that functional and health products with improved quality could be developed by adding aloe gel to breads and ca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