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table powder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Residual Triflumizole, an Imidazole Fungicide, in Apples, Pears and Cucumber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Khay, Sathya;EI-Aty, A.M. Abd;Choi, Jeong-Heui;Shim, Jae-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87-91
    • /
    • 200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level of triflumizole residues in fruits (apple and pear) and vegetable (cucumber) samples in order to assess risk posed by the presence of such residues to the consumer. Triflumizole was applied at a recommended dose rate to apple and pear pulps and to a cucumber sample. The samples were collected at harvesting time following several treatments (three and/or four treatments). Triflumizole was extracted with methanol and re-extracted into dichloromethane. The presence of triflumizole was determined by HPLC with UV detection at 238 nm following the cleanup of the extract by open preparative chromatographic column with Florisil. The versatility of this method was evidenced by its excellent linearity (> 0.999) in the concentration range between 0.2 and 4.0 mg/kg. The mean recoveries evaluated from the untreated samples spiked at two different fortification levels. 0.1 and 0.4 mg/kg, and ranged from 87.5${\pm}$0.0 to 93.3${\pm}$2.6 for the tested fruits and vegetable, respectively, and the repeatability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rom three repetitive determinations of recoveries were no larger than 6%. The calculated limit of detection was 0.02 mg/kg and the minimum detectable level of 4 ng for triflumizole was easily detected. When triflumizole was sprayed onto the apple trees three times at 50-40-30 and 40-30-21 days prior to harvesting and four times onto the pear trees at 40-30-21-14 days prior to harvesting, the mean residual amounts of 0.05 and 0.06 mg/kg for apples and pears, respectively, were not detected in all of the treatments. When the cucumber sample was fumigated four times at 7, 5, 3 and 1 day prior to harvesting, the mean residual amount was not detectable. Triflumizole can be used safely when sprayed (wettable powder, 30% active ingredient) and fumigated (10%) 4 times at 14 and 1 day prior to harvesting to protect the fruits and vegetable, respectively.

자단향으로부터 밀 붉은곰팡이병균 Fusarium graminearum에 대한 항진균활성 물질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from Pterocarpus santalinus against Fusarium graminearum Causing Fusarium Head Blight on Wheat)

  • 김지인;하아름;박애란;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23권3호
    • /
    • pp.268-277
    • /
    • 2017
  • 붉은곰팡이병은 주로 Fusarium graminearum에 의해 발생하며 전세계적으로 주요 곡물에 치명적인 피해를 주는 식물병이다. 관행농가에서는 일반적으로 붉은곰팡이병 방제에 합성살균제를 사용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합성살균제의 사용으로 인하여 환경 오염 문제와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때문에 천연물살균제를 포함한 친환경 생물농약 개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100종의 식물추출물을 이용하여 F. graminearum에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 추출물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자단 심재부인 자단향의 조추출물이 가장 강한 항진균활성을 보였으며, GC-MS 분석을 통하여 자단향으로부터 ${\alpha}$-cedrol과 widdrol로 동정된 두개의 항진균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alpha}$-Cedrol과 widdrol의 F. graminearum 포자발아 억제활성 최소저해농도는 각각 31.25 mg/l과 62.5 mg/l였으며, 이 두 물질은 F. graminearum 이외에도 다양한 식물병원균의 균사 생육을 저해하였다. 더욱이 자단향 추출물을 분말 수화제로 제형화하여 처리한 결과, 밀 붉은 곰팡이병에 대한 방제효과는 유효성분 농도가 높을수록 효과적인 방제가를 보였으며, 250배 희석처리 시 2,000배의 상용농도로 희석한 합성살균제의 방제가(92.6%)와 통계적으로 유사한 87.2%의 병방제가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붉은곰팡이병방제를 위한 효과적인 생물살균제로 자단향 추출물이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제제화에 관한 시험 (Experiment of the formulation for the viral pesticide of nuclear polyhedrosis virus of the fall webworm, Hyphantria cunea Drury.)

  • 진병래;김권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1-57
    • /
    • 1987
  • 흰불나방의 미생물적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제제화와 그 실용화를 위한 야외 살포 시험을 통해 얻어진 제제의 불활화 정도 및 살포효과는 다음과 같다.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의 불활화 조사에서 부유액의 경우 야외 살포후 5일이 경과한 후로는 완전히 불활화 되었으며, 제제는 살포 후 20일이 지나서 완전히 불활화 되어, 흰불나방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를 제제화 했을 때 부유액에 비해 약 10-15일 정도 활성을 보유하여 제제의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또 제제의 야회 살포효과 시험에서 부유액의 경우는 2일이 경과하면서 병원성을 보이지 않은 반면에 제제는 접종당일 살포하였을 때 약 50%정도의 폐사율을 나타내었으며, 살포 후 9일까지는 약 30% 정도의 폐사율을 유지하면서 비교적 안전성을 보이다가 살포 후 14일이 경과하면서 병원성을 보이지 않았다. 제제의 경우 야외에서 약 10일 이상 감염력의 지속에 의한 살포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유도체(誘導體)의 합성(合成)과 생리활성(生理活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ynthesis of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Derivatives and Their Biological Activities)

  • 홍무기;정영호;박영선;오세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0권3호
    • /
    • pp.227-233
    • /
    • 1987
  • Aniline 유도체(誘導體)로부터 thiocyanation에 의(依)해 2-aminobenzothiazole 유도체(誘導體)를 합성(合成)하였고, 이어서 mothylisocanate의 부가반응(附加反應)에 의(依)하여 3-(benzothiazol-2-yl)-1-methyl urea 유도체(誘導體) 6종(種)을 합성(合成)하여 IR, NMR, GC/MS 등(等)에 의(依)하여 물질(物質)의 구조(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들의 바랭이, 강아지풀의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와 쇠비름, 명아주의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대(對)하여 50g, 200g, 800g a.i/10a로 발아전처리(發芽前處理)를 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 6종(種) 모두 발아전처리제(發芽前處理劑)로서 800g a.i/10a 살포량(撒布量)에서 화본과(禾本科) 또는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대(對)하여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화합물(化合物) 번호(番號) ACRI-S-8416, ACRI-S-8411 및 ACRI-S-8413은 800g a.i/10a의 살포량(撒布量)에서 광엽(廣葉) 잡초(雜草)에 효과(效果)가 있었으며 ACRI-S-8412는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에 선택적(選擇的)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화합물(化合物) 번호(番號) ACRI-S-8414 즉(卽), 3- (6-ethylbenzothiazol-2-yl)-1-methyl urea는 6종(種)의 화합물(化合物) 중(中) 가장 강력(强力)한 살초효과(殺草效果)를 나타내었으며 50g a.i/10a의 살포량(撒布量)에서도 화본과(禾本科) 잡초(雜草)에 60%의 선택적(選擇的) 살초효과(殺草效果)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Strawberry Gray Mold Caused by Botrytis cinerea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N1 Formulation

  • Kim, Hyun-Ju;Lee, Soo-Hee;Kim, Choul-Sung;Lim, Eun-Kyung;Choi, Ki-Hyuck;Kong, Hyun-Gi;Kim, Dae-Wook;Lee, Seon-Woo;Moon, Byung-J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38-444
    • /
    • 2007
  • Bacillus licheniformis N1 is a biological control agent to control gray mold diseases caused by Botrytis cinerea. Various formulations of B. licheniformis N1 were generated and evaluated for the activity to control strawberry gray mold. The wettable powder type formulation N1E was selected in pot experiments with remarkable disease control activity on both strawberry leaves and flowers. The N1E formulation contained 400 g of com starch, 50 ml of olive oil, and 50 g of sucrose per a liter of bacterial fermentation culture. Optimum dilution of N1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strawberry gray mold appeared to be 100-fold dilution in plastic house artificial infection experiments. The significant reduction of symptom development in the senescent leaves was apparent by the treatment of N1E at 100-fold dilution when N1E was applied before Bo. cinerea inoculation, but not after the inoculation. Both artificial infection experiments in a plastic house and natural infection experiments in the farm plastic house under production conditions revealed that the disease severity of gray mold on strawberry leaves and flower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N1E treatment. The disease control value of N1E on strawberry leaves was 81% under production conditions, as compared with the 61.5% conferred by a chemical fungicide, iprodione. This study suggests that our previously generated formulation of B. licheniformis N1 will be effective to control strawberry gray mold by its preventive activity.

농약사용 지표개발을 위한 과채류 농약사용실태 조사분석 (Survey on pesticide usage for the development of pesticide use indicator in fruit vegetables)

  • 오경석;임양빈;오홍규;이병무;경기성;김남숙;김백연;김정원;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66-73
    • /
    • 2003
  • 농약사용과 관련하여 농산물의 안전성 확보 및 환경영향 감소를 위한 농약사용 지표 개발에 활용하고자 고추, 딸기, 수박, 오이, 참외, 토마토 등을 대상으로 재배면적별 30지역 200농가를 선정하여 국내과 채류 재배 환경 중 농약의 사용량을 조사 분석하였다. 과채류 재배시 용도별 농약 사용량은 살균제 > 살충제 > 제초제 순으로 많았으며, 살균제의 사용이 약 $70\sim80%$를 차지하였다. 살균제의 주요 사용농약은 mancozeb, thiophanate-methyl, propineb 이었으며, 살충제는 imidacloprid, milbemectin, methomyl 등이 많이 사용되었다. 농약제형별 농약사용량은 수화제, 유제 중심으로 사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단위면적당 농약 사용량은 고추 노지재배 (13.2 a.i.kg/ha), 오이 노지재배 (12.4 a.i.kg/ha), 참외 노지재배 (11.2 a.i.kg/ha) 등에서 많은 농약을 사용하였으나, 수박 시설하우스재배 (1.2 a.i.kg/ha), 참외 시설하우스재배 (2.2 a.i.kg/ha), 딸기 노지재배 (2.8 a.i.kg/ha) 등에서는 매우 작은 양의 농약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농약사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농약에 대한 위해성을 경감하고, 농업환경의 보존을 반영시키는 정책개발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후박 추출물의 들깨 녹병과 잔디 녹병에 대한 방제 효과 (Disease Control Efficacy of the Extract of Magnolia officinalis against Perilla and Zoysiagrass Rusts)

  • 윤미영;최용호;강문성;이재홍;한성숙;명인식;한병수;최경자;장경수;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9권1호
    • /
    • pp.45-48
    • /
    • 2013
  • 녹병은 Puccinales 목의 병원성 곰팡이가 일으키는 식물병으로서 다양한 식물에 발병한다. 최근 많은 연구자들은 녹병을 효과적이고 친환경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후박(Magjia90) 추출물로부터 제조된 유제(EC10)와 수화제(WP20)의 들깨 녹병과 잔디 녹병에 대한 방제효과를 포장에서 조사하였다. Magjia90-EC10과 Magjia90-WP20은 들깨 녹병에 대하여 47.9% 내지 69.6%의 방제효과를 보였고, 수화제는 유제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였다. 또한 Magjia90-WP20은 전디 녹병에 대하여 65.7% 내지 80.5%의 높은 방제효과를 보였다. 다른 한편으로, 두 제제를 처리한 식물체 잎에서 어떠한 약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Magjia90이 녹병 방제를 위한 천연물 살균제로서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ol angelate의 밀 붉은녹병에 대한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Decursinol Angelate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Roots Against Puccinia recondita)

  • 윤미영;김영섭;최경자;장경수;최용호;차병진;김진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1호
    • /
    • pp.25-31
    • /
    • 2011
  • 녹병은 다양한 작물의 품질과 수확량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이들을 방제하기 위하여 효과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살균제의 개발이 절실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약재로부터 항균 물질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당귀 메탄올 추출물이 Puccinia recondita에 의해 발생하는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밀 붉은녹병에 대하여 활성을 보이는 한 개의 항균물질을 silica gel chromatography, alumina column chromatography와 $C_{18}$ preparative HPLC를 통해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한 항균물질은 EI-MS와 $^1H$-NMR의 기기 분석 결과 decursinol angelate로 동정되었다. 이 물질은 시험한 6개의 식물병 중에서 밀 붉은녹병과 고추 탄저병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당귀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수화제도 밀 붉은녹병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이 보였다. 따라서 decursinol angelate와 이를 포함한 당귀 추출물을 이용할 경우 밀 붉은녹병을 방제할 수 있는 새로운 살균제의 개발이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 decursinol angelate에 의한 밀 붉은녹병 방제 효과를 처음 보고하는 바이다.

Chloroacetamide형(型) 화합물(化合物)의 합성(合成)과 제초활성(除草活性) (Synthesis of Chloroacetamide Compounds and their Herbicidal Activities)

  • 홍무기;정영호;오세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3호
    • /
    • pp.234-240
    • /
    • 1988
  • 2,6위(位)의 alkylaniline 또는 3,4위(位)의 chloroaniline으로부터 N-(1'-methoxycarbonylethyl)-N-chloroacetyl-2,6-dimethylaniline(ACRI-S-8609) 등(等) chloroacetamide형(型) 화합물(化合物) 7종(種)을 합성(合成)하여 elemental analyzer, NMR, GC/MS 등(等)에 의(依)하여 화학구조(化學構造)를 확인(確認)하였다. 합성(合成)한 화합물(化合物)은 25% 수화제(水和劑)로 제제(製劑)하여 몇가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및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對)하여 50g, 100g 및 200g a i/10a로 발아전(發芽前) 처리(處理)를 하여 제초활성(除草活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ACRI-S-8701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에 , ACRI-S-8702는 광엽잡초(廣葉雜草)에 대(對)하여 가장 강(强)한 제초활성(除草活性)을 나타냈으며 200g a i/10a처리시(處理時), 각각(各各) 95%, 81%의 잡초(雜草)가 방제(防除)되었으나 3,4위(位)의 chloroaniline으로부터 합성(合成)한 ACRI-S-8705${\sim}$7은 제초활성(除草活性)이 아주 약(弱)하였다. 화학구조(化學構造)와 제초활성(除草活性)과를 관련(關連)지어 보면 benzene ring의 3,4위(位)의 chloro 치환(置換) 화합물(化合物)보다 2,6위(位)의 alkyl 치환(置換) 화합물(化合物)이 대체로 제초활성(除草活性)이 높은데 그 중(中)에서도 ACRI-S-8701은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 방제용(防除用)으로 개발(開發)할 가치(價値)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파라핀유와 혼용 살포에 의한 만코제브 수화제의 감귤 검은점무늬병 방제 효과 증진 (Improvement of Control Efficacy of Mancozeb Wettable Powder against Citrus Melanose by Mixing with Paraffin Oil)

  • 이평호;현재욱;황록연;김광식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196-200
    • /
    • 2014
  • 본 연구는 파라핀유 첨가가 감귤 과실 표면에서의 만코제브 수화제의 내우성 증대에 대한 효과와 검은점무늬병 방제 효과 증진 여부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공강우를 0시간, 5시간, 10시간 처리한 후 과실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만코제브 양을 분석한 결과, 강우 처리 10시간 후에는 만코제브에 파라핀유 0.1%를 혼용 처리한 구에서 과실 표면에 부착된 만코제브 함량이 $7.43{\mu}g/cm^2$으로 가장 많았다. 노지에서 재배하고 있는 온주밀감 나무에 만코제브 0.2%, 만코제브 0.2% + 파라핀유 0.1%, 만코제브 0.2% + 파라핀유 0.25% 그리고 만코제브 0.2% + 전착제를 살포하고 1일, 15일, 25일 후 과실을 채취하여 과실 표면에 부착된 만코제브 양을 조사해 본 결과, 2009년과 2010년 시험 모두 처리 1일, 15일, 25일 후 0.2% 만코제브 수화제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 혼용하여 살포한 구에서 부착된 만코제브 가장 양이 많았다. 파라핀유를 혼용하여 살포하였을 경우 만코제브 수화제의 감귤 검은점무늬병에 대한 방제 효과 증진 여부를 조사해 본 결과, 2009년의 경우 만코제브 0.2%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를 각각 첨가하여 5회 살포한 구에서의 발병도가 만코제브 0.2%만 처리한 구 보다 낮았으며 만코제브 0.2%를 6회 살포한 구의 발병도와 비슷하였다. 2010년, 2012년의 경우도 만코제브 0.2%만 처리한 구보다는 만코제브 0.2%에 파라핀유 0.1% 또는 0.25% 첨가한 구에서 발병도가 낮았다. 따라서 감귤 재배 농가에서 검은점무늬병 방제를 위하여 만코제브에 파라핀유 0.1%를 혼용하여 살포하면 훨씬 방제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