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tlands Assessment

검색결과 214건 처리시간 0.018초

유역토지이용에 따른 북한강 상류 수계 부착조류에 대한 연구 (Ecological Study of Periphytons Along the Buk-han River Due To the Influence of Land Use Patterns)

  • 강정임;이상돈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643-655
    • /
    • 2011
  • 본 연구는 소양호 상류 유역의 지류 하천을 대상으로 부착조류의 생물학적 지수의 수질 대표성을 검토하였으며 총체적인 수질환경평가를 시도하였다. 북한강 상류의 4개 수계에 대한 하천(북천-한계천, 내린천, 인북천, 소양강)에서 배수구역을 중심으로 총 9개 지점을 조사 지점으로 선정하여 현장조사를 하였다. 하천 주변의 토지 이용은 농경지중심과 임야 중심으로 뚜렷한 분포차이를 보였고, 소양강 상류 하천 유역은, 농경지 중심 지역에서는 오염된 수역의 대표종인 남조강이 높은 출현률을 보였고, 임야 중심 지역에서는 남조강, 녹조강, 규조강이 비교적 고르게 출현하였다. 따라서 오염원의 분포와 부착조류의 현존량 및 군집 분포는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BOD, SS 그리고 종다양도, 균등도의 생물지수들은 조사지점 대부분에서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국내 하천에서 소양강 상류 하천 조사 지점의 하천 수질에 대해 전체적으로 빈부수성이며 양호하다는 단편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하천수질과 영양 상태에 대한 평가에 사용되는 기존 생물지수 및 하천등급판정기준은 수체 내 영양염류에 민감하여 부영양화 판정에 효과적인 부착조류의 생지화학적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였다.

서울 지역의 미래 홍수취약도 평가 (The Assessment of Future Flood Vulnerability for Seoul Region)

  • 성장현;백희정;강현석;김영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41-35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확률강우량을 통계적으로 전망하고 홍수취약도 모형을 통하여 미래 서울 지역의 홍수취약도를 정량적으로 가늠해 보는 것이다.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고려한 확률강우량 전망을 위하여 서울 지점의 연최대 일강우량을 초기 30년 자료 이후로 1년씩 누적하며 General Extreme Value (GEV) 분포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시간 대 위치, 규모 및 형상 매개변수의 선형정도를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위치 매개변수의 선형회귀식을 구성하고, 선형회귀분석에 의한 위치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2030년의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이 확률강우량을 장옥재와 김영오 (2009)가 제안한 홍수취약도 분석의 모델의 입력자료로 하여, 2030년 서울지역의 홍수취약도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2030년에 재현기간 100년의 강우가 발생한다면 현재에 비해 지역 평균 5 %정도 취약도가 증가하리라 전망되었다.

계층분석과정기법(AHP)을 이용한 하천자연도평가법 개선 (The Evaluation of River Naturalness Improvement Using AHP)

  • 조홍제;윤종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35
    • /
    • 2009
  • 하천환경정비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자연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박봉진 등이 제안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개선하여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다. 토목공학과 환경공학을 전공한 83명의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하천자연도평가법의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가중치 산정결과 총 14개 평가항목 중에서 수질, 흐름의 다양성, 저수로변 식생, 수로의 굴곡, 홍수터의 식생, 저수로 폭 다양성, 하상재료의 다양성 등 7개 항목의 가중치가 높았다. 개선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회야강, 안양천, 아미천에 적용하였고, 자연성이 훼손된 구간에 대한 변별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개선된 하천자연도평가법을 하천환경정비사업에서 사업구간을 선정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 PDF

우리나라 서·남해안에서 출현하는 다모류를 통한 해역의 생태등급 산정 (Assessment of Ecological Grade Based on Polychaete Fauna in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 백상규;박흥식;윤성규;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104
    • /
    • 2005
  • 우리나라 서 남해안에 위치한 59개 갯벌의 다모류 출현 양상을 바탕으로 갯벌의 생태등급을 평가하였다. 갯벌의 생태등급 평가는 다모류의 분포밀도, 다양성, 풍부성, 자원적 가치, 종 위험도 등의 생물학적인 자료와 해안선의 자연성, 훼손 가능성, 지형경관 등의 인문지리학적인 면을 평가기준으로 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출현한 다모류는 총 14목 37과 181종이었으며, 각 조사지역의 생태등급은 다음과 같다. I 등급 4개 지역(충남 학암포, 전남 우이도와 거문도, 경남 비진도와 매물도), II 등급 30개 지역, III 등급 19개 지역, IV 등급 4개 지역이었다. 이번 조사 결과 생태등급 기준에 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선정된 각 해역의 생태등급에 따른 정기적인 생물 조사 및 생태계 위협요인의 제거와 같은 실질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생물상 및 자연성이 높은 생태등급 지역의 경우 보다 적극적인 보전 노력이 요구된다.

  • PDF

홍수피해예상지역을 고려한 홍수위험도 산정기법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Improvement Method of Flood Risk Assessment by Flood Damage Area)

  • 홍승진;주홍준;김경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9-46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수자원 관련 최상위계획인 수자원장기종합계획에서 활용했던 홍수위험도 산정 기법인 홍수피해잠재능(PFD)와 홍수위험도지표에 대한 개선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두 방법론 모두 치수위험성을 평가하는 항목이지만 자료 활용에 대한 문제점과 특정지역에 발생한 피해를 평균개념으로 적용하였기 때문에 신뢰성에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항목별 분석을 위한 분석자료 및 방법의 개선, 2) 홍수범람예상지역을 홍수피해범위로 제한하여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기법의 개선 및 최근 제공되는 GIS 자료를 홍수피해예상지역에 적용함으로써 기존 방법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안하고, 기존 분석기법과 개선된 방법을 CASE별로 시범유역에 적용하여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강하구 생물자원 및 서식처 특성에 관한 연구 -신곡수중보 하류 한강하구의 어류상- (A Study on Fish Fauna and Fish Habitat -Downstream of Singok Submergerd Weir in Han River Estuary-)

  • 문병렬;전숙례;현문식;황종서;최준길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5호
    • /
    • pp.757-764
    • /
    • 2011
  • This study is performed to clarify the fish fauna and fish habitat of downstream of Singok submerged weir within Han River estuary during April ~ December 2009. It was studied at the nine sites of Han River estuary area. The three of them were located in the mainstream of Han River and six of them were located in three wetlands which as Sannam, Janghang and Dolbangguji. Total fish fauna was identified as 9 order 15 family and 38 species (2,230 individuals). It was divided as 8 order 11 family 28 species from three sites in the mainstream of Han River and as 5 order 8 family 19 species in waterways at mud flats of three wetlands. It was made up the fish fauna as 3 order 4 family 12 species during the survey period at the waterways in the rice paddies. Hemibarbus labeo was dominant species in the whole research sites and waterways at mud flats. Carassius auratus was dominant species in the waterways between rice paddies and Chelon haematocheilus was dominant species in mainstream of Han River estuary.

평택시 산업지역 및 농업지역 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에 의한 수환경평가 (Water Environment Evaluation by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Industrial and Agricultural Areas in Pyeongtaek City)

  • 박오집;배양섭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7-138
    • /
    • 2024
  • 하천 생태계는 농업 및 산업 활동 등 수많은 인간 활동에 영향을 받으며,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중요한 생물학적 지표로 이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 산업지역의 2개 하천과 농업지역의 2개 하천에 대하여 하천 주변 토지 이용 현황에 따른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수질평가를 위해 수온, 용존산소(DO), 수소이온농도(pH)를 측정하였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하여 군집분석, BMI 및 ESB를 산정하여 수환경평가를 실시하였다. 수환경평가를 통해 두 지역 하천의 환경 상태를 비교한 결과, 산업지역에 비해 농업지역 하천의 환경 상태가 보다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인위적인 활동의 차이에 따라 하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정도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NSO가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와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 of the ENSO Impact on Frequenc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South Korea)

  • 김수전;김병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3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ENSO의 영향에 의한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와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관측소의 강우량 자료를 Warm(El Nino), Cold(La Nina), Normal 에피소드에 따라 기간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류한 자료는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하여 100년의 자료로 모의 발생하였고 에피소드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에피소드에 따라 각 기상관측소별로 강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에피소드의 공간적인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Warm(El Nino), Cold(La Nina) and Normal 에피소드로 대표되는 ENSO는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과 공간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마닐라 광역시 물공급 이슈(Issues) 진단 (The Assessment of Water Supply Issues in Metro Manila)

  • ;김이형;정상만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45
    • /
    • 2008
  • The Philippine government enacted the National Water Crisis Act in 1995, as a response to the burgeoning situation of water supply systems in the country. This act led to the privatization of Metropolitan Waterworks and Sewerage System (MWSS), sector having jurisdiction and control over all waterworks and sewerage systems in a service area including Metro Manila. Nowadays, the region's supply of water is still facing a lot of difficulties, both in quality and quantity. The unabated migration of people to the metro which increases its population, tapping from the aged pipelines, lack of water facilities and infrastructure, excessive groundwater withdrawal,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surface and groundwater pollution are some of the issues that Metro Manila have to deal with. These situations lead to two primary water supply issues suffered by Metro Manila: water shortage and flood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esent water supply in Metro Manila with respect to the problems in its distribution, environmental implications and quality. In this paper, several technical reports, published literature, and news articles were consulted and became the major basis for identifying gaps and suggesting remedial measures.

  • PDF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보전계획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of Wetland Conservation Plan for Upo Wetland Protected Area)

  • 김수련;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5-80
    • /
    • 2019
  •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is used as a tool to set the management direction of wetland protected areas, and which is establishing a plan for the conservation, wise-use, and management based on wetland's condi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conservation plan considering the functions and management conditions of Upo wetland protected area. To this end, there are analyzed the current issues, plans and implementation status of Upo Wetland Conservation Plans in the past. The management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establishing the Wetland Conservation Plan were sele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alysis and the priority of those elements was identified through the AH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ack of considering the change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existing plans in wetlands, conducting short-term projects related to maintenance original function of wetland, different management methods for wetland protected areas and other adjacent areas, lack of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y stakeholders, inconsistencies in timing of the Conservation Plan and survey of wetland protected areas.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it needs to include the performance evaluation stage of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plan, strengthen cooperation of stakeholders and expertise, continuing of projects for wetlands' maintenance, priority of the project considering the management side, and to adjust the timing of plans to improve data avail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