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st of Jeju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Scomberoides lysan (First Record of the Doublespotted Queenfish, Scomberoides lysan (Perciformes: Carangidae) from Korea)

  • 김맹진;김준상;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42-246
    • /
    • 2018
  •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Scomberoides lysan 2개체(표준체장 334, 354 mm)가 2010년 9월 제주도 서귀포시 대포동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최근 우리나라에 보고된 가시전갱이(S. tol)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주둥이 뒤쪽 끝이 눈의 말단에 이르며, 체측에 5~8개의 작은 검은색 반점들이 두 줄로 나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체측에 두 줄의 작은 반점을 가지는 형태적 특징에 근거해서 이 미기록종의 국명을 "두점줄가시전갱이"로 제안한다.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in the territorial seas of the Republic of Korea

  • An Suk, Lim;Hae Jin, Jeong
    • ALGAE
    • /
    • 제37권4호
    • /
    • pp.265-279
    • /
    • 2022
  • The primary production (PP) by phytoplankton in marine ecosystems is essential for carbon cycling and fueling food webs. Hence, estimating the PP in the territorial sea of each country is a necessary step to achieving carbon neutrality. To estimate the PP in the territorial sea of the Republic of Korea from 2005 to 2021, we analyzed various physiochemical parameters, such as sea surface temperature (SST), Secchi depth, and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 and nutrients in the seas of five regions, including the East Sea, West Sea, western South Sea, eastern South Sea, and the waters off Jeju Island. During the 17-year study period, the SST tended to increase, while the nutrient concentrations declined, except in the Jeju area. Overall, the PP did not show a specific temporal trend, but daily PP in the western South Sea was the highest among the five regions. Moreover, the maximum PP in the Korean territorial waters (76,450 km2) was estimated at 11,227 Gg C y-1, which accounts for 0.03% of the global PP. The results may give insights in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P, further resource utilizatio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studied region.

한국산 여울멸의 분자동정과 형태적 특징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Longjaw Bonefish, Albula argentea Collected in Korea)

  • 김맹진;김병엽;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49-254
    • /
    • 2019
  • 여을멸과에 속하는 Albula sp. 1개체를 제주도 연안의 정치망에서 채집하여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였다. 이 개체는 73개의 측선공과 72개의 척추골, 그리고 뺨에 무늬가 없는 특징으로 형태적으로 Albula argentea로 동정되었다. 보다 명확한 종 동정을 위해서 표본조직으로부터 미토콘드리아 사이토크롬 b 염기서열을 얻은 후 기존에 보고된 10종의 Albula spp.와 비교 분석한 결과, 분자생물학적으로도 A. argentea와 동일종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동갈돔과 어류 첫기록종, Apogon unicolor (First Record of the Big Red Cardinalfish, Apogon unicolor (Apogonidae: Perciformes) from Korea)

  • 한송헌;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3-137
    • /
    • 2022
  • 동갈돔과에 속하는 Apogon unicolor 2개체(표준체장 81.0, 96.3 mm)가 제주도 차귀도 연안 자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측선공수가 26개, 첫 번째 등지느러미수가 6개, 새파수 11개(2+1+8)이며, 안하골과 전새개골의 가장자리에 거치상이 있고, 체측에 무늬나 반점이 없다. 이번에 채집된 표본은 형태와 분자유전학적 특징이 기존의 보고와 잘 일치하였으며 채색에 있어서 몸체와 지느러미가 전반적으로 홍색을 짙게 띠고 있어 이 종의 국명을 "진홍얼게비늘"로 제안한다.

황해저층냉수에 따른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어황의 변화와 예측 가능성 (Predicting Changes in Fishing Conditions for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based on Expansions of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 임유나;김희용;김대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19-423
    • /
    • 2014
  • We consider changes in the fishing ground of the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discuss their utility in predicting fishing conditions for this species. The fishing ground, which having been formed around Jeju Island since the 1970s, is dominated by the Yellow Sea Bottom Cold Water (YSBCW), and variation in its southward expansion from the Yellow Sea is the single most key environmental factor affecting the L. polyactis catch. When the YSBCW showed strong expansion and the fishing ground shifted to the west and southwest of Jeju Island, as occurred in the late 1980s, late 1990s, and early 2000s, the L. polyactis catch was low; conversely, when expansion was weak, as in the early 1990s and late 2000s, the L. polyactis catch was high. This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should be useful in predicting fishing conditions for L. polyactis.

제주외항 건설에 따른 주변 해역의 해빈류 변화 예측 (A Simulation of Wave Induced Current Around the Jeju New Harbor)

  • 곽문수;편종근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1-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하디크로스법을 적용한 해빈류 해석 수치모델을 사용하여 제주외항의 건설진, 후에 대한 주변 해연의 흐름 변화를 예측하였다. 수치계산은 외항 건설전의 현재상태와 구조물 완공후의 상태에 대하여 실시하였고, 파향은 계절적인 변화를 고려하여 겨울철 NNW 방향과 여름철 NE 방향을 각각 검토하였다. 계산결과는 건설전, 후 모두 겨울철 NNW 방향의 고파랑 내습시 해빈류가 크게 발생하였다. 또한, 건설전에는 외항 건설 예정해역에서 서쪽에서 동쪽으로 향하는 연안류가 발생하여 화북동 전면해역에서 이안류를 형성하였지만, 건설후에는 화북동 전면해역에서 이안류가 순환류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외항 입구에서 작은 순환류가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한편, 외항에서 북동쪽으로 3.0km 떨어진 삼양해수욕장 주변의 흐름분포는 외항과 반대방향인 서쪽에서 동쪽으로 연안류가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해수욕장의 표사이동에 의해서 외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작을 것으로 판단된다.

비진행성 갑상선암 환자에 대한 제주워터의 항피로 효능에 대한 유효성과 안전성 평가 예비 임상연구 -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삼군위약대조군 연구 (Effects of Vanadium Water on Cancer-related Fatigue of Non Advanced Thyroid Cancer Patients: Randomized, Three armed, Triple Blinded Controlled Trial)

  • 정홍매;김동희;이석훈;김경순;유화승
    • 혜화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9-89
    • /
    • 2012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f efficacy and safety of Vanadium Water (VW) on Cancer related Fatigue of Non-advanced Cancer Patients. Methods : Experimental Group Administration. Participants in treatment group consumed three 500 ml/bottle bottles of Jeju Island's VW, which contains 40.2 ${\mu}g/L$ of vanadium, three times a day (morning, afternoon, evening) for 4 weeks (28 days)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s for fatigue improvement.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consumed three 500 ml/bottle bottles of ordinary water (0 ${\mu}g/L$ of vanadium) three times a day for the same period of time without any additional treatments for fatigue improvement. Results : After 4 weeks of VW consumption, total score of Revised Piper Fatigue Scale (RPFS) was reduced 30% and basal score after Fisher's Exact Test resulted statistical borderline significance (p=0.0799) and result of t-test of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RPFS total score and fatigue cognitive/mood changes result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112). In detail, only 36.4% of control group (N=11) showed improvement while 77.8% of treatment group (N=9) showed fatigue improvement and thyroid hormone level changes. No other lab measures indicated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 Daily consumption of 1.5 L of Vanadium water for 4 weeks showed improvement of non-advanced cancer patients' fatigue.

제3차전국자연환경조사의 조류자료를 활용한 생물다양성 우수지역 분포 연구 (Distribution Patterns of Biodiversity Hotspot using Birds Data from the 3rd National Ecosystem Survey in South Korea)

  • 권혁수;이윤경;유승화;김동원;김장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1-89
    • /
    • 2020
  • The grid-based analysis is useful for conservation planning, species distribution study, education, and others'. On the west coast of Korea, it was high in species richness, rarity and endangered species richness.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coordinated species data can be applied to develop species distribution models due to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total species richness and coordinated species 0richness. In hot spot analysis, high species richness areas are concentrated around the west coast, while species richness is relatively low in Gangwon and Gyeongnam. Endangered species and rarity were also concentrated on the west coast and islands. Through the complementary analysis, we selected areas which are efficient to protect species; protecting more species while minimizing the conservation effort. Our result demonstrated that simply protecting Baengyueong island, Gageo island and a part of Jeju island can conserve over 50% of bird species in South Korea. However, the validity of our analysis was limited by the absence of data from national parks, and Baekdudaegan protected areas as well as inconsistent capacity among field researchers.

서해안 일대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유입과 계절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Inflow and Season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Marine Debris in the Coastal Area of the West Sea)

  • 장선웅;박재문;정용현;김대현;윤홍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89-100
    • /
    • 2012
  • 본 연구는 서해안 일대의 국가 해양쓰레기 모니터링 구역을 대상으로 외국기인 해양쓰레기의 발생 특성과 해양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시기별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해안으로 유입되는 외국 기인 해양쓰레기는 제주 차귀도(5,112개)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진도 하조도(1,967개), 신안 임자도(507개) 순으로 조사되었다. 대부분 부유성이 높은 플라스틱 제품으로 플라스틱 음료수병(2,925개)이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다. 시기별 발생량은 주로 7월, 9월에 집중되었으며, 이 시기의 해양 환경을 분석한 결과, 해상풍의 주풍향은 남풍 또는 남동풍 계열이 지배적이었다. 해수 표층 흐름의 경우 중국 연안을 따라 남하하는 해수의 흐름과 동중국해로부터 북상하는 해수 흐름의 유입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of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이승종;고준철;유준택;임양재;김병엽;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6
    • /
    • 2009
  • 제주도 서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종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에 홑자망, 삼중자망 그리고 통발을 이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3목 45과 81종이 출현하였으며 농어목과 쏨뱅이목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9.1%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출현종수는 고수온기인 7월에 5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저수온기인 4월 42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시기별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은 9월에 895 개체, 135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12월에 450 개체, 52 kg로 낮았다. 조사어구 중 어획량이 가장 빈약했던 홑자망을 제외한 삼중자망과 통발의 다양도 지수를 구한 결과 각각 2.88~3.22, 1.31~1.87의 범위로 변화하였고 두 어구 모두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쏨뱅이, 쥐치, 호박돔, 황놀래기 등으로서 이 어종들은 계절에 상관없이 조사해역 내에서 우점 출현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