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lfare Effect

검색결과 3,002건 처리시간 0.03초

Immediate effect of self-myofascial release on hamstring flexibility

  • Jung, Jihye;Choi, Wonjae;Lee, Yonghyuk;Kim, Jiwoo;Kim, Hyunju;Lee, Kyoungho;Lee, Jaewoo;Lee, Seungwon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6권1호
    • /
    • pp.45-51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rea with greatest effect using self-myofascial release technique (self-MFR) in the hamstring, suboccipital, and plantar region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Methods: Twenty-two adult subjects were evaluated for flexibility and hamstring pain threshold after self-MFR. Based on the superficial back line, the self-MFR application areas were the suboccipital region, hamstring, and plantar regions. Self-MFR was applied to each area using a wooden pole for a total of 4 minutes. Self-MFR was applied for 3 days at the same time of day, which was randomly assigned for each subject. Treatment was applied to one area each day. The sit and reach test (SRT), active range of motion (AROM), and passive ROM (PROM) were used to determine changes in flexibility, and an algometer was used to determine pain threshold. Pre/post-self-MFR effectiveness was tested using a paired t-test. Repeated measurement was used to compare self-MFR effects in the suboccipital, hamstring, and plantar regions. Results: When the self-MFR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3 areas, the SRT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baseline (p<0.05). Bilateral AROM and PRO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p<0.05). When the self-MFR technique was applied to the hamstring, the semimembranosus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pain threshold (p<0.05).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indirect application based on the Anatomy Trains could be effective for those who need to improve muscle flexibility. Moreover, self-MFR easily alleviates myofascial pain while maintaining flexibility, and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and place.

Effects of grain-based pecking blocks on productivity and welfare indicators in commercial broiler chickens

  • Byung-Yeon Kwon;Hyun-Gwan Lee;Yong-Sung Jeon;Ju-Yong Song;Jina Park;Sang-Ho Kim;Dong-Wook Kim;Kyung-Woo Lee
    • Animal Bioscience
    • /
    • 제37권3호
    • /
    • pp.536-546
    • /
    • 2024
  • Objectiv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in-based pecking blocks on productivity and welfare status at two commercial broiler welfare-certified farms. Methods: Production and welfare indicators were assessed at two farms (designated Farm A and B). Both farms had two windowless houses with forced tunnel-type ventilation and housed broilers at stocking densities of approximately 16.7 birds/m2 (Farm A) and 16.8 birds/m2 (Farm B). Each house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equal sections and was provided with or without pecking blocks. Grain-based pecking blocks, measuring 25 × 25 × 25 cm, were given to broilers in both farms at 1 block per 1,000 birds. Various parameters including productivity (body weight and flock uniformity), corticosterone levels (in fecal droppings and feathers), footpad dermatitis, hock burn, feather dirtiness, gait score, litter quality, body surface temperature, and volatile fatty acids in fecal samples were assessed at 26 days of age, whereas litter quality was analyzed at 13 and 26 days of age.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effects of providing pecking blocks on productivity (body weight and uniformity), fecal and feather corticosterone, welfare indicators (i.e., footpad dermatitis, hock burn, feather cleanliness, and gait score), and litter quality (i.e., moisture, nitrogen, and pH). No differences in body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control and enrichment treatments were noted in Farm B, but body surface temperatures of the head (p = 0.029) and legs (p = 0.011) in the enrichment vs. control group were elevated in Farm A. Butyrate concentration in the enrichment vs control group was higher in Farm B (p = 0.023), but this effect was not detected in Farm A. Conclusion: It is concluded that grain-based pecking blocks did not affect performance and welfare indicator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elucidate the potential impact of grain-based pecking blocks on gut health indicators.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동태의 특성 및 수급탈출의 결정요인 분석 (Welfare Dynamics in Korea Determinants of Welfare Exit)

  • 이원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2권3호
    • /
    • pp.5-29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3차년도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동태의 특성 및 수급탈출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급탈출을 탈출 후 빈곤하지 않은 탈빈곤적 수급탈출과 탈출 후 여전히 빈곤한 탈제도적 수급탈출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명표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수급탈출확률 수준이 낮고 수급기간이 길어질수록 수급탈출확률이 낮아지는 현상이 관찰된다. 이산시간 해저드 모형의 분석 결과,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 결혼지위, 부양아동 유무, 취업형태 등이 탈빈곤적 수급탈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탈제도적 수급탈출에는 수급기간과 수급진입시기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est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Kim, Kyung Ho;Choi, Young 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211-218
    • /
    • 201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impact of depress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depress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o draw ou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in terms of preventing or reducing mobile phone dependency. Based on previous studies, a longitudinal research model between the aforementioned three variables has been identified.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4th, 5th, and 6th wave data from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2010 (KCYPS 201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could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Second, self-esteem could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ird, the influence of depress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was not significant. Fourth, gender could be a significant moderating variable between depression and self-esteem. Finally, a number of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Experience on Adolescents' Violence towards Their Paren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net Addiction)

  • 김재엽;조춘범;정윤경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0권2호
    • /
    • pp.29-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을 '부모간 폭력 목격', '부모로부터의 피학대', 그리고 '부모간 폭력 목격과 부모로부터의 피학대'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서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생부터 고등학교 2학년 학생 540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 가운데 25.3%가 지난 1년간 부모에게 언어적 또는 신체적으로 한 번 이상 폭력을 행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과 부모폭력과의 관계에서는 '부모로부터의 피학대 경험'과 '부모간 폭력 목격과 부모로부터의 피학대 경험'이 부모폭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의 두 유형의 가정폭력 경험은 부모폭력에 직접적, 그리고 인터넷 중독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부모폭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개입 방향을 제언하였다.

  • PDF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강점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 강미경;노혜련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40호
    • /
    • pp.285-322
    • /
    • 2012
  •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청소년의 교사와의 관계가 내재적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dolescents' relationship with teachers on intrinsic life goal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 이의빈;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87-114
    • /
    • 2017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내재적 삶의 목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아동 청소년패널의 6차 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변수들의 결측치들을 제거하고 난 1,776명의 케이스를 대상으로 하였다.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진행하였고, 변수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청소년의 삶의 목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진행하였고, 매개변수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Sobel-Test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청소년이 지각한 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중학생의 내재적 목표 지향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가 내재적 삶의 목표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연구의 함의,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Poverty Reduction Effect of Social Security Benefits in Korea)

  • 김환준
    • 사회복지연구
    • /
    • 제48권3호
    • /
    • pp.5-28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2006~2015년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보장급여의 빈곤완화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보장급여는 빈곤갭을 상당한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공적연금, 기초연금 등의 제도가 비교적 큰 빈곤완화효과를 거두고 있는 반면 장애수당, 산재 고용보험, 보육 등의 빈곤완화효과는 이에 비해 훨씬 작은 편이다. 사회보장급여액과 빈곤완화효율성이라는 두 요소가 빈곤완화효과의 크기를 결정한다. 최근 사회보장제도의 확대에 따라 빈곤완화효율성은 대체로 감소하였으나 사회보장급여액이 더 크게 증가했기 때문에 빈곤완화효과는 점차 커졌다. 사회보장제도의 빈곤완화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선별주의적 제도의 단점을 극복하면서도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암 환자의 긍정적 가족관계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 영적민감성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on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sensitivity -)

  • 김재엽;황호경;최유일;이현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3-23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to examine the effect of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on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and b)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sensitivity. Methods: The subjects were cancer patients, both outpatients and inpatients selected from major hospitals specialized in cancer treatment using judgement sampl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cancer patients, and a total of 208 cases were collected but only 201 ca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due to seven unclear and inadequate questionnaires.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s to identify the prevalence for each variable, and the moderating effect wa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post-traumatic growth of the subjects was 3.01 (0-5 points). Second, the positive family relations of the subjects were 2.58 (0-5 points) and the average of spiritual sensitivity was 2.93 (1-5 points). Third,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of cancer pati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post-traumatic growth, and spiritual sensitivity was verified as a moderator to positive family relationship enhancing the post -traumatic growth. Conclusion: These findings imply the importance of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as a key intervention point to overcome pain and frustration from cancer. We suggest to develop family therapy programs and services aimed at fostering positive family relationships and meeting the needs of spiritual sensitivity for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his study also provides ways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medical institutions and religious foundations.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of Senior Center and Subjective Quality of Life: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 최정민;이수애;박민서;권구영
    • 한국노년학
    • /
    • 제31권1호
    • /
    • pp.63-77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임파워먼트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 후, X2 차이 검증을 통해 경쟁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 중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의 이용자 참여 확대, 직원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기회와 인센티브 제공, 임파워먼트 실천 모델개발과 매뉴얼화,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정부의 평가체계 반영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