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가족강점의 매개효과 분석-

The Effect of Family-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 강미경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노혜련 (숭실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Kang, Mi-Ky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
  • Noh, Hele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 투고 : 2012.10.03
  • 심사 : 2012.12.21
  • 발행 : 2012.12.30

초록

본 연구는 가족중심실천이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가족중심실천의 일차적 대상이 되는 가족강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족중심실천의 성과를 확인하고, 실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은 삼성과 사회복지공동모금회 기획사업인 우리아이 희망네트워크 지원 사업에 참여한 아동과 주 양육자가 작성한 서비스 평가 자료를 기초로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매개분석을 하였고, 연구모형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 경험한 가족중심실천에 대한 평가는 상당히 높아 가족중심실천이 충실히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중심실천에 참여한 아동의 자기효능감과 가족강점 수준의 사업 참여 전후를 비교해 보면 둘 다 참여 후에 유의하게 향상하였다. 셋째, 가족강점은 가족중심실천과 아동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중심실천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가족강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아동복지 영역에서 강점관점에 기반을 둔 가족중심실천의 필요성과 좀 더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effect of family centered practice on children's self-efficacy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strength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conducted using data provided by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Children's Hope Network and their primary caretaker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milies rated highly on their level of experience regarding family-centered practice, which show that social workers were faithful in performing family-centered practice. Second, the levels of both children's self-efficacy and family strength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project participation when compared to the levels measured before participation. Third, family-centered practice affected children's self-efficacy only indirectly through family strengths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family strengths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explored in relation to the importance of family-centered practice and measures to improve social work practic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