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species

검색결과 518건 처리시간 0.023초

작약밭 잡초 발생 특성 (Weed Occurrence in Peony (Paeonia lactiflora) Fields)

  • 임일빈;임보혁;박재현;임민혁;장정한;이인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6권3호
    • /
    • pp.165-178
    • /
    • 2017
  • 작약 밭에서 잡초의 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2015년 6-7월에 경북 의성, 청송, 전남 화순, 장흥, 강진 등의 지역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전체 작약 밭에서는 국화과 30종, 벼과 9종, 마디풀과 8종, 콩과, 메꽃과 각각 5종, 십자화과, 현삼과 각각 4종을 포함하여 35과 105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9종, 월년생 23종, 다년생 33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쇠비름, 명아주, 피, 깨풀 등의 순이었다. 경북지역에서는 국화과 20, 벼과 7, 마디풀과 6, 십자화과 4종, 콩과 4종, 메꽃과 4종, 대극과 3종을 포함하여 30과 75종이 발생하였다. 상위 2개 과에 포함하는 잡초가 31종으로 44.7%를 차지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35종, 월년생 21종, 다년생 19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쇠비름, 깨풀, 명아주, 속속이풀, 피 등의 순이었다. 전남지역에서는 국화과 23종, 벼과 7종, 마디풀과 8종, 콩과 6종을 포함하여 34과 88종이 발생하였다. 생활형별로는 일년생 43종, 월년생 20종, 다년생 25종이었다. 우점도가 큰 잡초는 바랭이, 쑥, 쇠비름, 망초, 명아주, 개여뀌, 피 등의 순이었다. 이와 같이 작약 재배지에서 일년생, 월년생 및 다년생 잡초가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어 이에 따른 잡초방제 체계가 설정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actice and weed community in adzuki bean fields in the south-west districts of Korea

  • Hwang, Jae-Bok;Park, Tae-Seon;Park, Hong-Kyu;Kim, Hak-Sin;Choi, In-Bae;Koo, Bon-Il;Bae, Hee-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40-49
    • /
    • 2017
  • Cultural practices for adzuki bean and the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the south-west regions of Korea were surveyed to provide information on effective weed management. Approximately 27.5% of the farm households were growing adzuki bean in an area larger than 1 ha while the rest grew the crop in an area smaller than 1 ha. Of all adzuki bean growers, 17.1% seeded in early June, 8.6% in mid June, 34.3% in late June, 17.1% in early July, 20.0% in mid July, and 2.9% in late July. The average planting distance was $71.0{\times}29.5cm$. From the 40 surveys in adzuki bean fields, 35 weed species in 17 famil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the dominant weed species were Digitaria sanguinalis, Acalypha australis, Cyperus amuric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maranthus nangostanus in decreasing order of dominance. However, based on dry weight, Chenopodium album (34.4%)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21.9%), Amaranthus nangostanus (19.1%), Digitaria sanguinalis (7.5%), and Portulaca oleracea (6.1%). The exotic weeds found in the field of adzuki were Ipomoea hederacea, Abutilon avicennae, and Celosia argentea. The plant heights of I. hederacea, A. avicennae, and C. argentea were 259 cm, 98 cm, and 76 cm, respectively, while the fresh weights were 850 g, 66 g, and 101 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systems utilizing mechan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technique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weed management in adzuki bean production.

고속도로 갓길 외측 성토상단의 잡초침입 억제를 위한 시험 연구 (The Study on Test for Control of Weeds Invasion in Constructed on Upper Embankment in the Shoulder of a Expressway)

  • 전기성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227-237
    • /
    • 2015
  • From January 2013 to October 2015, weed invasion control techniques was tested in the test road of Jungbunaeryuk expressway so as to collect preliminary data for the management methods of the upper exterior banking of expressway shoulders. Then, monitoring was conducted and its results are as follows. Mat (sheet), solidifying agent, and mulching (wood chips) were applied for the test and their initial effects of preventing weed invasion were all excellent. It was found that the homogeneity of the wood chip mulching method needs to improve. In the mat method and the mulching method were found to have the most excellent economic feasibility and aesthetics, respectively. The covering degree was found to be the highest at 80% in the control site, followed by the wood chip site at 20% and the solidifying agent site and the non-woven fabric site at 5% each. As for species diversity, the control had the largest variety of species. Two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many different species of plants invaded and were growing. Plants including weed didn't tend to invade the slopes applied with non-woven fabric. In addition, weed didn't invade the solidifying agent site and the aesthetics of the upper exterior banking of expressway shoulders was found to be excellent. The wood chip site was found to require consistent management for preventing weed invasion. The mat (sheet) site, the solidifying agent site, and the wood chip mulching site were found to have excellent weed prevention effects. As time passed, the mat (sheet) site and the solidifying agent site showed better weed prevention effects. However, they need consistent monitoring for further application.

소면적 재배작물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잡초현황 (Occurrence of Weed Flora in Lycium chinense Upland Field of Minor Crop in Korea)

  • 이인용;김창석;이정란;서현아;권봉재;장형목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2호
    • /
    • pp.60-64
    • /
    • 2016
  • 충남 청양, 전남 진도를 중심으로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문제잡초의 현황을 파악하고 잡초방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2015년 5월과 6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구기자밭에 발생하는 잡초는 30과 91초종으로 국화과 26종, 화본과 13종, 비름과 5종, 현삼과, 십자화과, 마디풀과, 두과는 각각 4종 등의 순이었다. 이들 잡초를 생활형으로 구분하면, 일년생 36종, 월년생 28종, 다년생 27종이었다. 우점잡초로는 쇠비름, 바랭이, 별꽃, 괭이밥, 깨풀, 흰명아주, 참방동사니, 냉이, 망초, 돌피 등이었다. 외래잡초는 27종으로 29.7%를 점유하고 있으며, 흰명아주, 망초, 큰망초, 개쑥갓, 개비름, 큰방가지똥, 유럽점나도나물, 소리쟁이, 미국가막사리, 붉은서나물 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벼 어린모 기계이앙답에서 수면부상성 Benzobicyclon합제의 제초활성 (Herbicidal Efficacy of Benzobicyclon Up Granule Formulations in Infant Seeding Machine Transplanting of Rice)

  • 원옥재;신훈탁;노석원;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5권4호
    • /
    • pp.225-229
    • /
    • 2016
  • 본 시험은 벼 어린모 기계이앙 답에서 발생하는 일년생 잡초와 다년생잡초에 대한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benzobicyclon을 기반으로 한 수면부상성 입제로 개발한 BAO UG와 BBF UG의 방제효과를 BIF SC와 비교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약제인 BAO UG와 BBF UG의 잡초방제효과는 9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벼에 대한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후기생육 및 수확량에 있어서도 시험약제와 대조약제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모두 벼에 대해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시험에서 사용한 수면부상성 입제의 경우 쉽게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벼 생력재배를 위해 이용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잔디육묘 이식재배법에 관한 연구 : Ⅴ. 월년생 잡초의 특성 (Study on Transplanting Cultural Methods of Turf Seedling : V. Growth Characteristics of Biennial Weeds in Lawn)

  • 이명선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3-127
    • /
    • 2009
  • 실생묘 이앙으로 새로이 조성된 잔디밭에 발생되는 월년생 잡초의 종류 및 그 방제를 위한 특성을 조사한바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1. 발생잡초 종은 십자화과 및 국화과가 각각 29.4%이고, 석죽과 23.5%, 벼과 11.8%,꿀풀과 5.9%의 순위였다. 2. 발생 시기별로는 10월에 47.1%, 11월에 41.2%, 9월과 12월에 각각 5.9%를 나타내는 순위를 보인다. 3. 개화시기별로는 5월에 58.8%, 4월 23.5%, 3월 11.8%, 6월 5.9% 순위를 보였다. 4. 초장별로는 20-40 cm에 속하는 것이 47.1%, 20 cm 미만이 23.5%, 40-60 cm에 속하는 것이 17,6%, 60cm이상에 해당되는 것이 11.8%를 나타나고 있었다.

국내 논잡초 발생분포조사 (A Survey of Weed Occurrence on Paddy Field in Korea)

  • 하헌영;황기선;서수정;이인용;오영주;박중수;최준근;김은정;조승현;권오도;임일빈;김상국;성덕경;정영재;이욱재;김창석;이정란;박재읍;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2호
    • /
    • pp.71-77
    • /
    • 2014
  • 본 연구는 전국 논의 재배양식별 잡초 분포현황을 알아보기 위하여 2013년 6월부터 9월까지 도 농업기술원, 농업 대학 및 관련 연구소 등 11개 기관에서 전국 8도 155개 시 군의 3,434지점에서 잡초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2013년 현재 우리나라 논에는 일년생잡초가 52종, 월년생잡초 3종, 다년생잡초 35종을 포함한 28과 90종의 잡초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발생한 잡초의 과별구성을 보면 화본과 18종, 사초과 17종, 현삼과 8종 마디풀과 6종 순으로 상위 4개 과가 포함하는 49종이 전체의 54%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잡초는 피 17.4%, 물달개비 12.4%, 올방개 7.8%, 올챙이고랭이 6.2%, 벗풀 6.1% 순으로 우점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앞으로 전국 논잡초의 발생양상을 예측하며 잡초군락의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체계적인 논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I)

  • Hyun, JongYoung;Yoon, Chang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00-219
    • /
    • 2020
  • We performed taxonomic reviews and habitat circumstances survey for 41 un-introduced environmentally harmful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2016).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plant specimens from several herbaria and performed a field surve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Base on the result, we presented the most comprehensive results of weed risk evalu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up to now as well as classification keys for 11 species to apply the regulation manage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 Centaurea maculosa Lam., Centaurea diffusa Lam., Mikania micrantha Kunth. (Asteraceae), Cenchrus echinatus L., Neyraudia reynaudiana (Kunth) Keng ex Hitchcock, Brachiaria mutica (Forsskål) Stapf, Vulpia bromoides (L.) Gray, Lolium persicum Boissier & Hohennacker, Setaria palmifolia (J. Konig) Stapf (Poaceae), Prosopis glandulosa Torr. (Fabaceae), Fallopia baldschuanica (Regel) Hobub. (Polygonaceae).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V)

  • Hyun, Jong Young;Yoon, Chang Young;Kim, Joo-Hw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16-632
    • /
    • 2021
  • We performed taxonomic reviews and habitat circumstances survey for 41 un-introduced environmentally harmful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2016). And we investigated plant specimens from several herbaria and performed a field surve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 we presented the most comprehensive results of weed risk evalu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up to now as well as classification keys for 11 species to apply the regulation manage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 Senecio madagascariensis Poir., Sphagneticola trilobata (L.) Pruski, Ageratina riparia (Regel) R.M. King & H. Rob. (Asteraceae), Andropogon gayanus Kunth (Poaceae), Echinocystis lobata (Michx.) Torr. & A. Gray (Cucurbitaceae), Salvinia minima Baker (Salviniaceae), Vincetoxicum rossicum (Kleopow) Barbar. (Asclepiadaceae), Asparagus asparagoides (L.) Druce (Asparagaceae), Alternanthera pungens Kunth (Amaranthaceae), Salpichroa origanifolia (Lam.) Thell., and Lycium ferocissimum Miers (Solanaceae).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