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ed distribution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양식(樣式)에 따른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 및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雜草)의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Emergence of Weed Species and Their Competitive Characteristics in Direct-Seeded Rice (Oryza sativa) - 1. Distribution and Growth of Weeds in Direct-Seeded Rice)

  • 허상만;조이기;권삼열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78-288
    • /
    • 1995
  • 벼 직파재배(直播栽培) 두 양식(樣式)(건답직파(乾畓直播), 담수직파(湛水直播))하(下)에서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분포(發生分布)와 생장(生長) 및 군락구조(群落構造)의 변화(變化)를 파악하여 비교분석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잡초(發生雜草)는 화본과(禾本科) 2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8종(種), 및 사초과(莎草科) 4종(種) 등 총 14종이었고, 우점초종은 밭뚝외풀, 알방동사니, 황새냉이, 너도방동사니였다. 일년생과 다년생의 분포비율은 73.6 : 26.4%로 일년생 점유율이 높았다. 2.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화본과(禾本科) 1종(種), 광엽잡초(廣葉雜草) 7종(種), 사초과(莎草科) 4종(種)등 총 12종이었고, 우점초종은 알방동사니, 올챙고랭이, 밭뚝외풀 순(順)이었다. 일년생(一年生)과 다년생(多年生)의 분포비율(分布比率)은 82.1 : 17.8%로 일년생(一年生) 점유비율이 단연 높았다. 3. 건답(乾畓) 및 담수직파(直播)에서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생장양상에서 대부분 잡초(雜草)들의 개체수(個體數)는 파종(播種) 후(後) 45일(日)경에서 결정되었고, 건물중(乾物重)은 파종(播種) 후(後) 75-90일(日)까지 계속 증가(增加)하였다. 초장(草長)의 신장(伸長)은 피, 올챙고랭이, 알방동사니는 파종(播種) 후(後) 45~60일(日), 미국가막사리는 파종(播種) 후(後) 60~90일(日)에 큰폭의 신장성(伸長性)을 보였으며 그 외의 잡초(雜草)들은 파종(播種) 후(後) 45일(日)이후부터 완만한 신장(伸長)을 나타냈다. 4. 생육후기까지 가장 우점했던 초종은 건답직파에서 알방동사니, 가막사리, 바랭이 및 피였으며,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알방동사니, 피 및 올챙고랭이였다.

  • PDF

경남지역(慶南地域) 시설원예작물(施設園藝作物) 재배지(栽培地)에 발생(發生)하는 잡초(雜草)의 분포(分布) (Distribution of Weeds in Greenhouses of Gyeongnam Area)

  • 이증주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7
    • /
    • 1996
  • 본 연구는 시설원예 작물 재배지에서의 효과적인 잡초방제법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1995년 9월부터 12월에 걸쳐 경남지역의 8개 시 군(市 那)과 인접한 전남지역의 2개 군(郡)등 총 10개 시 군의 시설원예 채소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상태를 조사하였다. 1. 경남지역의 시설원예지에서 조사된 잡초종은 23개과(科) 69종(種)으로, 생활형별로는 일년생(一年生)이 28종, 월년생(越年生)이 16종, 다년생(多年生)이 25종이었다. 잡초의 형태별로는 광엽잡초가 50종, 화본과 8종, 사초과가 11종이었으며, 과별로는 십자화과 9종, 국화과, 사초과 및 화본과가 각각 8종, 마디풀과 6종, 그리고 나머지 17개과에서 1~3종이 분포하였다. 우점정도가 높은 초종은 좁쌀냉이, 바랭이, 왕바랭이, 쇠별꽃, 중대가리풀, 석류풀, 쇠비름 및 속속이풀 등이었다. 2. 발생된 잡초종은 사천에서 16과(科) 36종(種)으로 가장 많았고, 창원에서는 8과(科) 9종(種)으로 가장 적었는데, 김해, 의령 및 창원지역에서는 좁쌀냉이 51.8%, 속속이풀 31.94%, 바랭이 29.31%의 우점도를 각각 나타내어, 단일 초종의 우점정도가 매우 컷으며, Simson의 다양성 지수는 김해지역이 0.13으로 가장 적었고 합천지역이 0.92로 가장 컸다. 3. 건물중을 기준으로 하여 조사된 중요도는 창령, 창원, 김해 및 의령지역에서 왕바랭이, 쇠별꽃, 좁쌀냉이 및 참소라쟁이 등이 50% 이상의 비율을 차지하였다.

  • PDF

수도(水稻) 재배유형별(栽培類型別)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경합특성(競合特性) - 제(第) 1 보(報). 잡초발생양상(雜草發生樣相)과 우점도(優占度) 변이(變異) (Weed Occurrence and Competitive Characteristic under Different Cultivation Types of Rice(Oyriza sativa L.) - 1. Distribution and Dominance of Weed and Rice)

  • 임일빈;구자옥;박근용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6-35
    • /
    • 1993
  • 벼 재배유형(栽培類型)을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3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어린모(10일묘(日苗)) 기계이앙(機械移秧), 최아종자(催芽種子)의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종자(乾種子)의 건답직파재배(乾畓直播栽培)로 하여 잡초(雜草)의 초종별(草種別) 발생양상(發生樣相) 및 우점도(優占度)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관행이앙재배(慣行移秧栽培)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피 등(等) 7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65 : 35% 정도(程度)이었다. 2. 중묘(中苗) 및 어린모 기계이앙재배(機械移秧栽培)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피 등(等) 10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60 : 40% 정도(程度)이었다. 3.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월년생(越年生) 1초종(草種), 일년생(一年生) 12초종(草種), 다년생(多年生)이 2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13 : 87% 정도(程度)이었다. 4.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발생(發生)된 잡초(雜草)는 월년생(越年生) 4초종(草種), 일년생(一年生) 13초종(草種), 다년생(多年生)이 3초종(草種)이었으며 일년생(一年生) 및 다년생잡초(多年生雜草) 발생비율(發生比率)은 8 : 92% 정도(程度)이었다. 5. 각(各) 재배유형(栽培類型)에서 발생본수(發生本數)로 본 최우점초종(最優占草種)은 관행이앙(慣行移秧)은 올챙고랭이, 어린모, 중묘(中苗) 기계이앙(機械移秧) 및 담수직파(湛水直播)에서는 올방개,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피이었으며, 발생량(發生量)으로 본 최우점초종(最優占草種)은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 및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에서는 올방개, 담수(湛水) 및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는 피이었다. 6. 각(各) 재배유형(栽培類型)에 따른 잡초발생(雜草發生) 우점도(優占度)는 관행이앙(慣行移秧), 중묘(中苗), 어린모 기계이앙(機械移秧), 담수직파(湛水直播) 및 건답직파(乾畓直播)에서 각각(各各) 0.631, 0.687, 0.657, 0.791 및 0.860이었다.

  • PDF

경남지역 밭 잡초 발생분포 및 군락변화 (Weed Population Distribution and Change of Dominant Weed Species on Upland Field in Gyeongnam Province of Korea)

  • 성덕경;배성문;김영광;조용조;이상대;심상인;정정성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199-208
    • /
    • 2015
  • 본 연구는 경남지역의 밭에서 발생하는 잡초의 분포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는 21과 55종, 마늘 재배지 22과 56종, 양파 재배지 19과 47종, 배추 재배지 26과 68종, 감자 재배지 22과 54종, 고구마 재배지 25과 62종, 고추 재배지 29과 87종, 옥수수 재배지 28과 79종, 콩 재배지 29과 84종이 발생되었다. 작목별 우점하는 초종은 보리 재배지 뚝새풀 20.7%, 마늘 재배지 황새냉이 12.3%, 양파 재배지 좀명아주 18.7%, 배추 재배지 쇠비름 8.1%, 감자 재배지 좀명아주 13%, 고구마 재배지 바랭이 12.6%, 고추 재배지 바랭이 12.6%, 옥수수 재배지 11.3%, 콩 재배지 바랭이 13.2%로 발생되었다. 동작물 재배지에서는 뚝새풀, 황새냉이 및 좀명아주가, 하작물 재배지에서는 바랭이, 쇠비름, 깨풀이 가장 문제시 되었다. 이러한 잡초 발생 정보는 경남지역 밭잡초 관리방안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래잡초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확산과 생육지 특성 (Spreading and Distribution of Exotic Weed Ammannia coccinea in Korea)

  • 황선민;길지현;김영하;김성열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92-298
    • /
    • 2014
  • 본 연구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외래잡초이며 농경지에서벼와 경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미국좀부처꽃(Ammannia coccinea)의 분포와 생육지 유형별 특성을 조사하여, 관리 계획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자연상태의 생육지에서 넓은 면적으로 우점 분포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전라남도, 경상도, 충청도, 강원도 등 전국적으로 흩어져 분포하고 있다. 생육지 유형은 크게 논 주변부, 묵논, 하천습지, 저수지 등 4가지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지점들 중 많은 지점이 농경지 주변의 습지 지역으로 벼농사를 위해 농수로가 연결되어 있는 환경이었다. 다수의 조사지점에서 농수로가 흐르는 방향을 따라 미국좀부처꽃이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미국좀부처꽃은 물길을 따라 확산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에서 조사된 관속식물은 총 27과 51속 64종 5변종 등 모두 69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생활형을 분석한 결과 일년생식물(Th)이 36분류군, 52%로 가장 높게 출현하여 미국좀부처꽃의 생육지가 교란이 많이 일어나는 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haracteristics of cultural practice and weed community in adzuki bean fields in the south-west districts of Korea

  • Hwang, Jae-Bok;Park, Tae-Seon;Park, Hong-Kyu;Kim, Hak-Sin;Choi, In-Bae;Koo, Bon-Il;Bae, Hee-S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1호
    • /
    • pp.40-49
    • /
    • 2017
  • Cultural practices for adzuki bean and the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in the south-west regions of Korea were surveyed to provide information on effective weed management. Approximately 27.5% of the farm households were growing adzuki bean in an area larger than 1 ha while the rest grew the crop in an area smaller than 1 ha. Of all adzuki bean growers, 17.1% seeded in early June, 8.6% in mid June, 34.3% in late June, 17.1% in early July, 20.0% in mid July, and 2.9% in late July. The average planting distance was $71.0{\times}29.5cm$. From the 40 surveys in adzuki bean fields, 35 weed species in 17 familie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occurrence frequency, the dominant weed species were Digitaria sanguinalis, Acalypha australis, Cyperus amuricus, Echinochloa crus-galli, and Amaranthus nangostanus in decreasing order of dominance. However, based on dry weight, Chenopodium album (34.4%) was the most dominant followed by Acalypha australis (21.9%), Amaranthus nangostanus (19.1%), Digitaria sanguinalis (7.5%), and Portulaca oleracea (6.1%). The exotic weeds found in the field of adzuki were Ipomoea hederacea, Abutilon avicennae, and Celosia argentea. The plant heights of I. hederacea, A. avicennae, and C. argentea were 259 cm, 98 cm, and 76 cm, respectively, while the fresh weights were 850 g, 66 g, and 101 g, respectively. Integrated weed management systems utilizing mechanical, chemical, and biological control techniques need to be developed for effective weed management in adzuki bean production.

Case Study: Cost-effective Weed Patch Detection by Multi-Spectral Camera Mount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in the Buckwheat Field

  • Kim, Dong-Wook;Kim, Yoonha;Kim, Kyung-Hwan;Kim, Hak-Jin;Chung, Yong S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4권2호
    • /
    • pp.159-164
    • /
    • 2019
  • Weed control is a crucial practice not only in organic farming, but also in modern agriculture because it can lead to loss in crop yield. In general, weed is distributed in patches heterogeneously in the field. These patches vary in size, shape, and density. Thus, it would be efficient if chemicals are sprayed on these patches rather than spraying uniformly in the field, which can pollute the environment and be cost prohibitive. In this sense, weed detection could be beneficial for sustainable agricultu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detect weed patches in the field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ies, which can be classified into a method using image segmentation based on morphology and a method with vegetative indices based on the wavelength of light. In this study, the latter methodology has been used to detect the weed patch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egetative indices were easier to operate as it did not need any sophisticated algorithm for differentiating weeds from crop and soil as compared to the former method. Consequently, we demonstrated that the current method of using vegetative index is accurate enough to detect weed patches, and will be useful for farmers to control weeds with minimal use of chemicals and in a more precise manner.

미기록 외래잡초 영국갯끈풀의 국내 분포와 식물학적 특성 (Distribution and Botanical Characteristics of Unrecorded Alien Weed Spartina anglica in Korea)

  • 김은규;길지현;주영규;정영상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1호
    • /
    • pp.65-70
    • /
    • 2015
  • 영국갯끈풀(Spartina anglica)은 영국 남부해안 원산의 다년생 염생 잡초로, 2012년 강화도 동막 해변에서 분포가 최초로 확인되었다. 이에 분포 및 확산실태를 보고하며 식별을 위한 식물학적 특성을 제시하였다. Spartina 속은 중국을 포함한 세계 여러 나라에 도입되어 생태공학적 측면의 장점이 인정되었으나, 갯벌을 단일 초지화시키면서 염습지의 생태적 기능을 상실시키는 침입성이 강한 식물로 알려졌고, 제거가 쉽지 않아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의 서해안 갯벌에서 출현한 영국갯끈풀의 확산은 국내 갯벌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제거방안 수립과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간척지(于拓地)의 잡초발생(雜草發生) 및 분포의 식물사회학적(植物社會學的) 해석연구(解析硏究) (Weed Distribution and Its Plant Sociological Aspects on the Polder Land)

  • 이종영;구자옥;장호상;배성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35-142
    • /
    • 1984
  • 간척지(干拓地)의 개답년차(開沓年次) 진전(進展)에 따른 합리적(合理的) 잡초방제안(雜草防除案)을 구명(究明)하기 위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을 목적(目的)으로 계화도간척지(界火島干拓地) 지표분석(指標分析)을 하였다.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할 수 있었다. 1. 조사지(調査地)의 토양염분온도(土壤鹽分濃度)는 대부분(大部分) 0.2% 이하(以下)로, pH는 5.5~6.5의 범위(範圍)로 변동(變動)되어 있었다. 2. 조사지(調査地)의 발생초종(發生草種)은 17종(種)으로서 매자기가 우점(優占)하고 있었으나 숙답화(熟畓化)와 함께 물달개비 쇠털골 알방동산이 등의 출현(出現)이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었다. 3. 염온도(鹽溫度)가 낮아지고 pH가 5.5~6.5 범위(範圍)로 가까워질수록 발생초종수(發生草種數), 발생본수(發生本數), Biomass, 종다양도(種多樣度), 균재도(均在度), Sociability index가 커지는 반면에 군락특이도(群落特異度)는 작아지는 경향(傾向)이 있다. 4. 숙답화(熟沓化)가 진전(進展)될수록 온도잡초(溫度雜草), 다년생사초과(多年生莎草科), 근경횡주형(根 莖橫走型)의 잡초종(雜草種)이 줄고 일년생광엽잡초(一年生廣葉雜草)로서 풍수전파형(風水傳播型) 단립형(單立型)의 잡초종(雜草種)이 늘어가는 경향(傾向)이었다. 5. 숙답화(熟畓化)에 따른 잡초종(雜草種)의 천이(遷移) 다양화(多樣化) 다량화(多量化)가 예상되며 이에 대한 식생수준(植生水準) 및 유입전파(流入傳播)의 예방 대책이 요구(要求)될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충남지역 밭작물 재배지 잡초발생 및 분포현황 (Occurrence and Distribution of Weed Species on Upland Fields in Chungnam Province)

  • 황기선;엄민용;박수혁;서수정;이인용;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3권4호
    • /
    • pp.262-268
    • /
    • 2014
  • 본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 대전광역시와 세종특별자치시를 포함하는 충청남도 17개 시 군에 속하는 식량작물(보리, 옥수수, 감자, 콩)재배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분포 현황을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충남지역 주요 식량작물 재배지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총 36과 130종으로 일년생잡초가 전체의 59%를 차지하는 77종, 월년생잡초가 21%로 27종, 그리고 다년생잡초가 20%로 26종이었다. 바랭이가 중요치 10.19%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망초(7.82%), 쇠비름(5.22%), 명아주(5.21%) 순으로 우점하였다. 환경부지정 악성 위해잡초로 분류된 서양금혼초와 가시상추를 포함한 외래잡초 44종의 발생을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식량작물재배지에 발생하는 잡초양상 예측 및 잡초군락 변화 파악으로 체계적인 잡초관리방안 마련의 기초자료 확립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