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cam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5초

OBSERVATION ERROR OF TIME-LAPSED PHOTOS IN CONSTRUCTION OPERATION MONITORING

  • Jiwon Choi;Julian Kang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042-1047
    • /
    • 2005
  • A web-based camera (webcam) is expected to enhance construction operation monitoring. However, webcams are often installed outside a building because their mobility is limited by cable wir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monitor construction operations inside the building. If a webcam is integrated with emerging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construction professionals may be able to monitor interior construction operations using webcams without getting network cables wired on a congested and dynamic construction job site. However, one may concern that wireless communication may not be fast enough to transport all webcam images seamlessly.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as to the observation error of webcam images when a limited amount of images are delivered.

  • PDF

웹캠과 스마트폰 기반의 반려 동물 돌봄 로봇의 구현 및 전원 관리 (Implementation of a Pet Care Robot Based on Webcam and Smartphone and its Power Management)

  • 이윤호;전주현;이나은;장제문;유신;주문갑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29-34
    • /
    • 2021
  • We developed a pet care robot that can be controlled outdoors. Through the smartphone application, the pet owners can watch the situation in the house and manipulate the robot to make their pet happy. The video data in the house is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through the webcam installed at the house. The robot can not only perform user's command but also do six basic macro action. The obstacle avoidance function using the current sensor can be activated if the user want to use. When the robot hits to something, it moves back and rotates by arbitrary angle, and then moves forward.

무선 USB 기술을 활용한 무선웹캠 구현 및 적용방법 (Wireless Webcam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Utilizing Wireless USB Technology)

  • 채정식;반태학;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9-575
    • /
    • 2014
  • 최근 들어 스마트 TV나 안드로이드 셋톱박스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기존 컴퓨터에서 구동되던 Skype등 인터넷 전화를 스마트TV나 셋톱박스를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화상 교육 프로그램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웹캠을 활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스마트TV나 셋톱박스 앞으로 이동하여 사용 해야만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환경 변화에 따른 기존 웹캠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기술은 기존 컴퓨터 앞이 아닌 거실처럼 사용자와 TV간 거리가 떨어져 있는 경우 사용이 가능한 무선 웹캠 구현에 관한 기술이다. 실험결과 다소 거리의 문제에 대한 단점은 존재하였으나, 거실과 같은 근거리 사용상에서는 높은 신뢰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델링 기반 시선추적을 이용한 가상모델하우스 시스템 (The Virtual Model House System using Modeling-based Eyetracking)

  • 이동진;이기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23-227
    • /
    • 2010
  • 기존 대다수의 가상모델하우스는 비몰입형태의 가상현실 기술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키보드, 마우스와 같은 직접 입력방식의 장치로 컨트롤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모델하우스를 보편화된 웹캠을 통해 시선추적 기술을 이용하여 직접 데이터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데이터 입력 방식을 구현하였다. 웹캠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영상데이터 내 동공 영역을 추출한 후 그레이 값을 비교하여 동공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포인터의 위치를 컨트롤하거나 장치의 입력과 관련된 이벤트 함수 일부를 호출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네비게이션과 인터페이스의 편리성을 제공하였다.

컴퓨터시각증후군 예방을 위한 웹캠모니터의 실시간알림 시스템 (Real-time Notification System of Webcam Monitor for Preventing Computer Vision Syndrome)

  • 하상원;유도협;문미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54-755
    • /
    • 2015
  • 컴퓨터의 보급과 인터넷의 대중화로 컴퓨터를 통한 작업은 물론 여가 시간이나 가정에서도 컴퓨터를 이용하는 시간이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여 생기는 질환인 컴퓨터시각증후군 (Computer Vision Syndrome: CVS)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CVS 증후군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은 컴퓨터나 TV 등 모니터를 집중하여 주시하면 자기도 모르게 눈 깜빡임이 줄어들면서 눈물이 빠르게 증발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눈의 건조를 막기 위해 눈을 자주 깜빡거려줘야 하며, 모니터와 눈은 40cm이상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니터의 웹캠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모니터 근접거리, 사용자의 눈 깜빡임 정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한 후 적절한 알림을 주는 웹 캠모니터의 실시간 알림시스템의 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 PDF

HP-JK 기반의 자율주행 기법 (HP-JK-based autonomous driving technique)

  • 김연욱;박성훈;전다빈;한창현;최재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244-1245
    • /
    • 2017
  • Using a small computer called Raspberry Pie, the webcam is interlocked with the webcam to detect the desired color using hsv and find the representative line using the hough transform in the detected color. Another new line is extracted and the coordinates where the lines meet are called the vanishing point and we want to make a system that autonomously travels through the vanishing point.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하프미러형 인터페이스 시스템 개발과 응용 (Development of Half-Mirror Interface System and Its Application for Ubiquitous Environment)

  • 권영준;김대진;이상완;변증남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020-1026
    • /
    • 2005
  • In the era of ubiquitous computing, human-friendly man-machine interface is getting more attention due to its possibility to offer convenient services. For thi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Half-Mirror Interface System (HMIS)' as a novel type of human-friendly man-machine interfaces. Basically, HMIS consists of half-mirror, USB-Webcam, microphone, 2ch-speaker, and high-speed processing unit. In our HMIS, two principal operation modes are selected by the existence of the user in front of it. The first one, 'mirror-mode', is activated when the user's face is detected via USB-Webcam. In this mode, HMIS provides three basic functions such as 1) make-up assistance by magnifying an interested facial component and TTS (Text-To-Speech) guide for appropriate make-up, 2) Daily weather information provider via WWW service, 3) Health monitoring/diagnosis service using Chinese medicine knowledge. The second one, 'display-mode' is designed to show decorative pictures, family photos, art paintings and so on. This mode is activated when the user's face is not detected for a time being. In display-mode, we also added a 'healing-window' function and 'healing-music player' function for user's psychological comfort and/or relaxation. All these functions are accessible by commercially available voice synthesis/recognition package.

영상인식을 이용한 주차 관리 시스템 연구 (The study of Parking Management System by Image Processing)

  • 김건국;손웅기;이민규;한중구;박용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651-656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주차관리가 가능한 주차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이 시스템은 영상을 인식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공간에 대한 모든 정보를 확인하고 주차 가능한 공간을 찾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또한 차량 번호판을 정확히 인식할 수 기능을 추가하였다. 그 밖에 웹캠을 차량 번호판에 더욱 가까이 설치하여 좀 더 빠르게 차량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주차관리 시스템에 웹캠을 높이 설치하여 주차 차량이 효율적으로 주차할 수 있도록 주차화면에 표시하게 하였다.

Development of Cost-Effective Platform for Tracking and Analysis of Animal Ambulatory Patterns

  • Kwon, Jeonghoon;Park, Hong Ju;Joo, Segyeong;Huh, Soo-Jin
    • 센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2-86
    • /
    • 2014
  • This paper reports the development of a platform for tracking and analysis of animal locomotion. The platform is composed of a commercial webcam, a metal stand for the webcam, and a plastic bathtub as a cage. Using it, researchers can track and analyze an animal's movement within the plastic bathtub's dimensions of $100cm{\times}100cm{\times}55cm$ in a cost-effective manner. After recording the locomotion of an animal with $1920{\times}1080$ resolution at a rate of 30 frames per second, finding the position of the animal in each frame and analyzing the ambulation pattern were executed with custom software.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latform, movements of imprinting control region mice and transgenic mice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 analysis successfully compared velocity, moving pattern, and total moving distance for the two mouse groups. In addition, the developed platform can be used not only in simple motion analysis but also in various experimental conditions, such as a water maze, by easy customization of the platform. Such a simple and cost-effective platform yields a powerful tool for animal ambulatory analysis.

LED 등 패턴 출력기 연구 (Study of LED Lighting Pattern Generator)

  • 이병찬;마재승;박창우;안혜빈;박용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1093-1098
    • /
    • 2017
  •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장비들은 다른 광원 대비 기능적, 경제적 효율성으로 인하여 많은 곳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효과적인 LED 조명 제어를 위해 다양한 유무선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폰 시대가 열리면서 다양한 원격 조정 어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LED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어하고 특별한 패턴의 정보 display 기능을 실내 LED 등에 추가하여 일상생활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