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3.0

검색결과 854건 처리시간 0.036초

웹 3.0의 재부상: 이슈 및 전망 (Web 3.0 Reboot: Issues and Prospects)

  • 박정렬;최새솔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7권2호
    • /
    • pp.73-82
    • /
    • 2022
  • Web 3.0 is a new web paradigm that aims to overcome the excessive commercialism and influence of big tech companies. Web 3.0 can be defined as a user-centered decentralized Internet environment, and Web 3.0 is a mixture of various terms and technologies such as blockchain, cryptocurrency, NFT,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averse. When new technology fields emerge, it is common to have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As a result, rather than deciding which position is correc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auses and directions of change and prepare to seize the opportunity. In light of this,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hange in the web paradigm and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Web 3.0,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major cases of Web 3.0, and discusses future issues and prospects.

영문 관광안내 홈페이지 웹호환성 평가 연구 (Evaluation analysis on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for tourist information)

  • 신영기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297-31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web standard as well as web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of tourist information manage local government. Thru this research, effective information and service can be provided to increasing foreign visitors and compatibility of English homepage can be strengthened. SortSite, a web compatibility measurement tool and UNICORN, a web standard measurement tool were utilized for this research. Chrome, Internet Explorer, Firefox, Safari and Opera were targeted for evaluating web compatibility and observance rate of Markup grammar and CSS grammar was checked for evaluating web standard. Research result showed that 46.7% of Chrome version ${\leq}34$ and 35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while 95.6%, 53.3%, 53.3%, 53.3% and 55.6% of Internet Explorer version in order of 7.0, 8.0, 9.0, 10.0 and 11.0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Concerning Firefox, 75.6% and 48.9% of version in order of ${\leq}6.0$ and 7.0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and 37.8% of Opera version ${\leq}12.17$ and ${\leq}21$ didn't observe the web compatibility. Regarding the web standard, 80% of English homepage didn't observe Markup grammar and 60% of them didn't observe CSS grammar. Therefore, urgent improvement of web compatibility and web standard is required.

재난대응 상황에서 웹 3.0 정보서비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술 구현 방안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mplementation Utilizing Web 3.0 Information Services in Disaster Response Situations)

  • 박종홍;신영환;김용균;정종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1-6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재난대응 현장에서 웹 3.0 정보서비스를 활용한 증강현실 기술의 구현과 적용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시맨틱 웹 기반의 웹 3.0 기술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고 증강현실의 재난현장 관련 모바일 비주얼 검색 기술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관련 정보에 대한 시맨틱 웹 기반 온톨로지 구성 방안과 재난대응 현장과 재난안전대책본부와의 증강현실 기술을 통한 정보 전달 및 정보제공 방안에 대하여 제안한다. 재난대응 현장에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전달과 재난현장 맞춤형 정보제공을 목적으로 증강현실 기술과 웹 3.0 정보서비스의 상호작용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A Study on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Web 3.0

  • Kim, Sung Rim;Kwon, Joon Hee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3-51
    • /
    • 2012
  • Web 3.0 is the next-generation of the World Wide Web and is included two main platforms, semantic technologies and social computing environment. The basic idea of web 3.0 is to define structure data and link them in order to more effective discovery, automation, integration, and reuse across various applications. The semantic technologies represent open standards that can be applied on the top of the web. The social computing environment allows human-machine co-operations and organizing a large number of the social web communities. In the recent years, recommender systems have been combined with ontologies to further improve the recommendation by adding semantics to the context on the web 3.0. In this paper, we study previous researches about recommendation method and propose a recommendation method based on web 3.0. Our method scores documents based on context tags and social network services. Our social scoring model is computed by both a tagging score of a document and a tagging score of a document that was tagged by a user's friends.

웹2.0과 기업 정보관리전략의 변화 (Web 2.0 and Firms' Strategy Transformation for Information Management)

  • 조동환;이원일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23-1028
    • /
    • 2008
  • Recently the advent of web 2.0 era is an important trend in the business environmental change. Web 2.0 era means users' active participation, share, and openness, develop 'Internet penetration into everyday life,' and change many aspects of our society. web 2.0 has been making these following changes in the socioeconomic aspects: 1) acceleration of system shift to a small quantity of multi-species production system 2) growing influence of on-line channel/information to consumers 3) various minorities' power increase in the socioeconomic sector. Web 2.0 has been making these following changes in the firms' strategies for information management: 1) increase of exter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utilization 2) amplification and reproduction of information from customers 3) change of information distribution: pursuit of two-way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4) integration of different information/services for business transformation. Firms must squarely look at socioeconomic changes owing to web 2.0, and utilize them for firms' effective information management.

  • PDF

ISO/IEC 11179 기반의 온톨로지 확장 모델 (An Ontology Population Model based on ISO/IEC 11179)

  • 정혜진;백두권;정동원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6권5호
    • /
    • pp.386-398
    • /
    • 2009
  • 이 논문에서는 ISO/IEC 11179 기반의 온톨로지 확장 모델을 제안한다. 시맨틱 웹과 웹 2.0의 결합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웹 3.0으로 정의하고 있다. 웹 3.0을 구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이슈는 온톨로지 스키마를 정의하고 온톨로지를 위한 인스턴스를 확장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온톨로지 스키마를 보다 정확하게 정의하여야 하며 웹 자원으로부터 온톨로지를 보다 풍부하게 확장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표준화 된 공통 개념을 이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개발된 국제 표준인 ISO/IEC 11179-메타데이터 레지스트리(Metadata Registry, MDR) 기반의 웹 온톨로지 확장 모델을 제안한다.

공공 포탈에서의 웹 2.0 구현전략에 관한 연구 : EBS 사례를 중심으로 (A Web 2.0 Strategy for the Public Portal Sites : EBS Case)

  • 이지은;구성환;신민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5-33
    • /
    • 2009
  • Web 2.0 which is characterized by openness, sharing with others and users' active participation has a strong impact on Individual and business environments. New technology such as open-API, RSS, collective intelligence gives various benefits to the website user. Recently, the Web 2.0 paradigm has also affected the public service. Many public service organizations are also adopting Web 2.0 applications to improve their ability for serving users more effectively. However, there is a contradiction between value of public service and that of web 2.0. Web 2.0 which pursues openness and freedom of expression can impair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public information in the public sites. We conducted a case study on EBS which reflects the Web 2.0 strategy for websites renewal.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EBS began reorganization of the web site and applied Web 2.0 strategy for leveraging an easy to use and user satisfaction. This research shows that how to Implement the Web 2.0 strategy and what is the limitation of i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Web 2.0 strategy in public web sites, especially for educational fields.

Web Vulnerability Scanner를 이용한 취약성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using the Web Vulnerability Scanner)

  • 장희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71-76
    • /
    • 2012
  • Mashups, web 3.0, 자바스크립트 및 AJAX 등의 이용이 증가하면서 웹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시 웹취약점들에 대한 새로운 보안 위협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 진단과 함께 대비가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웹취약성에 대한 보안 위협과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Web Vulnerability Scanner(WVS) 자동화 도구를 이용하여 국내에서 서비스되고 있는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웹취약성을 분석한다. Cross Site Scripting(XSS)와 SQL Injection 등 대표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분석 결과, 약 22.5%에 해당하는 웹사이트가 보안에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취약성 경고 수는 0부터 31,171 alerts로 분포되고, 평균 411 alerts, 편차는 2,563 alerts로서 보안 관리에 취약한 웹사이트의 경우, 경고 수가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어 세부적인 웹취약성에 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웹 접근성과 웹 표준화 향상을 위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연구 (A Study on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for Improving Web Accessibility and Web Standards)

  • 이용희;김환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73-182
    • /
    • 2014
  • 최근에는 인터넷 웹 컨텐츠의 접근성에 대한 표준화 준수와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정부와 공공기관 대학교, 그리고 기업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한국형 웹 접근성 지침인 KWCAG2.0은 1.0에 비해 이미지 컨텐츠에 대한 명확한 대체 텍스트 제공, 데이터 테이블의 명확한 구분 및 키보드 접근과 사용 등에 대한 지침을 더욱 준수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급속도로 변화되는 웹 및 모바일 환경에서 모든 사람이 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시스템(CMS : Content Management System)을 개발 하였다. 이를 위하여 KWCAG(Korean Web Contents Accessibility Guideline), W3C XHTML-1.0-Strict DTD, W3C CSS2를 기반으로 웹 접근성 및 웹 표준화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 하였다. 본 시스템은 WYSIWYG 방식으로 제작이 되어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고 웹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모바일 환경에서 동작하도록 하였다.

웹 3.0 시대 음악 생태계 활성을 위한 메타버스 비즈니스연구: 음악 플랫폼의 발전 양상 및 구축 전략을 중심으로 (Metaverse business research for revitalizing the music ecosystem in the web 3.0 era: Focusing on strategies for building music platform)

  • 김지원;원유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787-800
    • /
    • 2023
  • 본 논문은 웹 3.0 시대에 도래할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학술적 이해를 도모하고 생산적인 구축 방안을 모색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 시점에 지니는 의미를 입체적으로 짚어보고자 디지털 음악의 발전을 웹 1.0부터 3.0까지의 플랫폼 형성과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전반부에서는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이 현재 향유하는 음악문화와 단절된 것이 아니라,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진화되어온 웹 플랫폼 환경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의 부상을 웹 2.0의 한계를 극복하는 동시에 웹 3.0으로의 전환과 연계된 변화로 가정하고, 최근 거론되는 1. 기술적(XR기술, 웨어러블 디바이스, 생성형 AI), 2. 문화적(디지털 아바타, 팬덤), 3. 경제적(NFT) 논의들을 현재까지 발전된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의 발전방안과 연계시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메타버스 음악 플랫폼'에 대한 합의된 개념이나 공식적인 정론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해당 개념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고 향후 발전방안에 대한 모색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