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PBL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5초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BL System for Improving Learner's Interaction)

  • 이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7-65
    • /
    • 2008
  • 웹기반 교육 시스템의 경우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교육적 교류와 사회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실제 웹기반 PBL 수업에서 설계된 상호작용 증진 방안이 PBL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이 웹기반 PBL 학습경험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정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 Based PBL System for ICT Training)

  • 안성훈;구본주;고대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9호
    • /
    • pp.141-1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ICT 활용 교육을 위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된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의 특성과 모형을 탐색한 후 6개의 구성요소로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에 따라 시스템을 학습 안내, 학습 문제, 모둠 학습실, 학습 결과, 학습 도우미, 자유 게시판 등 6개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또한, 구현된 시스템을 실제 ICT 활용 초급자에게 적용한 결과 '웹 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이 기존의 off-line 강의식 수업 방식에 비해 워드프로세싱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학습 흥미도, 토론 참여도, 맞춤 클리닉 활용도, 학습자의 태도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웹 기반 PBL을 적용한 원무관리실무 수업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Web-based PBL to Practical Health Administrative Affairs)

  • 김민경;신경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5-22
    • /
    • 2014
  • Backround : The paradigm of recent education has been shifting from existing style of professor-oriented, passive and rote teaching to learner-centered education. Rather than mere delivery of knowledge, today's idea of education uses various audiovisual media to let learners gain more problem-solving skills, judgment, cognitive thinking ability, and creativity to apply to real practice. Also, while current trends and change in policy ask for related industry to require practice-centered teaching learning model, Problem-Based Learning (PBL) is quite effective that it activates problem-solving skills as well as application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teaching learning model article as an approach to apply web-based PBL for patient & medical charge management practices. Discussion & Conclusion : This paper the cases on PBL and presents the teaching learning model on web-based PBL as an approach to applying web-based PBL, which fits Medical Information System Department that combines health-medical treatment and computer applications, to practical health administrative affairs.

웹 기반 PBL(Problem-Based Learning)에서 배경지식 수준과 메타인지 지원 도구의 제공여부가 PBL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Level of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Metacognition Supporting TooI(MST) o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Outcomes in Web Problem-Based Learning(Web PBL) Environment)

  • 김경;김동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9-37
    • /
    • 2002
  • 본 연구는 웹 기반 PBL 환경에서 배경지식 수준과 메타인지 지원 도구 제공여부가 학습자의 PBL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웹기반 PBL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실험집단에 별도의 연구 제작된 메타인지 지원 도구를 포함시켰다. PBL수행과정에 있어서는 메타인지 지원 도구를 제공한 집단의 경우 평균이 3.82점 높아 유의도 수준 .05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BL 수행결과에 있어서 배경지식 수준과 메타인지 지원 도구의 제공여부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결국 배경지식이 하위인 학습자 집단에 메타인지 지원 도구를 제공하여줌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 결과 보고서를 작성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의 웹기반 PBL 수업의 실제 및 평가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Web-Based Problem-Based Learning for Computer Subject in Middle School)

  • 태원경;김민경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1-14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퓨터 교과에서 요구되는 정보소양 뿐 아니라 문제해결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교과의 대안적 교수 학습 방법으로 주목을 반기 시작한 문제중심학습(PBL)을 중학교 컴퓨터 교과에서 적용가능한 웹기반 수업을 설계하며, PBL 수업의 구체적인 실제를 살펴보기 위하여 중학교 2학년 PBL 수업에서 다루어진 과제에 대한 학습지의 문제해결 과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 PDF

문제기반학습모형에 근거한 공학회계의 웹기반 실습시스템 개발 (A Web-based Practice System for Engineering Accounting by Problem-based Learning Model)

  • 김문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55-63
    • /
    • 2011
  • 본 논문은 문제기반학습모형(Problem-based learning model)접근방법을 공학회계라는 다분히 학제 간 성격(공학과 회계학)을 갖는 교과에 어떻게 적용할 지를 다룬다. PBL 접근방법은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서 공학회계와 관련한 기업 문제를 제기하고 다룰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시스템적 관점해서 해결하려는 공학 측면에서도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PBL모형의 현실적인 적용을 위해서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생성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실습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e-PBL 시스템 연구 (A Study on e-PBL System for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 서성원;김의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471-1476
    • /
    • 2013
  • 본 연구는 K대학부설과학영재교육원 학생 중 웹기반 사이버 토론 학습 프로그램인 "Science Cyber Conference" 참가자를 대상으로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 PBL)전략을 적용한 시스템을 개발하여 16주 동안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PBL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와 더불어 PBL 수업 과정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웹기반 PBL 전략을 적용한 프로그램 진행 후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p<.05) 효과가 있었다. 특히 '자기주도 학습능력'은 하위 영역 7개 중 '학습자 신념'을 제외한 모든 6개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웹기반 PBL 전략을 사용한 수업이 긍정적이라는 인식을 보였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e-PBL의 효과 (The Effect of e-PBL in the Earth Science Class of the High School)

  • 김현정;김상달;이상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32
    • /
    • 2009
  • e-PBL based on constructivism adopted PBL(Problem Based Learning) and WBI(Web Based Learning), and it becomes the advanced model of instruction to be achieved PBL on-line. In this thesis, I applied e-PBL to 'the changing weather' part in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I, compared to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and analyzed how it affected on. On the basis of these, this study predicts the applicability on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high school and suggests the improving of the teaching-learning with the results. The following shows the conclusion with as the central result of research. First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Second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on the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irdly, the instruction applied e-PBL proved more effective self-efficacy than the lecture centered instruction.

  • PDF

웹기반 PBL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와 스캐폴딩 유형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er's Metacognition and Scaffolding Types on Problem Solving Process in Web-based PBL)

  • 전희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61-169
    • /
    • 2007
  • 본 연구는 웹기반 PBL에서 메타인지의 영향과 효과적인 스캐폴딩 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학부생 49명을 대상으로 하여 메타인지와 스캐폴딩 유형이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의 해결과정을 문제치 정의 단계, 해결책 탐색 단계, 해결책 선정 및 정당화 단계, 해결책에 대한 검토 단계로 분류하였고 스캐폴딩의 유형은 과제중심과 과정중심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피험자는 낮은 피험자보다 해결책에 대한 검토 단계에서만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제공된 스캐폴딩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결책 선정 및 정당화 단계와 해결책에 대한 검토 단계에서는 메타인지 수준이 낮은 집단에게는 과제중심 스캐폴딩이 메타인지 수준이 높은 집단에는 과정중심 스캐폴딩이 제공되었을 때 더 높은 성취도를 나타냈다. 부 연구 결과를 통해 웹기반 PBL에서 학습자의 메타인지가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와 스캐폴딩과 메타인지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를 부분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An Application of Problem Based Learning to an Earth Science Course in Higher Education

  • Kwon, Byung-Doo;Kim, Kyung-Jin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8-116
    • /
    • 2003
  • Problem Based Learning (PBL) is one of methods which has been developed to promote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to pursue self-directed learning for life-long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Problem Based Learning (PBL) in college Earth science cours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ourteen students attending an Earth science class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in Seoul. PBL was implemented in the form of group project with utilizing Web-based course tool. We provided questionnaires and conducted interviews to figure out students' perception about PBL.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rough a given experiences, (1) studen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than LBL (Lecture Based Learning), (2) more students were engaged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3) students made higher cognitive efforts. LBL seemed to be more efficient way to acquire factual knowledge. In the meanwhile, PBL did not seem to affect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tudents could not make use of Web-based course tool effectively in communicating with other team members. In this study, we found that college student participants preferred problems related to everyday life, environmental issues and interesting but unusual incidents. On the other hand, they felt difficult in open-ended problems, especially when they were asked to provide their own evaluation. On the basis of PBL experiment in this paper, we present one method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BL and suggest topics which should be studied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