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GIS

검색결과 306건 처리시간 0.031초

Web GIS를 이용한 건설공사 정보관리 시스템 구축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Works using Web GIS)

  • 우제윤;구지희;나준엽;편무욱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45-51
    • /
    • 2001
  • 기존의 건설지원시스템은 주로 문자정보를 대상으로 구축되어 지형이나 공간정보와 같은 실 세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취약점이 있으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는 이러한 문제에 대해 공간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설계지원시스템과 연계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정보의 분석 및 지원 기능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대하여 다양한 네트워크의 구축 및 이를 통한 정보서비스의 발전은 GIS의 제공방식과 내용을 변모시키고 있으며 네트워크 상에서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하고 동적인 GIS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Web GIS의 활용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진행상황을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업무보고 및 업무지시를 수행함으로써 원격공정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단지 문서적인 업무보고에만 의존하여 보고자의 의도에 따라 수동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던 관행에서 벗어나 Web GIS에 기반한 건설공사 정보관리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건설공사 현황을 직관적으로 판단하고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Web GIS기반의 수계기반 표토정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tershed-based Surface Soil Information System based on Web GIS)

  • 성윤수;이동준;임경재;양재의;이서로;김종건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2권6호
    • /
    • pp.94-103
    • /
    • 2017
  • Surface soi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that have many functions for human needs such as conservation of water resource,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materials, and productivity of food or energy. However, the surface soil is a limited resource that cannot be recovered readily for a long time once it is lost by erosion.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nacted the notification on the investigation of surface soil erosion and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s the results, database of soil quality assess criteria (biomass, groundwater recharge, habitat, carbon storage, buffer, and soil loss) was established, and the web-based system that can evaluate surface soil conditions was developed. However, non-experts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system because the system requires in-depth knowledge about soil qualities. In this study, the Web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watershed-based surface soil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improve usability of the system and accessibility of soil quaility database. The system provides the current condition of surface soil characteristics and GIS-based soil data at selected locations. The users are able to download soil quality data in different districts, watersheds, and special regions allocated by TauDEM module.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would valuable surface soil information for studies of soil quality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and thereby contributing to establishing more appropriate and robust soil conservation laws.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웹 기반 GIS 보행환경측정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eb Based Walking Environmental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pproach)

  • 주용진;이수일;김태호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보행 공간 특성에 따른 보행 환경 구성요소를 정량적 지표로 단순화 시킨 보행 지수를 개발하여, 도시 전체 가로는 물론 도시 내 근린 주거 단위의 전반적인 친 보행 환경 정도(쾌적성, 미관)와 보행자의 이동 편의성을 측정하고 이의 결과 시각화 할 수 있는 웹 기반 GIS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외 선행연구에서 GIS로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여 보행환경 평가가 가능한 지표를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서는 계층분석법(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였으며 GIS 웹 서비스 연동을 통해 연구 지역에 대한 보행환경 평가 결과를 가시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측정 모형은 실제 물리적인 보행 공간을 기반으로 가상의 시스템에 적용되어 보행 이동 패턴의 가시화, 보행 환경의 쾌적성과 편의성 평가, 예측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 Bridge Monitoring System on Web-GIS Linking with UFID and BMS

  • Pyeon, Mu-Wook;Koo, Jee-Hee;Nam, Sang-Gwan;Park, Jae-Su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4호
    • /
    • pp.421-431
    • /
    • 2006
  • 시설물의 노후화에 따라 시설물의 안전한 사용을 위한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인력에 의한 수동 계측에 의존한 방법을 대체할 모니터링 방법으로 유비쿼터스 관련 기술의 도입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이용한 교량관리 시스템의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교량의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웹기반의 교량관리 GIS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특히, 교량 모니터링 정보와 교량관리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동을 위해 국가공간프레임인 UFID와 현재 건설교통부에서 운용예정인 GIS 기반 교량관리시스템(BMS)과의 연계방안을 연구하였다. 또한 GIS를 활용하여 교량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필수적인 구조물의 세부위치와 속성을 표현하는 데이터 표현 방식에 대하여 함께 제안하였다.

  • PDF

개방형 GIS 기반 인터넷 공간 데이터서비스 컴포넌트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ternet Spatial Data Service Component based Open GIS Specification)

  • 최상길;이진규;이종원;김장수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21-31
    • /
    • 1999
  • 웹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정보서비스의 급속한 대중화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 및 공공기관에서 공간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작업이 완료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공간정보 서비스 제공에 대하 새로운 요구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뛰어난 공유성, 간편한 접근성, 익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을 이용한 GIS 서비스는 필수적이며, 본 논문은 이를 위한 개방형 GIS 및 컴포넌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공간정보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를 제안한다. 인터넷상에서 웹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구축되어 있는 다양하고 방대한 GIS 서버 및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하며, 방대한 양의 지도 데이터 전송으로 인한 응답시간 지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6]. 이를 위해 논문에서는 Open GIS Simple Feature for OLE/COM 사양[3]과 OLE DB 사양[4]을 지원하는 데이터 제공자 컴포넌트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이미지 기반 및 벡터 기반 이미지 생성 기법을 지원하는 인터넷 서비스 컴포넌트를 제시한다.

  • PDF

Web GIS를 위한 주기억 장치 기반 공간 색인 (Spatial Index based on Main Memory for Web CIS)

  • 김진덕;진교홍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1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191-194
    • /
    • 2001
  • 최근 메모리 가격의 하락과 함께 주기억 장치 기반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가 인터넷 환경을 통해 이용하는 Web GIS(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는 데이터의 변경보다는 분석을 위한 데이터 검색이 많으며 고속의 처리를 요구한다. 그러므로 Web GIS를 위한 데이터 저장 하부구조로서 디스크를 기반으로 하는 것보다 메모리를 기반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 논문에서는 Web GIS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차원 공간 데이터를 주기억 장치에 보다 적은 저장 용량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상대 좌표값과 MBR(Minimum Sounding Rectangle)의 크기를 이용한 데이터 표현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점 질의나 영역 질의를 간단한 방법으로 처리하는 메모리 기반 공간 색인 기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색인의 크기와 MBR 비교 연산의 횟수 측면에서 불균일 분포 데이터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PDF

표준 GIS 웹 서비스를 위한 항공사진측량 WPS의 프로파일 설계 및 구현 (부등각사상변환, 후방교회법 중심으로) (Profil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erial Photogrammetry WPS for Standard GIS Web Service (With Emphasis on Affine Transformation and Resection))

  • 김병조;염재홍;경민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37-345
    • /
    • 2010
  • 일반적으로 비용이 많이 들고 복잡한 처리과정을 거치는 디지털 항공사진측량은 독립형 워크스테이션 시스템을 기반으로 사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Open Geospatial Consortium에서 제안한 국제 GIS 표준인 Web Processing Service을 통해 항공사진측량 처리 과정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을 위해 항공사진측량 업무를 기본단위로 정의하는 WPS 프로파일링 과정을 거쳐 여러 개의 제네릭 프로세스로 정의하였고, 정의된 프로세스는 WPS 표준에 따라 각각 서버 S/W와 클라이언트 S/W 모듈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WPS의 기본 단위 항공사진측량 프로세스를 다수의 사용자가 웹을 사용하여 공유, 재활용 측면의 접근을 기대할 수 있었다.

Web GIS 구축시 UML을 이용한 모델링에 관한 연구 - 충북대학교를 중심으로 - (The Study of Modeling in Web GIS-System using UML - The special reference of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손영기;신영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6-60
    • /
    • 2001
  • 본 논문은 객체분산 시스템인 Web GIS시스템를 구축하고 UML을 이용하여 가시화, 시스템 구조와 행동을 명세화하였다. GIS의 UML 개념모델의 연구는 Shapefile를 모델개념으로 클래스도와 스테레오타입으로 추상화하였다. 통합된 모델인 UML을 사용하여 아키텍처와 역공 학을 중심으로 모델링하였다. 본 연구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본 형태를 제공하며, 시스템 분석/설계의 문서화를 통하여 S/W시스템의 기본 요소를 객체 또는 클래스로 파악하여 문제 영역과 해결 영역을 모델링함으로써 요구사항 변화시 적응력을 높이고 대규모 시스템에서 유지 보수들을 포함한 관리를 보다 능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

웹 기반의 모형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통합적 수환경관리기법 (An Integrated Method for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Using Web Based Model and GIS)

  • 문현생;김준현;김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1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Since the middle of 1990s, in Korea a few researches on the optimal management technologies combining numerical model and GIS for the management of water environment in drinking watershed area and reservoir such as Paldang Lake have been carried out.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was been suggested to efficiently reflect the public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by integrating the web based distributed data collection system, GIS, public hearing system and water quality model. As all the components of the system have been developed using the World Wide Web and all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the relevant agencies through the Internet, the water quality model could be implemented on the web directly. In consequence, the environmental geographic information in Paldang Lake could be acquired and analyzed through the Internet. The system can rapidly respond to the public right to know on environment, so the public will willingly participate in the governmental projects on environment. To verify the usability of the developed system, it has been applied to Paldang Lake. Especially when the web based model has been used, users can easily and confidentially get the prediction results by applying the minimum number of parameters for the water quality model. This model will provide clearness and scientific bases in the process of water quality prediction for the sensitive sites where there are critical conflicts between the residents and the developers. In this study, rapid water environment management technique without spatial and time limit has been suggested, which can contribute to the efforts o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participation.

  • PDF

Web GIS 기반의 3차원 농촌경관 시뮬레이션 (Web GIS Based Three Dimensional Landscape Simulation for Rural Area)

  • 박미정;이승연;최진용;김한중;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14권1호
    • /
    • pp.51-58
    • /
    • 2008
  • In 2007, Google has introduced a novel approach to model some cities from around the world by utilizing vast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by internet users. They essentially built an efficient engine to collect and compile enormous stream of data that are necessary to reproduce fine details of a city. In this Letter, we propose an implementation of this novel approach to establish a Web-based visualization of rural landscape and scenery. We later demonstrate its feasibility by constructing a 3D model of Namsa-ri, Danseong-myeon, Sancheong-gun, Gyeongsangnam-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