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19초

웹 2.0 기반의 도구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 (Design a Plan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Tools of Web 2.0)

  • 유인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9-508
    • /
    • 2014
  • 최근 SW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Computational Thinking의 계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밍 교육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로봇을 프로그래밍 교육에 활용하는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소통과 협력을 강조하여 웹 2.0 기반의 도구를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Gagn{\acute{e}}$ & Briggs의 교수 사태를 기본 모형으로 삼고 각 단계에서 학습자가 웹 2.0 도구를 활용하여 협력 학습을 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방안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 방안 적용 전후로 협동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학생들의 협동심에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수준평가를 이용한 웹 기반 자동 문제 출제 시스템 (Web-based Automatic Question-Issuing System Using Level Estimation for Learners)

  • 이현주;이미숙;홍승미;이찬희;정순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0A권5호
    • /
    • pp.579-588
    • /
    • 2003
  • 본 논문은 인터넷상의 웹을 이용한 교과 학습에서 학습자의 수준을 제시된 문제들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한 뒤 이 분석 내용을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수준별 문제를 자동적으로 출제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까지는 원격 교육에 관한 모든 연구에서는 학습 또는 평가과정에서 사용되는 문제는 무작위로 출제하거나 또는 학습자가 단순히 문제을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학습자의 수준과 부족한 학습 부분을 문제 출제에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학습자가 해당 교과에 대한 초기 문제 풀이 과정에서 난이도 별 출제 비율과 문제 수를 직접 선택하도록 하고, 이후부터는 이전의 자료를 분석하여 각 영역별로 난이도를 고려하여 이를 반영한 문제를 자동으로 출제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영역별, 난이도별로 분석, 평가하므로, 누적된 분석평가와 현재의 분석평가를 통해 학습자에게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집중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컴포넌트기반의 웹 기반 교육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BI System Implemented based on the Component)

  • 전주현;홍찬기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15-123
    • /
    • 2001
  • 웹 기반 교육(WBI)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웹 기반 수업 혹은 웹 기반 교육의 초기에는 교수자의 개인적인 수준에서 교육 시스템이 개발 운영되어 체계적으로 개발 관리되지 못하였고 교수-학습자의 요구사항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분산되어 있는 자료의 적절한 활용과 검색이 용이하지 못하여 중복 개발되고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등을 내포한다. 이 논문에서는 WBSE(Web Based Software Engineering)개념을 웹 기반 교육시스템에 도입하여 요구사항을 반영하고 기존에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컴포넌트화 하는 작업을 시도하여 이를 재사용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에 사용하는 일련의 과정에 대하여 연구 기술하였다.

  • PDF

인간수행공학을 적용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저해요인 분석 연구 (Analysis on Library-Aided Instruction's Obstacle Factors based on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 정종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433-449
    • /
    • 2009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 교육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어떠한 저해요인에 의해 활성화되지 않는지 원인을 분석하여 해소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로 첫째, 도서관활용수업방법의 실증적 개선을 위한 평가 분석의 모형을 인간수행공학모형을 기반으로 재구성하였으며 둘째, 도서관활용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기초로 실태를 파악하고 도서관활용수업의 바람직한 수행목표를 도출하였으며 셋째, 실제 연구대상학교를 중심으로 재구성된 인간수행 공학모형을 적용하여 도서관활용수업을 저해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분석기법에 따라 수행요인을 분류하여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제시된 도서관활용수업 저해요인의 해소방안으로는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명확한 기대치 제공과 학습목표의 정확한 기술, 도서관활용수업 지원체제 구축, 교사들의 외적 동기 유발 시스템 개발, 다양한 도서관활용수업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학교장과 일선 교사들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인식전환 등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학교도서관매체센터가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로 인해 학교교육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지식창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한 가상학습 시스템의 개발 및 활용 방안 (The Development and Using Method of Cyber Learning Using Conceptual Models of Knowledge Creation)

  • 김정랑;기용주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98-109
    • /
    • 2002
  •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인재는 스스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선별하여 습득하고, 자신의 목적에 맞게 가공 활용하여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하고 공유하면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또한 웹의 등장과 함께 웹기반 교육(Web-based Instruction)의 형태인 가상학습이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가상학습은 교사와 학습자들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된 웹 자료들을 활용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을 진행해 가는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단위 수업 시간에 활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학습의 결과물의 산출 또한 단편적인 지식의 조합일 뿐이고, 학습의 결과로 지식을 재창출 할 수 있는 시스템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식창출 개념적 모델을 이용한 가상학습시스템을 개발하여 문제파악단계에서 학습 정리단계까지 일련의 과정에 응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교사와 학습자가 함께 학습의 결과물을 산출해 내는 시스템, 단편적인 지식의 산출이 아닌 구축된 학습자원으로부터 홈페이지 형태로 지식을 재창출 할 수 있는 시스템, 쌍방향 대화형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습자의 자료 분석 능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과제 중심 협동학습 지원 환경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Course Environment for Supporting Collaboration Activities)

  • 정미실;최은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3호
    • /
    • pp.217-226
    • /
    • 2004
  • 이 문에서는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종류의 협동학습모형 중 Jigsaw협동학습 모형을 토대로 협동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 구현하였다. Jigsaw도형은 학생들이 모둠집단과 전문가집단으로 나누어 전문가 집단에서 학습주제에 대한 전문가가 되어야만 모둠집단의 구성원들에게 설명하고 이해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Jigsaw모형에 따라 모든 학생들에게 동등한 참여 기회를 부여하고, 책임감 있는 학습자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웹 기반 협동학습 지원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웹 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모둠집단에서 간은 전문 과제를 맡은 학습자끼리 모여 협동학습을 하면서 그 과제에 대해서는 전문가 수준의 학습할 수 있도록 전문가 학습메뉴를 제공하고, 모둠집단 성원에게 각자 맡은 전문주제에 대하여 학습내용을 제시할 수 있도록 모둠집단 학습메뉴를 제공하여 사이버 공간을 통한 책임감 있고 능동적인 학습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고령자가 선호하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Shopping Web Site Design of Silver Products Preferred by Elderly User)

  • 이미란;이재환
    • 감성과학
    • /
    • 제14권4호
    • /
    • pp.581-592
    • /
    • 2011
  • 본 연구는 고령자들이 웹을 통하여 보다 쉽게 제품을 구입할 수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항목은 제품 검색 단계에서의 메뉴디자인, 제품 고르기 단계에서의 이미지 배열 방식과 사용설명서의 제공방식, 제품 구매단계에서의 결제방식이다. 먼저 현황 조사를 통하여 국내에 개설되어 있는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의 각 항목에 대한 디자인 유형을 파악한 후 실험 평가도구를 디자인하여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를 61명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혈압계를 찾아 구입하는 과제를 부과하여 사용하게 한 뒤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을 통하여 사용하기 편리한 디자인에 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가 실버용품 쇼핑 웹 사이트를 통해 제품을 구입할 때, 고령자의 관점에서 가장 사용하기 편하면서 보기 편한 디자인을 연구하여 제시하였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비주얼베이식 교육 시스템 개발 (A Courseware for the Learning of Visual Basic on the Web)

  • 진현식;박판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99-308
    • /
    • 2003
  • 프로그래밍 교육은 문제 분석 능력, 논리적 사고력, 절차적 문제 해결 방식을 습득하는데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하지만 초등학생의 지적 성장 발달 단계에 맞도록 설계된 프로그래밍 학습용 웹 코스 웨어에 관한 연구는 드물며, 개발되었다고 하더라도 초등학생에게는 맞지 않은 높은 이론적 내용을 다루고 있어서 이해하기가 어렵고, 웹 상에서 직접 실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 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 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의 지적 성장 발달에 맞는 비주얼베이식 교육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학습자에게 웹 환경에서 비주얼베이식 프로그래밍의 기초와 기본 문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며, 프로그램을 코딩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한다.

  • PDF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에 대한 자기 주도적 학습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Self Directed Learning System for the Course 'Computer' in Middle and High Schools)

  • 김흥환;전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1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학교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기 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하여 현행 중등학교 컴퓨터 교과 내용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컴퓨터 교육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하여 모색하고 자기 주도적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한 웹 컨텐츠를 개발하였다. 이렇게 개발된 웹 컨텐츠를 학습자는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따라 학습내용을 선정할 수 있고,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학습을 진행해 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에 따라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학습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참여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게시판과 Q&A를 통하여 교사나 학생들이 상호 의사교환을 통한 교수-학습 활동을 활발히 진행해 나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 증진을 위한 웹기반 독서 교육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eb Based Reading Education System for Improving Log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bility)

  • 김윤주;김현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94-102
    • /
    • 2000
  • 독서 교육은 교과뿐 아니라 인성 교육에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인정되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독서 교육을 수행하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현재까지 수행되어 오던 전통적인 교육 방법은 컴퓨터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그 방법의 전환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는 독서 교육 영역에서도 적용된다. 독서교육에서 논리적 사고와 토의력을 지속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 공간적 제약 없이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 기회가 많이 제공되어 서로간의 생각이 교환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독서 교육 시스템에 필요한 요소들을 살펴 보고 독서 지도에 따라 여러 가지 독서 활동을 할 수 있는 웹에 기반한 독서 교육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