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based Learning

검색결과 1,301건 처리시간 0.032초

초등과학영재를 위한 원격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2 - 보고서 분석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eb-based distant learning materials for elementary gifted students in science: Part 2)

  • 박종석;오원근;박종욱;정병훈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3-13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탐구 과정기술과 사고력을 중시하는 초등학교 과학과목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된 원격교육모형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원격교수학습의 보고서를 통해 나타난 학생들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은 보고서 작성을 위해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고안하는 과정에서 관찰 태도나 과학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 계기를 가졌다. 이 같은 결과는 원격교육의 수업 모형이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과 그것을 종합화 할 수 있는 보고서 및 평가 등의 구성 요소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가능할 수 있었다. 그러나 원격교육에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직접 관리 또는 감독하지 못하기 때문에 학생들의 특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하기가 곤란한 점도 없지 않아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보고서 작성의 형식에 대해 개별적인 평가를 해 주어도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의 틀을 고수하는 점을 볼 수 있었다.

성공적인 이러닝 모델 구축을 위한 연구 (A Research for Building the Successful e-learning Model)

  • 한경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5권2호
    • /
    • pp.15-24
    • /
    • 2007
  • This article is for building the successful e-learning model. In order to achieve th purpose of this article, it is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Web technology was analyzed; And some Web-based teaching models for desirable performance and how to select the right software were suggested under the given circumstance. Finally, requirements for successful e-learning were described.

  • PDF

학습자간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PBL System for Improving Learner's Interaction)

  • 이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7-65
    • /
    • 2008
  • 웹기반 교육 시스템의 경우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교육적 교류와 사회성을 증진하는데 도움을 주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하여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향상을 위한 웹기반 문제중심학습(PBL)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실제 웹기반 PBL 수업에서 설계된 상호작용 증진 방안이 PBL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이 웹기반 PBL 학습경험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제안한 시스템이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과 정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Integrating Deep Learning with Web-Based Price Analysis to Support Cost Estimation

  • Musa, Musa Ayuba;Akanbi, Temitope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53-260
    • /
    • 2022
  • Existing web-based cost databases have proved invaluable for construction cost estimating. These databases have been utilized to compute approximate cost estimates using assembly rates, unit rates, and etc. These web-based databases can be used independently with traditional cost estimation methods (manual methods) or used to support BIM-based cost estimating platforms. However, these databases are rigid, costly, and require a lot of manual inputs to reflect recent trends in prices or prices relative to a construction project's location.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integrated deep learning techniques with web-based price analysis to develop a database that incorporates a project's location cost estimating standards and current cost trends in generating a cost estimate. The proposed method was tested in a case study project in Lagos, Nigeria. A cost estimate was successfully generated.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results with results using current industry standard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d a 98.16% accura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was successful in generating approximate cost estimates irrespective of project's location.

  • PDF

웹기반 교수·학습자료 개발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eb-Based Learning Materials)

  • 박종운;배점부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4-192
    • /
    • 2003
  • When the present Learning System for Computer-Related Subjects Using WBI is implemented on the Web with the above characteristics to help students to study computer subjects without any limitations of time or space, they can easily attain the goals of learning, have computer-utilizing abilities or information capacity, and enhance their capabilities for self-initiative learning. This system enables the learners to carry out 'plan-do-see' for the contents of learning initiatively. The learners can study the practice part of the curriculum using multi-media, such as motion pictures, voices, images, and sound effects, vividly with a sense of actual presence. It helps the students to have an active attitude toward leaning afterward. without meeting the teacher or without any storage media, the leaners can submit their assignments or materials for performance evaluation via the Internet.

자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웹 기반 강의와 면대면 강의의 학습 효과 비교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of Web-based and Traditional Lecture in Java Programming Education)

  • 이충기
    • 공학교육연구
    • /
    • 제4권2호
    • /
    • pp.3-10
    • /
    • 2001
  • 최근에 인터넷과 웹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를 교육에도 활용하고자 하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웹을 이용한 웹 기반 강의의 장점은 언제 어디서나 저렴한 비용으로 교육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웹 기반 강의의 전망은 매우 밝고 잠재 고객들도 매우 많다고 볼 수 있다. 웹 기반의 자바 프로그래밍 교육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은 자바 프로그래밍 과목을 웹 기반 강의와 면 대 면 강의로 운영한 후 학습 효과를 통계적 추론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웹 기반 강의가 면 대 면 강의에 비해 효과적이지 못하다고 결론짓는다. 또한 자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웹 기반 강의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웹 기반 강의를 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웹 기반 협력학습 환경에서 학습자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a Web Based Collaboration Learning Environment)

  • 이동훈;이상곤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95-21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action among learners in a Web Based Collaboration Learning (WBCL) environment. 254 Korean college students served as test subjects and during the 4 weeks of research period, they studied the 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TOEIC) in a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system.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was looked into by categorizing the concept into task oriented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and relationship oriented communication activities and analyz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activities. Learning performances were measured in individual lev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ask oriented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effect positively on relationship oriented information sharing activities. Second,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WBCL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but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s had partial influence on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Third, th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completely interconnects the managerial characteristics of WBCL and learning performance but partially interconnects the systematic characteristic of WBCL and learning performance. In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managerial and systematic characteristics of WBCL should be considered on the preferential basis for the WBCL to become successful and interactive activities such as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ncouraged to be active from a small-size WBCL perspective.

서비스 지향 구조 기반 LMS (LMS based o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 채명훈;김강식;정인범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A호
    • /
    • pp.45-47
    • /
    • 2010
  • In legacy e-learning web service, as deployed contents are changed, web services should be changed together. In addition, it can not coordinate and manage the various e-learning services recently emerged. In this paper, an e-learning platform based on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 is proposed to solve these problems. We design and implement an e-learning system based on Service abstraction layer concepts. The implemented system can provide the new e-learning services within short development periods.

  • PDF

웹 상에서 운동 에너지 탐구학습을 위한 시뮬레이션 코스웨어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Simulation Courseware for Learning Kinetic Energy)

  • 송민석;인치호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9-48
    • /
    • 2001
  • 학습 활동에서 탐구학습은 실험실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실험실에서 탐구학습과정이 웹을 기반으로 하는 시뮬레이션 코스웨어로 설계하므로써 학생들에게 학습과정을 보다 쉽게 접근해 갈 수 있도록 하며 자기 스스로 사전학습과 탐구실험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정보의 공유, 교환 및 상호 작용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육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웹의 활용은 탐구학습에 적합한 학습도구가 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켜 보다 나은 교수학습 환경을 만들어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웹을 이용하여 역학적 에너지를 자기 스스로 학습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탐구실험과정을 가상실험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학습모형을 시뮬레이션 코스웨어로 설계하고 구현하고자 한다.

  • PDF

문제기반학습모형에 근거한 공학회계의 웹기반 실습시스템 개발 (A Web-based Practice System for Engineering Accounting by Problem-based Learning Model)

  • 김문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1호
    • /
    • pp.55-63
    • /
    • 2011
  • 본 논문은 문제기반학습모형(Problem-based learning model)접근방법을 공학회계라는 다분히 학제 간 성격(공학과 회계학)을 갖는 교과에 어떻게 적용할 지를 다룬다. PBL 접근방법은 급변하는 기업 환경에서 공학회계와 관련한 기업 문제를 제기하고 다룰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시스템적 관점해서 해결하려는 공학 측면에서도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 PBL모형의 현실적인 적용을 위해서 학생들이 해결해야 할 문제를 생성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실습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