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eb Based Instruction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26초

효율적인 영상처리 교육을 위한 통합 환경 개발에 관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AI systems for an efficient education of image processing)

  • 이정헌;안용학;채옥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6호
    • /
    • pp.127-135
    • /
    • 2004
  • 멀티미디어 기술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여러 분야에서 영상처리 기술 인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실무능력을 가진 전문 인력의 수는 시장의 요구에 비해 매우 적다. 영상처리 분야에 실무능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론 교육과정과 함께 학습한 이론을 실제 영상자료에 적용하고 적용된 결과를 분석해 볼 수 있는 실습과정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통합된 교육 환경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영상처리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이론적인 내용과 이론에 따른 다양한 해법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고 학습과정에서 얻어진 새로운 아이디어를 쉽게 구현해 볼 수 있는 통합 환경인 MTES(Multimedia Technology Education System)를 제안한다. MTES는 영상처리 개발 환경인 Hello-Vision을 시뮬레이션 환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였으며, 이론교육환경과 이론과 실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 제어관리자를 개발하여 효과적인 영상처리 교육 환경이 되도록 개발하였다.

학습자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 유형이 전자 텍스트 문서의 내용이해 및 구조파악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ers' Cognitive Styles and Visual Organizer Types on Contents Comprehension and Awareness of Structure in Electronic Text Documents)

  • 한안나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7-58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 (visual organizer) 유형이 전자텍스트 문서에 대한 내용이해 및 구조파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대구에 소재한 A 대학교에 재학 중인 126 명을 대상으로, 인지양식검사 결과에 따라 장의존 및 장독립적 인지양식 집단을 구성한 후 각 집단에 '단순축소' 형태와 '추상화' 형태, 두 가지 유형의 시각적 조직자가 포함된 웹 기반 학습 프로그램을 처치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전자 텍스트 내용이해에 있어서 학습자의 인지양식 및 시각적 조직자 유형은 각각 텍스트 내용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텍스트 구조 파악에 있어서 장독립적 학습자가 장의존적 학습자에 비해 전자 텍스트 문서의 구조를 더 잘 파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양식과 시각적 조직자는 구조파악에 대해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장의존적 학습자는 추상화 형태를 사용했을 때, 장독립적 학습자는 단순축소형태를 사용했을 때, 텍스트 구조파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감성 인식 컴퓨팅 기술을 적용한 이러닝 상호작용 기술 연구 (Enhancing e-Learning Interactivity vla Emotion Recognition Computing Technology)

  • 박정현;김인옥;정상목;송기상;김종백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89-98
    • /
    • 2008
  • 학습자와 이러닝 시스템 사이의 상호작용은 이러닝 시스템의 효율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웹기반 콘텐츠의 경우에도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이 채용되고 있지만 학습자들은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기술의 한계에 따른 실시간 인간 교사로부터 받는 것과 같은 피드백을 경험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자의 얼굴 표정을 이용하여 감정을 인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튜터링 시스템에 통합시켰다. 관찰되는 학습자의 감정 변화에 대하여 인간 교사가 하듯이 적합한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하여 이러닝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학습자의 고립감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체제를 실제 수업에 도입한 결과 학업 성취도의 개선과 이러닝 학습의 흥미도 개선이 유의미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디지털 융복합 환경에서 WBI을 활용한 AT자격 프로그램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ing Usage Intention of AT Certification program using WBI in the Digital Convergence Environment)

  • 이신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109-11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융복합 환경에서 WBI를 활용한 AT자격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수를 기대일치, 유용성 기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확장하여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증분석에 활용된 도구는 AMOS 21.0과 SPSS 21.0 프로그램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용성기대 및 프로그램 인터페이스가 기대일치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용성기대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보다 더 큰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기대일치는 만족도, 지속적 사용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기대일치는 만족도보다 지속적 사용의도에 더 많은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가설에서 제시한 경로를 토대로 기대일치가 유용성기대와 프로그램 인터페이스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에도 중요한 요인이라는 증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한다.

WBI CNC 프로그래밍 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effect of WBl CNC programming studing on learning accomplishment and motive)

  • 지강재;배석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50-753
    • /
    • 2005
  • 우리 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는 인터넷 서비스는 생활환경의 변화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각 사회의 급속한 변화는 교육활동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교육방법, 교육에 대한 인식, 교육에 필요한 여러 가지 도구나 환경에 있어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그 변화의 중요한 하나가 웹 기반 학습의 도입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웹 기반 학습을 통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효과적인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의 학교 교육에 머시닝센터 학습을 웹 기반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프로그램과 가공 학습을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새로운 정보와 접촉할 수 있는 기회와 다양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실험 연구를 통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Between in the Blended Class and Online Class and Offline Class)

  • 김미영;안광식;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06-119
    • /
    • 2005
  • Many problems with the offline class, which is the traditional education type in corporations or universities, were indicated and people hoped that e-learning, which is web-based instruction, would solve these problems. However, e-learning also has weak points in that it should be self-paced and media-based in many ways.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good and weak points of offline classes and e-learning, blended learning seems to be necessary. Until now, blended learning has usually been used in corporations, and there have been almost no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r management of blended learning in universities. Thu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design blended classes, manage them at the level of university classes,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classes, by comparing academic achievement, student participation, and student satisfaction. The subject students who signed up for Computer & Technology at C University in 2005 were divided into three study groups: offline class, online class, and blended class. The offline class was taught using the traditional class teaching method. For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multimedia contents were developed and a different LMS was used. The results of 13 weeks of teaching are as follows. For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offline, online and blended class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2.387, p=.096). But when comparing the average achievement, the average of the blended clas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lasses, so that it can be said that the blended class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Second, when comparing the learners' participa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the total posts were 85 and 138 respectively, which shows a considerable difference. The hit counts for each post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re 10 and 20, respectively. Moreover, the login counts for subjects are 3 in the online class and 4 in the blended class. In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academic satisfaction in the online class and the blended class, all of the 15 items showed higher satisfaction in the blended class. Considering all these results, if adequate media are properly combined, the blended class is better than either the pure online class or the pure offline class.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Why A Multimedia Approach to English Education\ulcorner

  • Keem, Sung-uk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176-178
    • /
    • 1997
  • To make a long story short I made up my mind to experiment with a multimedia approach to my classroom presentations two years ago because my ways of giving instructions bored the pants off me as well as my students. My favorite ways used to be sometimes referred to as classical or traditional ones, heavily dependent on the three elements: teacher's mouth, books, and chalk. Some call it the 'MBC method'. To top it off, I tried audio-visuals such as tape recorders, cassette players, VTR, pictures, and you name it, that could help improve my teaching method. And yet I have been unhappy about the results by a trial and error approach. I was determined to look for a better way that would ensure my satisfaction in the first place. What really turned me on was a multimedia CD ROM title, ELLIS (English Language Learning Instructional Systems) developed by Dr. Frank Otto. This is an integrated system of learning English based on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Inspired by the utility and potential of such a multimedia system for regular classroom or lab instructions, I designed a simple but practical multimedia language learning laboratory in 1994 for the first time in Korea(perhaps for the first time in the world). It was high time that the conventional type of language laboratory(audio-passive) at Hahnnam be replaced because of wear and tear. Prior to this development, in 1991, I put a first CALL(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laboratory equipped with 35 personal computers(286), where students were encouraged to practise English typing, word processing and study English grammar, English vocabulary, and English composition. The first multimedia language learning laboratory was composed of 1) a multimedia personal computer(486DX2 then, now 586), 2) VGA multipliers that enable simultaneous viewing of the screen at control of the instructor, 3) an amplifIer, 4) loud speakers, 5)student monitors, 6) student tables to seat three students(a monitor for two students is more realistic, though), 7) student chairs, 8) an instructor table, and 9) cables. It was augmented later with an Internet hookup. The beauty of this type of multimedia language learning laboratory is the economy of furnishing and maintaining it. There is no need of darkening the facilities, which is a must when an LCD/beam projector is preferred in the laboratory. It is headset free, which proved to make students exasperated when worn more than- twenty minutes. In the previous semester I taught three different subjects: Freshman English Lab, English Phonetics, and Listening Comprehension Intermediate. I used CD ROM titles like ELLIS, Master Pronunciation, English Tripple Play Plus, English Arcade, Living Books, Q-Steps, English Discoveries, Compton's Encyclopedia. On the other hand, I managed to put all teaching materials into PowerPoint, where letters, photo, graphic, animation, audio, and video files are orderly stored in terms of slides. It takes time for me to prepare my teaching materials via PowerPoint, but it is a wonderful tool for the sake of presentations. And it is worth trying as long as I can entertain my students in such a way. Once everything is put into the computer, I feel relaxed and a bit excited watching my students enjoy my presentations. It appears to be great fun for students because they have never experienced this type of instruction. This is how I freed myself from having to manipulate a cassette tape player, VTR, and write on the board. The student monitors in front of them seem to help them concentrate on what they see, combined with what they hear. All I have to do is to simply click a mouse to give presentations and explanations, when necessary. I use a remote mouse, which prevents me from sitting at the instructor table. Instead, I can walk around in the room and enjoy freer interactions with students. Using this instrument, I can also have m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resentation. In particular, I invite my students to manipulate the computer using the remote mouse from the student's seat not from the instructor's seat. Every student appears to be fascinated with my multimedia approach to English teaching because of its unique nature as a new teaching tool as we face the 21st century. They all agree that the multimedia way is an interesting and fascinating way of learning to satisfy their needs. Above all, it helps lighten their drudgery in the classroom. They feel other subjects taught by other teachers should be treated in the same fashion. A multimedia approach to education is impossible without the advent of hi-tech computers, of which multi functions are integrated into a unified system, i.e., a personal computer. If you have computer-phobia, make quick friends with it; the sooner, the better. It can be a wonderful assistant to you. It is the Internet that I pay close attention to in conjunction with the multimedia approach to English education. Via e-mail system, I encourage my students to write to me in English. I encourage them to enjoy chatting with people all over the world. I also encourage them to visit the sites where they offer study courses in English conversation, vocabulary, idiomatic expressions, reading, and writing. I help them search any subject they want to via World Wide Web. Some day in the near future it will be the hub of learning for everybody. It will eventually free students from books, teachers, libraries, classrooms, and boredom. I will keep exploring better ways to give satisfying instructions to my students who deserve my entertainment.

  • PDF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사진자료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of photographs resources for constructive social studies)

  • 이기복;황홍섭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17-138
    • /
    • 2000
  •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기초가 되는 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사고를 통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모색하였다. 검토결과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의 앎의 구성과정 원리는 개개인의 내면적 인지작용과 사회문화적 맥락간의 통합적, 변증법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역동적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사진은 의사소통의 강력한 도구이다. 사진과의 대화를 통해 사진 속에 담겨진 사회현상의 가시적 측면뿐만 아니라 비가시적 측면을 끌어냄으로써 7차 교육과정의 강조점 중의 하나인 탐구학습을 통한 사고력 신장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초등 사회과 지역 교과서에 나타난 사진자료 분석결과 총 자료 중 지면 차지분량이나 비중이 중에도 학습내용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으로 사고하여 탐구할 수 있는 자료라기보다는 보조자료가 대부분이다. 그 외에도 사진의 주제, 종류, 규모, 위치, 색상, 선명도 나아가 자료의 결합형태 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Bl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사진자료의 개발은 현행 교과서 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7차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담은 사진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사진자료 개발을 위해 템기반에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이미 구축된 템사이트의 사진자료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거나 구축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적 사진자료 활용을 위한 수업구성은 직관, 갈등, 조절, 균형화라는 4단계를 고려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자는 교과서 개발시 영상문화시대를 맞이하여 정적인 사진자료보다도 더욱 동적이며, 입체적인 디지털 사진자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