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pplication of photographs resources for constructive social studies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사진자료 활용방안

  • Lee, Ki-Bok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Hwang, Hong-Seop (Department of Social Studies, P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이기복 (부산교육대학교 사회과) ;
  • 황홍섭 (부산교육대학교 사회과)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This study is, from the view point of constructive social studies which is the foundation of the 7th curriculum, to explore whether there is any viable program and to investigate it by which students, using photo resources in social studies, can organize their knowledge in the way of self-directed think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If it is a principle of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of constructive social studies that individual construction (cognitive construction) develops into communal construction(social construction) and yet communal construction develops itself, interacting with individual construction, it will be meet the objectives of social studies. In social studies, photos are a powerful communication tool. communicating with photos enables to invoke not only the visual aspects but also invisible aspects of social phenomena from photos. It, therefore, can help develop thinking power through inquiry learning, which is one of the emphasis of the 7th curriculum. Having analyzed photo resources appeared on the regional textbooks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y have been appeared that even though the importance and amount of space photo resources occupy per page is big with regard to total resources, most of the photos failed to lad to self-directed thinking but just assistant material in stead. Besides, there appeared some problems with the title, variety, size, position, tone of color, visibility of the photos, and further with the combination of the photos. Developing of photo resources for constructive social studies is to overcome some problems inherent in current text books and to reflect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7th curriculum. To develop the sort of photo that can realize the point just mentioned, it would be highly preferable to provide photo database to facilitate study with homepage through web-based interaction. To take advantage of constructive photo resources, the instruction is strategized in four stages, intuition, conflict, accommodation, and equilibration stage. With the advancement of the era of image culture, curriculum developers are required to develop dynamic, multidimensional digital photos rather than static photos when develop text books.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의 기초가 되는 구성주의적 관점에 기초하여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사진자료를 활용하여 자기 주도적 사고를 통해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모색하였다. 검토결과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의 앎의 구성과정 원리는 개개인의 내면적 인지작용과 사회문화적 맥락간의 통합적, 변증법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역동적 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사진은 의사소통의 강력한 도구이다. 사진과의 대화를 통해 사진 속에 담겨진 사회현상의 가시적 측면뿐만 아니라 비가시적 측면을 끌어냄으로써 7차 교육과정의 강조점 중의 하나인 탐구학습을 통한 사고력 신장에도 크게 도움을 준다. 초등 사회과 지역 교과서에 나타난 사진자료 분석결과 총 자료 중 지면 차지분량이나 비중이 중에도 학습내용과의 관련성에 있어서 자기 주도적으로 사고하여 탐구할 수 있는 자료라기보다는 보조자료가 대부분이다. 그 외에도 사진의 주제, 종류, 규모, 위치, 색상, 선명도 나아가 자료의 결합형태 등에 있어서도 문제점이 Bl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적 사회과 교육을 위한 사진자료의 개발은 현행 교과서 상의 문제점을 극복하고, 7차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을 담은 사진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 사진자료 개발을 위해 템기반에서 상호작용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이미 구축된 템사이트의 사진자료 데이터 베이스를 활용하거나 구축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면 좋을 것이다. 사회과 교육에 있어서 구성주의적 사진자료 활용을 위한 수업구성은 직관, 갈등, 조절, 균형화라는 4단계를 고려하였다. 교육과정 개발자는 교과서 개발시 영상문화시대를 맞이하여 정적인 사진자료보다도 더욱 동적이며, 입체적인 디지털 사진자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