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usage

검색결과 736건 처리시간 0.041초

폐목재 칩을 활용한 목질계 보도포장재의 특성에 대한 기초연구 (Basic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ooden Sidewalk Pavement Material using Wood Waste Chip)

  • 최재진;송진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13-420
    • /
    • 2011
  • 건설현장에서 나오는 폐목재 또는 활용가치가 낮은 벌목지에서 발생하는 나무뿌리와 가지 등의 임목폐기물을 분쇄한 목재 칩을 우레탄 수지로 결합시킨 보도용 포장재를 제안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는 재료혼합비율로서 건설폐목재 칩 및 임목폐기물 칩에 대한 우레탄 수지의 질량비를 0.5, 0.75, 1.0의 3수준으로 정하고 재료 계량 후 믹서로 혼합, 성형한 다음 7일이 경과하였을 때 인장강도 시험, 골프공과 스틸볼을 이용한 탄력성 시험, 투수계수 측정 및 가연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공기중 건조상태에서 시험체의 인장강도는 0.2~1.1MPa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재령 7일 이후의 강도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침수시켰을 때 강도가 저하되었으며 그 강도의 저하비율은 우레탄 수지의 사용량이 적을수록 크게 되므로 강우 등에 의한 수분 침투를 고려하여 폐목재 칩에 대한 수지의 질량비는 0.75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탄력성 시험결과로서 폐목재 칩과 우레탄 수지를 사용한 시험체의 GB계수와 SB계수는 20% 이하의 낮은 값으로 측정되어 보도용 포장재로서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다. 또한 투수계수는 모든 배합의 시험체에서 0.5mm/sec 이상으로, 투수성 포장재에 있어서 시공 후 요구되는 일반적인 투수계수의 기준값을 상회하였으며, 목질계 포장재의 가연성은 실용상 특별히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무기혼화재 적용에 따른 기포콘크리트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oam Concrete with Application of Mineral Admixture)

  • 김상철;김연태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97-106
    • /
    • 2009
  • 기포콘크리트로 축조된 구조물은 하중 경감에 따른 지반의 침하와 토압을 감소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 시공과 관련한 제반 문제와 경제적 부담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포콘크리트의 강도향상 목적으로 다공질의 바텀애시를 기포콘크리트에 도입함으로써 과거의 방음이나 단열의 비구조적 용도 이외에도 구조적 목적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멘트 대체재로써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의 혼입이 바텀애시로 보강된 기포콘크리트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단위체적중량, 플로우값, 공기량(기포량), 흡수율, 소요 기포제량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잔골재비의 증가 즉, 바텀애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체적중량은 증가하는 반면 공기량이나 플로우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절한 비율의 바텀애시 적용은 오히려 소포의 영향이 작아져 균일한 품질의 기포콘크리트 제조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의 무기혼화재는 시멘트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단위체적중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어느 일정 비율까지 대체하였을 때에는 유동성이 향상되는데 반해 그 이상의 대체에서는 급격한 유동성 저하가 나타났다.

  • PDF

중간층 레진 적용이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접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al application of a resin layer on dentin bonding using single-step adhesives)

  • 최승모;박상혁;최경규;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2권4호
    • /
    • pp.313-326
    • /
    • 2007
  • 본 연구는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와 복합레진 사이에는 부적합성이 존재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 중간 레진층이 필요하다는 가설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발치된 치아의 협설측 상아질에 3종의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후 광중합, 2종의 중간 레진층 적용, 광중합 또는 자가중합형 복합레진의 사용여부에 따라 30개의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미세전단 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투과전자현미경 (TEM)을 이용하여 접착계면에서의 미세 누출과 수분의 이동경로를 관찰하여 접착제의 투과성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중간 레진층을 적용 시 접착층의 투과도가 감소되었고 복합레진에 대한 단일 접착과정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시간 절약 및 간단한 접착과정을 선호하여 단순화된 상아질 접착제를 선택하는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안와골절 정복술에 사용된 인공삽입물의 전산화단층촬영 추적관찰 (CT Observation of Alloplastic Materials Used in Blow Out Fracture)

  • 이원;강동희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4호
    • /
    • pp.380-384
    • /
    • 2010
  • Purpose: Distinguishing different types of implants and assessing the position and size of implants by radiologic exam after orbital wall reconstruction is important in determining the surgery outcome and forecasting prognosis. We observed time-dependent density changes in three types of implants (porous polyethylene, resorbing plate and titanium mesh plate) by performing facial bone CT after orbital wall reconstructions. Methods: A total of 32 patients, who had underwent orbital wall fracture surgery from October 2006 to March 2009 and received facial bone CT as outpatients at 1 postoperative year were included in the study. Follow-up facial bone CT was performed on the patients pre- operatively, 1 month post-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to observe the status of the orbital implants. Medpor $^{(R)}$ (Porex Surgical, Inc., Newnan, Ga.) was used as porous polyethylene and followed-up in 14 cases; for resorbing plate, Synthes mesh plate (Synthes, Oberdorf, Switzerland) was used in the reconstruction, and followed-up in 11 cases; and titanium mesh plate usage was followed-up in 7 cases. Computed tomographic scan (CT) and water's view were done for radiography, and hounsfield unit (HU) was used to compare density of those facial bone CT.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applied to statistically verify measurement difference in each group of hounsfield units. Results: Facial bone CT examination performed in 1 month post-operative showed that the density of porous polyethylene, resorbing plate and titanium mesh plate were -42.07, 105.67 and 539.48 on average, respectively. Among the three types of implants, titanium mesh plate showed the highest density due to its radiopaque feature. Following up the density of three types of implants in CT during 1 year after the orbital wall fracture surgery, the density of porous polyethylene increased in 10.52 House Field Units and the resorbing plate was decreased in 26.87 HouseField Uni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ensities in 1 month post-operatively and 1 year post-operatively in each group ($p{\geq}0.05$). Conclusion: We performed facial bone CT on patients with orbital fractures during follow-up period, distinguishing the types of implants by the different concentration of implant density, and the densities showed little change even at 1 year post-operative. To observe how implant densities change in facial bone CT, further studies with longer follow-up periods should be carried out.

수산화칼슘 근관약제와 산화아연-유지놀의 반응에 관한 화학적 분석 (CHEMICAL INVESTIGATION ON THE REACTION BETWEEN CALCIUM HYDROXIDE INTRACANAL MEDICAMENT AND ZINC OXIDE-EUGENOL)

  • 박숙형;박준철;김성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5권2호
    • /
    • pp.272-288
    • /
    • 2000
  • 수산화칼슘은 여러 약리작용으로 인해 근관소독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약제이다. 근관 내에 수산화칼슘을 투약한 후 gutta-percha와 더불어 산화아연-유지놀계 근관시멘트로 근관을 충전하는 경우 근관시멘트의 물성에 변화가 있다는 보고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산화칼슘과 산화아연-유지놀 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수산화칼슘-유지놀 화합물의 반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산화칼슘, 유지놀, 산화아연-유지놀, 수산화칼슘-유지놀 및 수산화칼슘-산화아연-유지놀 화합물을 XRD, FT-IR spectrophotometer 및 FT-NMR spectrometer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산화칼슘과 산화아연-유지놀 간의 반응으로 생성된 화합물은 다음과 같았다. 2. 수산화칼슘은 유지놀과 화학결합(이온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Ca^{2+}$과 유지놀 사이의 결합은 단순 이온결합이다. 따라서 수산화칼슘-산화아연유지놀 화합물은 중화반응에서 생기거나 외부에서 유입된 물이 존재시 쉽게 이온화되어 물리적 성질이 저하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모르타르(W/C:0.6)의 철근의 부식전위와 양극분극 및 임피던스 특성에 미치는 재령 년수 (Effect of Period of Immersion on Corrosion Potential, Anodic Polarization, and Impedance Characteristics of Reinforced Steel in Mortar (W/C: 0.6))

  • 정재현;문경만;이성열;이명훈;백태실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7-333
    • /
    • 2016
  •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have found wide usage in land and maritime applications. However, the corrosion of reinforced concrete has been recognized as a serious problem from economic and safety standpoints. In previous studies, the corrosion behavior of the inner steel bar embedded in mortar (W/C: 0.4, 0.5) was investigated using electrochemical methods. In this study, multiple mortar test specimens (W/C: 0.6) with six different cover thicknesses were prepared and immersed in flowing seawater for five years. Subsequently, equations related to the cover thickness, period of immersion, and corrosion characteristics of the embedded steel bar were evaluated using electrochemical methods. Prior to immersion, the corrosion potentials indicated an increase with increasing cover thickness, and after five years, all corrosion potentials demonstrated a trend in the positive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cover thickness. Howeve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rrosion potential and cover thickness were not in complete agreement. Furthermore, after five years, all of the corrosion potentials indicated values that were nobler compared to those obtained prior to immersion, and their corrosion current densities also decreased compared to their values obtained prior to immers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embedded steel bar was easily corroded because of the aggression of water, dissolved oxygen, and chloride ions; a higher W/C ratio also assisted the corrosion process. The corrosive product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steel bar for five years cast a resistance polarizing effect shifting the corrosion potential in the nobler direction. Consequently, it was considered that the W/C ratio of 0.6 showed nearly same results as those of W/C of 0.4 and 0.5. Therefore, the corrosion potential as well as various parameters such as the cover thickness, period of immersion, and W/C ratio must be considered at once for a more accurate evaluation of the corrosion property of reinforced steel exposed to marine environment for a long period.

초기 염화물량의 증가와 배합 및 설계 변수 특성을 고려한 콘크리트 내구수명의 변동성 (Service Life Variation Considering Increasing Initial Chloride Content and Characteristics of Mix Proportions and Design Parameters)

  • 박선경;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36-245
    • /
    • 2021
  • 노출 환경 및 설계 변수의 변화에 따라 내구수명은 큰 범위를 가지고 변화하게 되므로 설계자 입장에서는 내구수명의 변동성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최근 들어 탄소 중립을 위하여 플라스틱 혼소재가 클링커 생산 시 원료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경우, 시멘트의 염화물 함유량은 증가하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스틱 혼소재를 사용하여 초기 염화물량이 증가할 경우, 다양한 노출 환경과 설계 변수를 고려하여 내구수명이 어떤 수준으로 변화하는지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4 수준의 초기 염화물량을 설정하였으며, 3 수준의 표면 염화물량을 포함한 다양한 환경 조건에 따라 내구수명을 LIFE 36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해석 변수로서 임계 염화물량, 고로슬래그 미분말 치환 혼입율, 물-결합재 비, 피복두께, 단위 결합재량, 초기 염화물량을 설정하였다. 초기 염화물량이 증가함에 따라 내구수명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이 값을 1,000ppm까지 허용해도 내구수명의 큰 감소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슬래그 치환율을 증가시킬 경우 더 높은 내구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데, 이는 고로슬래그 미분말이 외부 염화물 이온의 확산 저감과 동시에 자유 염화물을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초기 염화물량의 허용 농도를 유럽기준과 같이 증가시키는 것도 지속가능성 향상과 탄소량을 저감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표면 염화물량이 낮고 혼화재(슬래그)를 사용한 경우, 초기 염화물량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표면염화물량이 높은 경우, 노출환경을 고려한 신중한 배합설계가 필요하다.

Effect of keratinase on ileal amino acid digestibility in five feedstuffs fed to growing pigs

  • Huang, Chengfei;Ma, Dongli;Zang, Jianjun;Zhang, Bo;Sun, Brian;Liu, Ling;Zhang, Shu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2호
    • /
    • pp.1946-1955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keratinase (KE) on th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amino acids (AA) in rice bran, cottonseed meal (CSM), rapeseed meal (RSM), corn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and peanut meal (PNM). Methods: Twelve crossbred barrows (Duroc${\times}$Landrace${\times}$Yorkshire, $50.5{\pm}1.4kg$ body weight [BW]) fitted with T-cannulas at the terminal ileum were allotted to a $12{\times}6$ Youden Square design with 12 diets and 6 periods. The treatment diets included rice bran, CSM, RSM, corn DDGS, PNM, or corn-soybean meal (cSBM) supplemented with 0.05% KE or not. Diets were given to pigs at a level of 3% BW in two equal meals. The endogenous AA losses were the mean results of three previously experiments determined by a same nitrogen-free diet fed to pigs. Pigs had free access to water during the experiment. Results: The KE supplementation improv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Thr, Val, Asp, Cys, and Tyr in rice bran.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Met and Val in CSM. The KE supplementation de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His in RSM and all measured AA except for Arg, Met, Trp, Val, Gly, and Pro in corn DDGS. There was an increase (p<0.05) in AID and SID of Leu, Ile, Met, Ala, Cys, Ser, and Tyr in PNM supplemented with KE compared with that without KE. Inclusion of KE increased (p<0.05) the AID and SID of crude protein, Leu, Ile, Phe, Thr, Asp, and Ser in cSBM.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KE had different effects on ileal AA digestibility of feedstuffs for growing pigs, which can give some usage directions of KE in swine feed containing those detected feedstuffs.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활용한 오염지하수 내 우라늄 제거 (The Uranium Removal in Groundwater by Using the Bamboo Charcoal as the Adsorbent)

  • 이진균;김태형;이민희
    • 자원환경지질
    • /
    • 제51권6호
    • /
    • pp.531-542
    • /
    • 2018
  • 대나무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우라늄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정화하는 흡착 배치실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에서 판매되는 두 종류의 대나무 활성탄을 사용하여 다양한 우라늄 농도를 가지는 인공오염수를 대상으로 활성탄 투입량에 따른 제거효율 변화를 측정하였다. 인공오염수의 다양한 pH, 온도, 흡착 시간 조건에서 흡착실험을 반복하여, 최적의 제거효율을 나타내는 대나무 활성탄의 적용 조건을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인공오염수에 대한 대나무 활성탄의 우라늄 제거효율은 70 ~ 97 %를 나타내었으며, 우라늄 농도가 0.14 mg/L인 실제 우라늄 오염지하수에 대한 제거효율도 84 %로 매우 높았다. 오염수의 온도의 경우 $10{\sim}20^{\circ}C$ 범위, pH는 5 ~ 9 범위에서 우라늄 제거효율 변화가 크지 않아, 현장에서 별도의 추가 처리 없이 오염지하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실험 결과로부터 대표적인 흡착등온선을 도시한 결과, 우라늄에 대하여 대나무 활성탄은 Langmuir 흡착특성을 나타내었으며, A type과 C type 대나무 활성탄의 최대흡착농도($q_m:mg/g$)값은 각각 200.0 mg/g와 16.9 mg/g으로 높게 나타났다. 오염수 100 mL에 대나무 활성탄 2 g(2 wt%)을 첨가한 경우, 초기 우라늄 농도가 0.04 ~ 10.8 mg/L 범위에서 분리상수 값(separation factor: $R_L$)과 표면흡착률 값(surface coverage: ${\theta}$)이 1 이하로 낮게 유지되어, 다양한 우라늄 농도 범위를 가지는 오염지하수에 대하여 적은 양의 대나무 활성탄으로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 구성요소의 특질과 변용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nents and Conversion of Sandan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 정우진;유기석;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4호
    • /
    • pp.24-47
    • /
    • 2013
  •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의 조영 특성과 공간성격을 구명하는 것으로서, 권역 내의 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조영개념, 경관설계기법 및 변화과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단 권역에는 인조, 숙종, 순조 연간과 일제 강점기 및 근래의 보수공사 등 여러 시대에 걸친 경관 층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인조 연간에 취승정(聚勝亭)의 건립으로 개발된 산단 권역은 임금의 휴게시설로 조성되었고 이러한 용도는 숙종이 낙민정(樂民亭)을 건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순조 연간, 즉 동궐도 제작 이전에 산단과 백운사(白雲社)가 건립되면서, 이 일대는 산신을 제사 지내는 제례공간의 성격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조성된 건축요소들은 당시 통용되던 토지신(后土神)에 대한 제례시설을 구비했던 것이거나 유교례로 해결될 수 없는 왕실의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산단 권역의 성격을 규정지을 수 있는 특징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창덕궁 평면도의 분석 결과, 일제 강점기까지 산단은 존치되어 있었으나 해방 후 어느 시점에 철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초에는 이 일대가 '빙천'이라는 관람지로 개발되면서 대대적인 변형이 이루어졌다. 이때 빙천을 거치는 신작로의 공사가 병행되었는데, 현 상태는 당시 공사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1970년대 빙천 보수공사에 참여한 관계자의 인터뷰 결과, 당시의 공사가 음용수를 위한 2개소의 배수시설을 신설할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옥류천 어정(御井)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