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Foam Concrete with Application of Mineral Admixture

무기혼화재 적용에 따른 기포콘크리트의 특성

  • 김상철 (한서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연태 (서울산업대학교, 구조공학과)
  • Received : 2009.08.04
  • Accepted : 2009.08.18
  • Published : 2009.08.30

Abstract

self-loading, various problems related to construction can be solved as well as the save of construction cost. Thus, this study has an aim of applying foam concrete to structural purpose by adding bottom ash as a reinforcing material like fine aggregate, in contrast to conventional non-structural usage such as soundproofing or insulating materials. In addition, it was evaluated in terms of unit volume weight, flow value, air void, water absorption and dosage of foam agent wether replacement of cement by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or fly-ash has an effect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foam concrete. As results of experiments, it can be found that the increase of fine aggregate ratio, that is to say, the increase of bottom ash results in the increase of unit volume weight, while decreasing air void and flow value. But, appropriate addition of bottom ash to foam concrete makes it easy to control a homogeneous and uniform quality in foam concrete due to less sensitive to bubbles. As the replacement ratio of mineral admixtures such as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and fly-ash increases, as unit volume weight tends to decrease. In the meanwhile, serious effects were shown on fluidity of foam concrete when more than limit of replacement ratio was applied.

기포콘크리트로 축조된 구조물은 하중 경감에 따른 지반의 침하와 토압을 감소할 수 있게 되어 구조물 시공과 관련한 제반 문제와 경제적 부담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포콘크리트의 강도향상 목적으로 다공질의 바텀애시를 기포콘크리트에 도입함으로써 과거의 방음이나 단열의 비구조적 용도 이외에도 구조적 목적에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시멘트 대체재로써 고로슬래그 미분말과 플라이애시의 혼입이 바텀애시로 보강된 기포콘크리트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단위체적중량, 플로우값, 공기량(기포량), 흡수율, 소요 기포제량 등을 통해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잔골재비의 증가 즉, 바텀애시의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단위체적중량은 증가하는 반면 공기량이나 플로우는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적절한 비율의 바텀애시 적용은 오히려 소포의 영향이 작아져 균일한 품질의 기포콘크리트 제조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로슬래그 미분말이나 플라이애시의 무기혼화재는 시멘트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단위체적중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어느 일정 비율까지 대체하였을 때에는 유동성이 향상되는데 반해 그 이상의 대체에서는 급격한 유동성 저하가 나타났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