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 구성요소의 특질과 변용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Components and Conversion of Sandan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 투고 : 2013.06.27
  • 심사 : 2013.08.07
  • 발행 : 2013.12.20

초록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 산단(山壇) 권역의 조영 특성과 공간성격을 구명하는 것으로서, 권역 내의 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조영개념, 경관설계기법 및 변화과정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산단 권역에는 인조, 숙종, 순조 연간과 일제 강점기 및 근래의 보수공사 등 여러 시대에 걸친 경관 층위가 존재하고 있었다. 인조 연간에 취승정(聚勝亭)의 건립으로 개발된 산단 권역은 임금의 휴게시설로 조성되었고 이러한 용도는 숙종이 낙민정(樂民亭)을 건립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렇지만 순조 연간, 즉 동궐도 제작 이전에 산단과 백운사(白雲社)가 건립되면서, 이 일대는 산신을 제사 지내는 제례공간의 성격으로 개편되었다. 이때 조성된 건축요소들은 당시 통용되던 토지신(后土神)에 대한 제례시설을 구비했던 것이거나 유교례로 해결될 수 없는 왕실의 신앙적 욕구를 충족시킬 필요성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산단 권역의 성격을 규정지을 수 있는 특징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창덕궁 평면도의 분석 결과, 일제 강점기까지 산단은 존치되어 있었으나 해방 후 어느 시점에 철거된 것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초에는 이 일대가 '빙천'이라는 관람지로 개발되면서 대대적인 변형이 이루어졌다. 이때 빙천을 거치는 신작로의 공사가 병행되었는데, 현 상태는 당시 공사의 결과를 반영하고 있다. 1970년대 빙천 보수공사에 참여한 관계자의 인터뷰 결과, 당시의 공사가 음용수를 위한 2개소의 배수시설을 신설할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옥류천 어정(御井)을 모방하여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constructional concepts, landscape design techniques and changes made of the Sandan(山壇) area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based on the spatial organization of the z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Constructional layers that have been maintained throughout the centuries from King Injo(仁祖), King Sukjong(肅宗), King Sunjo(純祖),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present, were found in the Sandan area. The Sandan area, which was developed with the establishment of Chuiseungjeong(取勝亭) during the ruling of King Injo(仁祖), was created as a resting place for the King, and its usage continued until King Sukjong(肅宗) built Nakminjeong(樂民亭). However, the whole area was reorganized to host ritual ceremonies, where ancestral rites were performed for the mountain gods, after Sandan and Baekunsa(白雲社) were built during King Gojong's reign, before the drawing of 'Painting of Eastern Palaces(東闕圖).' The architectural component used then appears to have been designed to serve ancestral ritual formalities for the god of land, or to satisfy the religious desires of the royal family not fulfilled by Confucian courtesy. These are characteristics that define the Sandan area. Meanwhile, the analysis of the ground plan of the Changdeokgung Palace revealed that the Sandan had been maintaine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was removed sometime after liberation. The area underwent extensive reform in the early 1970s, when the whole area was developed into a tourist destination called Bingcheon(氷泉). Then, a new road that runs through Bingcheon was laid, and the present condition reflects the construction result of the time. An interview with a person who had taken part in the repair work in the 1970s confirmed that the construction work at the time had the goal of establishing two drainage systems for drinking water and copied the Okryuchon(玉流川) well.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