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penetration

검색결과 898건 처리시간 0.034초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현장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Application of Automatic Grouting System)

  • 도종남;박정환;최동찬;천병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63-74
    • /
    • 2012
  • 국내에서 그라우팅은 대부분 전문성 있는 지식이나 이론적인 연구에 의한 방법이 아닌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설계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라우팅이 적용되는 건설현장에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의 품질관리기술과 방법에 대한 것을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제한적인 물주입시험에 의한 최적주입압 결정과 관련된 방법은 그라우팅 전.후에 대한 평가만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라우팅재료가 지반내에서 확산하는 동안 주입압력(p)~주입속도(q)~침투시간(t) 차트 분석을 통해 주입압, 주입속도, 침투시간의 특성을 평가할 경우 그라우트 압력에 의한 지반의 파쇄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주입압력(p), 주입속도(q)와 침투시간(t) 곡선을 분석하여 적합한 값을 도출하면 효과적인 설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차트분석기법은 기존의 종이롤에 기록되어 지는 주입압력(p)과 주입속도(q)를 정리하여 관리할 수 있으며, 통합유량계는 정확한 수량을 기록할 수 있으나 기록된 주입압력은 초기, 중급 및 최종 지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므로, 통합유량계 및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의 상관관계가 규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자동화 그라우팅 기법은 주입압력과 그라우팅 대상 지반의 특성간의 신뢰성 있는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를 활용한 그라우팅 품질관리 기술을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고성토사면에 시공된 교대의 측방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f Laterally Displacing Abutment in High Landfill Slope)

  • 박민철;장서용;신백철;한희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7-3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사면 위에 시공된 교대가 강우 침투로 측방유동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로 인한 교대의 상대변위를 파악하고 적절한 보강대책 및 설계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성토사면의 정확한 수치해석을 위해 현장의 성토재인 화강풍화토를 채취하여 비배수 직접전단시험을 통해 함수비(포화도)변화에 따른 강도정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토대로 탄성계수와 포아송비 등의 지반정수를 산정하였다. 이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강우 시 교대 교좌부의 측방유동, 말뚝기초의 부재력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교대 교좌부의 측방변위는 8.98cm로 허용변위량 3.0cm보다 약 3배 정도 크게 산정되었다. 측방유동의 보강대책으로 보강토옹벽, 압성토, 말뚝 기초 자체보강(길이 5m 연장보강, 3열 보강, 3열 5m 연장보강)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말뚝기초를 보강 (3열 5m 연장보강) 하였을 경우 측방유동으로 인한 교대 교좌부의 상대변위는 2.26cm로 허용변위량보다 적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열화방지를 위한 표면 성능 개선제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n the Performance of Surface Performance Improving Agent for the Deterioration Prevention of Concrete Structures)

  • 류금성;고경택;김도겸;이장화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77-186
    • /
    • 2005
  • 최근 콘크리트 구조물은 염해, 중성화 및 동결융해 등에 의한 내구성능 저하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렇게 내구성능이 저하된 콘크리트에 대한 다양한 대책이 강구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콘크리트의 표면을 보호하여 내구성능 저하의 요인을 차단하는 표면처리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에폭시 등 유기계 및 시멘트계 보수재는 콘크리트의 물성의 차이로 인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보수층의 파단 및 들뜸 등 문제가 발생하는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저자들은 콘크리트의 물성과 동일한 무기계를 주성분으로 한 표면 성능 개선제를 콘크리트에 도포하면, 칼슘이온 등과 반응하여 콘크리트의 조직이 치밀해짐으로써 $CO_2$ 가스, 염소이온 및 물 등 내구성능 저하요인을 차단하는 보수재를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표면성능 개선제의 침투성능, 수밀성능, 통기성능, 화학저항성능, 용출저항 성능 및 열화된 콘크리트에 대한 적용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표면성능 개선제는 콘크리트의 내부로 10mm 이상 침투되며 콘크리트의 수밀성능 및 통기성능 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면성능 개선제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하면 콘크리트의 내구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간척지에 플라스틱 온실 설치 시의 문제점 분석 및 개선방안 (An analysis of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in the installation of plastic greenhouse on reclaimed lands)

  • 유인호;구양규;조명환;류희룡;문두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4호
    • /
    • pp.473-480
    • /
    • 2014
  • Upon setting up a dedicated plastic greenhouse for tomato cultivation developed by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on the Gyehwa reclaimed land, this study was aimed at analyzing the problems can be occurred in the installation of plastic greenhouse on reclaimed lands as well as finding out solutions for improvement. A relatively cheaper wooden pile was used in the install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soft ground condi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ground investigation of the installation site, both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pulling resistance of the wooden pile with a diameter of 150 mm and a length of 10 m were computed and came out to be 30.645 kN. It was determined that the values were enough to withstand the maximum compressive force (17.206 kN) and the pullout force (20.435 kN) that are generally applied to the greenhouse footing. There are three problems aroused in the process of greenhouse installation, and the corresponding countermeasures are as follow. First, due to the slightly bent shape of the wooden pile, there were phenomenon such as deviation, torsion, and fracture when driving the pile. This could be prevented by the use of the backhoe (0.2) rotating tongs, which are holding the pile, to drive the pile while pushing to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and fixing it until 5 m below ground and applying a soft vibrating pressure until the first 2 m. Second, there exists a concrete independent footing between the column of the greenhouse and the wooden pile driven to the underground water level. Sin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rive the pile on this independent footing, the problem of footing baseplate used to fix the column being off the independent footing was occurred. In order to handle with this matter, the diameter of the independent footing was changed from 200 mm to 300 mm. Last, after films were covered in the condition that the reinforcing frame and bracing are not installed, there was a phenomenon of columns being pushed away by the strong wind to the maximum of $11m{\cdot}s^{-1}$. It is encouraged to avoid constructions in winter, and the film covering jobs always to be done after the frame construction is completely over. The height of the independent footing was measured for 9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greenhouse installation, and it was found to be within the margin of error meaning that there was no subsidence. The extent to the framework distortion and the value of inclinometers as well showed not much alteration. In other words, the wooden pile was designed to have a sufficient bearing capacity.

화학물질 관리 연구-1.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 화학물질의 특성과 노출기준 비교 (Study on the Chemical Management - 1.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und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f Korea)

  • 박지훈;함승헌;김선주;이권섭;하권철;박동욱;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oxicological data with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OELs) of chemicals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Methods: Information on chemicals which have OEL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ological data was collected us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MSDS)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and the Korea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KISChem) in 2014.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OELs with 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lecular weight, boiling point, odor threshold, vapor pressure, vapor density, solubility and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OWPC) and toxicological data such as median lethal dose($LD_{50}$) and median lethal concentration($LC_{50}$). Results: A total of 656 chemicals have OELs under OSHA in Korea. The numbers of chemicals which have eight-hour time weighted average(TWA) and short term exposure limits(STEL) are 618 and 190, respectively. TW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iling point and STEL was only correlated with vapor pressure amo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olubility and OWPC between "skin" and "no skin" substances which indicate skin pene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oth $LD_{50}$ and $LC_{50}$ were correlated with TWA, while the $LC_{50}$ was not with STEL. As health indicators, health rating and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s(ERPG) rating as recommended by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NFPA) and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AIHA) were associated with OELs and reflect the chemical hazards. Conclusions: We found relationships between OEL and chemical information includ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ological data. The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understanding present regulatory OELs.

함침계 표면보호제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세공구조 변화 및 내구성 향상 (Improvement of Durability and Change of Pore Structure for Concrete Surface by the Penetrative Surface Protection Agent)

  • 강석표;김정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5-132
    • /
    • 2006
  • 최근 들어 툭별한 물리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내구성능이 저하된 콘크리트의 성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콘크리트 표면보호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표면보호는 직접적인 의미로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보호하는 것뿐만아니라 다양한 열화요인의 침투를 억제함으로서 내부의 콘크리트 및 철근의 열화를 억제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은 표면보호재 중 함침계 표면보호재는 콘크리트 표면층의 공극에 충전 혹은 생성물을 석출시켜 치밀한 층으로 하느 충전계와 콘크리트 표면층의 외부 및 내부표면의 성질을 개선하는 표면계로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규플르오르화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표면형 함침계 표면보호제 도포에 의한 콘크리트 표면의 세공구조의 변화 및 중성화, 염해, 화학적 침식 등의 내구성 향상을 실험실증적으로 검토함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결과, 표면보호제를 도포함으로서 모든 물시멘트비에서 도포전과 비교하여 전세공용적이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50nm이상의 비교적 큰 세공경인 모세관공극의 용적이 감소함으로서 물흡수성, 중성화 저항성, 내황산성, 염소이온침투 저항성 등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높게 나타났다.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내구성 평가 (Evaluation on Durability of High Performance Concrete with Expansive Additive and Shrinkage Reducing Admixture)

  • 고경택;강수태;박정준;류금성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05-211
    • /
    • 2006
  • 본 연구는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조합 사용하여 수축변형률이 저감된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에 대하여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와 비교를 위해 동일한 물-결합재비에서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사용하지 않은 고성능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에 대해서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는 동일한 물-결합재비를 가진 고성능 콘크리트에 비해 압축강도와 인장강도가 다소 크게 나타났다.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과 탄산화에 대한 저항성은 고성능 콘크리트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하며, 동결융해 저항성은 동결융해시험 600사이클에서도 내구성 지수가 거의 100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밀성과 공극분포를 검토한 결과,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는 고성능 콘크리트 또는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시멘트 경화체 조직이 치밀해져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조합사용한 저수축 고성능 콘크리트를 구조물에 적용한 경우, 콘크리트의 수축과 균열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능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섬유강화형 복합레진전장관의 변연적합도 및 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MARGINAL FITNESS AND MARGINAL LEAKAGE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CROWNS DEFENDING UPON LUTING CEMENTS)

  • 김선종;신상완;한중석;서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18-630
    • /
    • 2000
  • As Fiber-reinforced composite restorations cannot be made without leaving a marginal gap, luting cements play a pivotal role in sealing the margins as a prevention against margnal leakage. A recently introduced adhesive resin cement system is claimed to adhere chemically, as well as mechanically, to tooth substances, dental alloys and porcelain. But when considering the clinical variation conventional cementation using Zinc Phosphate and Glass-Ionomer can be requested. A vitro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microleakage and marginal fitness of Fiber-reinforced composite crowns(Targis/Vectris) depending upon luting cements. Fifty non-carious human premolar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experimental groups of 10 teeth each and luted with five luting cements. ($Bistite\;II^(R),\;Super-bond^(R),\;Variolink\;II^(R)$), Zinc phosphate and Glass-Ionomer cement) After 24 hours of being luted,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300 times through water bath of $5^{\circ}C\;and\;55^{\circ}C$ in each bath, then the quality of the marginal fitness was measured by the Digital Microscope and marginal leakage was characterized using Dye Penetration technique and the Digital Microscop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values of marginal fit were Bistite II($46.78{\mu}m$), Variolink II($56.25{\mu}m$), Super-Bond($56.78{\mu}m$), Glass-Ionomer($99.21{\mu}m$), Zinc Phosphate($109.49{\mu}m$)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p<0.001. 2. The mean microleakage values of tooth-cement interface, restoration-cement interface were increased in the order of Variolink II, Bistite II, Super-Bond, Glass-Ionomer, Zinc Phosphate 3. Crowns luted with resin cement (Bistite II, Super-Bond, Variolink II, etc) exhibited less marginal gap and marginal leakage than those luted with conventional Glass-Ionomer and Zinc Phosphate cement. 4.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five luting systems yielded comparable and acceptable marginal fit.

  • PDF

복합레진 수복시 복합용기 및 단일용기 상아질 접착제의 미세변연누출에 관한 연구 (MICROLEAKAGE OF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 류주희;박동성;권혁춘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1호
    • /
    • pp.55-66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5 current dentin bonding systems which are composed of 2 multi-bottle systems(Scotchbond Multi-Purpose, All Bond2) and 3 one-bottle systems(Single bond, One-Step, Prime & Bond). In this in vitro study, class V cavities were prepared on buccal and lingual surfaces of sixty extracted human premolars and molars on cementum margin. The experimental teeth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of 10 samples (20 surfaces) each, Group 1 : Scotchbond Multi-Purpose ; Group 2 : All Bond 2 ; Group 3 : Single Bond ; Group 4 : One-Step ; Group 5 : Prime & Bond ; Group 6 : no bonding agent(control). The bonding agent and composite resin were applied for each group following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After 500 thermocycling between $5^{\circ}C$ and $55^{\circ}C$, the 60 teeth were placed in 2% Methylene blue dye for 24 hours, then rinsed with tab water. The specimen were embedded in clear resin, then sectioned bucc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restoration with a low speed diamond saw. The dye penetration on each of the specimen were then observed with a stereomicroscope at ${\times}20$. The results of stud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tudent-Newmann-Keul's Methods and the Mann-Whitney Rank Sum Test. The resin/dentin interfaces were examin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None of the dentin bonding systems us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kage values at both the enamel and the dentin margins (P>0.05). 2. In all groups except the control, leakage value seen at the enamel margi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seen at the dentin margin (P<0.05). 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l the groups treated with dentin bonding systems showed significantly lower leakage value at both enamel and dentin margins (P<0.05). 4. In the SEM view, gaps were observed in the composite resin / dentin interface in group 6 where no dentin bonding agent was used, and in all the other groups (group 1, 2, 3, 4, 5) composite resin, hybrid layer, and dentin were seen to be closely adhering to each other where there were no leakages. Well-developed resin tags 3~100${\mu}m$ in length infiltrated dentinal tubules past the hybrid layer and a hybrid layer 1~5${\mu}m$ thick had developed between the dentinal surface and the composite resin surface.

  • PDF

유한 요소기법을 이용한 Slug시험 모델의 타당성 및 유용성 연구 (A Study about Effectiveness and Usefulness of a FEM Slug Test Model)

  • 한혜정;최종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89-96
    • /
    • 2000
  • Slug시험은 수리전도도 예측에 가장 널리 쓰이는 편리한 대수층 실험법이다. Slug시험 중인 관측정 수위 변동은 관측정 반경, 스크린 길이, 다공 매질의 수리전도도와 비저유계수에 영향을 받는다. 이 연구에서는 유한요소기법을 이용한 새 slug시험 모델을 개발하고 그 유용성을 시험하였다. 모델에서 관측정의 수위변동과 다공매질내 지하수유동을 반복기법(iteration technique)을 적용하여, 스크린상의 유동량 측정으로 연결하였다. 이 모델의 수치적 정확도는 Cooper et al. (1967)의 분석해에 대해 검증되었다, 본 방법은 주변 모니터링이 가능한 slug시험의 시뮬레이션, 부분관통과 비저유 계수의 반영 등의 장점이 있다. Slug시험을 통한 다공매질 반영 범위는 비저유계수에 민감하다. 작은 비저유계수일수록 수두압 변화 전파범위가 커져 그 반영률이 증가한다. 관측정의 표준곡선 비교를 통해 비저유계수 예측이 어려우므로, 다공매질 내에서 관측된 수두변화의 표준곡선 활용이 유용할 것이다. 지하수유동의 수직 성분이 커질수록 관측정 수위 회복에 대한 비저유계수의 영향은 더 감소한다. 실제 관측정 주변의 수평-수직한 지하수 유동 해석시, 비저유계수의 무시와 관측데이터의 적용구간 선택에 의한 수리전도도 예측 편차는 거의 무시할 만하며, 수평유동의 경우 분석방법상 편차가 약간 발생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