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umerical Analysis of Laterally Displacing Abutment in High Landfill Slope

고성토사면에 시공된 교대의 측방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 박민철 (국립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장서용 (전남대학교.조선대학교) ;
  • 신백철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 한희수 (국립금오공과대학교 토목공학과)
  • Published : 2012.02.01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reinforcing method and design code for the lateral behaviors of the abutment displacement induced from the rainfall infiltration on high landfill slope. First, to make the proper numerical analysis, in-situ soil (weathered granite soil) was taken, and the variance of strength parameters according to water content variance was examined by undrained direct shear test, furthermore, other soil parameters were calculated from the standard penetration test such as elastic modulus and Poisson's ratio etc,. Those parameters were used to calculate the lateral behavior of abutment by finite element method and the member force of pile in high landfill slope according to rainfall infiltration . From the results, the shoe displacement on abutment was calculated as 8.98cm, which is 3 times bigger than the allowable displacement, 3cm. To reinforce it, several reinforcing method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uch as reinforced retaining wall, soil surcharge, pile reinforcing (5m enlargement, 3-line arrangement, 5m enlargement and 3-line arrangement). In case of 5m enlarged and 3-line arrangement piles, the lateral behavior of shoe showed lower value(2.26 cm) than allowable displacement.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사면 위에 시공된 교대가 강우 침투로 측방유동이 발생되었을 경우 이로 인한 교대의 상대변위를 파악하고 적절한 보강대책 및 설계기준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성토사면의 정확한 수치해석을 위해 현장의 성토재인 화강풍화토를 채취하여 비배수 직접전단시험을 통해 함수비(포화도)변화에 따른 강도정수의 변화를 파악하고 표준관입시험 결과를 토대로 탄성계수와 포아송비 등의 지반정수를 산정하였다. 이후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강우 시 교대 교좌부의 측방유동, 말뚝기초의 부재력을 산정하였다. 산정 결과, 교대 교좌부의 측방변위는 8.98cm로 허용변위량 3.0cm보다 약 3배 정도 크게 산정되었다. 측방유동의 보강대책으로 보강토옹벽, 압성토, 말뚝 기초 자체보강(길이 5m 연장보강, 3열 보강, 3열 5m 연장보강) 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말뚝기초를 보강 (3열 5m 연장보강) 하였을 경우 측방유동으로 인한 교대 교좌부의 상대변위는 2.26cm로 허용변위량보다 적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6), 건설공사비탈면 설계기준,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구미서관, pp. 101-138.
  2. 국토해양부(2008), 국도건설공사 설계실무요령, 국토해양부, pp. 241-244.
  3. 국토해양부(2009), 구조물 기초 설계기준 해설, (사)한국지반공학회, 구미서관, pp. 293-408.
  4. 이정식, 한희수, 장진욱, 양남용(2010), 사면의 전단강도와 강우강도와의 상관관계,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Vol. 11, No. 2, pp. 13-21.
  5. 신균남(2008), 현장 사례를 통한 교대의 측방유동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pp. 7-35.
  6. 홍원표, 송영석, 신도순, 손규만(2001), 측방유동 연약지반상교대의 안정성,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Vol. 17, No. 4, pp. 199-208.
  7. 한국도로공사(2005), 88올림픽 고속도로(담양-성산간) 건설공사 실시설계 토질조사보고서, 한국도로공사, pp. 243-302.
  8. 한국지반공학회(2008), 지반공학시리즈 3편 - 굴착 및 흙막이 공법, 구미서관, pp. 293-408.
  9. Bowles, J. E.(1996), Foundation Analysis and Design, 5th ed., McGraw-Hill, New York, pp. 121-127.
  10. CGS(1978), Canadian Foundation Engineering Manual, Canadian Geotech. Society, Montreal, pp. 209-214.
  11. Das, B. M.(1984), Principles of Geotechnical Engineering, PWS Publishing, Boston, pp. 199-200.
  12. De beer, E. E.(1977), Piles Subjected to Static Lateral Loads, Proc.,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Tokyo, pp. 1-14.
  13. Kulhawy, F. H., Trautmann, C. H. Beech, J. F. O'Rourke, T. D., McGuire, W.(1983), Transmission line Structure Foundations for Uplift-compr. loading, Report EL-2870,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Palo Alto, California, p. 412
  14. Peck, R. B.(1969), Deep Excavations and Tunneling in Soft Ground, Proc., 7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 Engineering, Mexico, pp. 225-290.
  15. Tschebotarioff, G. P.(1973), Foundations, Retaining and Earth Structures 2nd ED., McGraw-Hill, New York, pp. 365-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