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content ratio

검색결과 1,920건 처리시간 0.037초

약용열매 혼합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inal fruit mixture)

  • 구율리;박혜미;정유석;정희경;윤정현;홍주헌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67-2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다고 알려져 있는 약용열매인 산수유, 오미자, 복분자 및 구기자 4종의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혼합비율별로 추출한 열수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약용열매 혼합비율에 따른 열수 추출물의 pH는 3.22~3.52로 산성을 나타내었으며, 당도는 M3이 $3.20^{\circ}Brix$로 다른 시료에 비해 낮았고 산도는 3.60~5.85%으로 오미자 혼합비율이 높은 구간에서 5.8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추출수율은 M2, M1, MS, M4 및 M3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4.54 및 5.65 g/100 g으로 복분자 혼합비율이 높은 추출물인 M3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DPPH 및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M3이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25.80~86.09% 및 33.43~90.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FRAP 및 환원력은 M3가 $250{\sim}1,000{\mu}g/mL$ 농도에서 각각 $0.36{\sim}0.86{\mu}M$ 및 0.21~0.96으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모든 혼합 열수 추출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 퇴적층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부정합 (Late Pleistocene Unconformity in Tidal-Flat Deposit of Gyeonggi Bay, Western Coast of Korea)

  • 정회수;유해수;서정모;팽우현;임동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8호
    • /
    • pp.657-667
    • /
    • 2003
  • 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의 부정합적 경계면을 조사하기 위하여 한국 서해 경기만 조간대에서 심부시추와 탄성파 탐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된 모든 시추 퇴적물에서 현세 퇴적층(Unit I) 하부에 놓이는 최대 4m두께의 산화되고, 반고화된 특징을 보이는 황갈색의 산화대층(oxidized-sedimentary layer)이 발견되었다. 이 세립질의 산화대층에서 나타나는 황갈색의 퇴적물 색, 높은 N 값과 낮은 함수율의 준고화된 상태, 동토구조, 스멕타이트 광물의 부재 그리고 높은 퇴적물 화학적 풍화지수(Ba/Sr 비) 등의 다양한 특성은 퇴적물의 대기중 노출과 풍화의 중요한 증거로 제시된다. 탄소동위원소 연대와 함께 이러한 여러 증거들을 고려할 때, Unit II의 상부 산화대층은 초기 현세까지 계속되는 저해수면 동안 대기중에 노출되어 풍화 및 산화작용으로 인하여 퇴적물의 특성이 변질되어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산화대층의 상부 경계면은 현세와 선현세(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을 구분하는 부정합면으로 제시되며, 탄성파 자료에서 나타나는 강한 반사면(prominent near-surface reflector)과 잘 일치한다.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 해석 (Determination of Degree of Hydration, Temperature and Moisture Distributions in Early-age Concrete)

  • 차수원;오병환;이형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813-822
    • /
    • 2002
  • 본 연구에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단면 내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를 구하는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수화도에 따른 재료 모델을 제시하고, 수치해석 절차에 관하여 정립하였다. 재료물성이 급격히 변화하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거동을 모사하는 과정에서 온도 및 습도에 관련된 재료 물성이 수화도에 따라 결정하였다. 또한 수분거동 연구는 경화한(mature) 콘크리트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자에 의해 수행되었지만,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전달계수, 수분용량에 관한 연구는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통콘크리트에서 무시되는 수분감소항은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의 자기건조(self-desiccation)와 관련된 자기수축(autogenous shrinkage)을 유발하고, 이는 구조물의 장기 내구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중요한 관심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온도 및 수축에 의한 응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고강도 및 고성능 콘크리트를 포함한 초기재령 콘크리트의 온도 및 수분거동을 적절히 표현하는 수학적 재료 모델을 제시하고, 콘크리트의 단면 내 수화도와 온도 및 습도분포를 결정하는 3차원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한 수치해석 결과는 실험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보릿가루가 첨가된 침엽수 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 (Cultivation of Cauliflower Mushroom (Sparassis crispa) Using Coniferous Sawdust-based Media with Barley Flours)

  • 박현;이봉훈;오득실;가강현;박원철;이학주
    • 임산에너지
    • /
    • 24권2호
    • /
    • pp.31-36
    • /
    • 2005
  • 꽃송이버섯은 $1,3-{\beta}-D-glucan$의 함량이 다른 버섯에 비하여 훨씬 높은 식용버섯이다. 이 버섯은 항암 및 면역증강 효과가 큰 식용버섯으로 알려지면서 최근에는 일본과 한국에서 재배하고 있다. 하지만, 쉽게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지지 않고 일부 기업이 특허권의 범주 내에서 재배를 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간단한 공정으로 꽃송이 버섯을 재배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다. 낙엽송, 소나무, 잣나무의 톱밥을 이용하여 보릿가루와 설탕을 80:20:3의 중량 비율로 섞은 후 수분함량을 65% 내외로 맞춘 병배지에서 꽃송이버섯을 생산할 수 있었다. 톱밥 종류 및 균주에 따라서 자실체 생산성은 다르게 나타났는데 650g의 배지에서 최고 177g(수율 27%)를 수확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용적인 꽃송이버섯 재배방법으로 이 배지를 적극 추천한다. 단,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보릿가루의 적정 농도와 톱밥종류에 맞는 균주의 선발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 PDF

사료내 다시마(Laminaria japonica) 첨가에 따른 감성돔(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장, 체조성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조성환;민병희;이진영;이상윤;김하나;안신홍;나경석;김동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59-564
    • /
    • 201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effects of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on growth, body composition and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Juvenile fish (N=810; average mass=8.9 g) were distributed among twenty-seven 200 L flow-through tanks (30 fish per tank). Nine experimental diets were prepared: control (Con) without additives; sea tangle powder at 0.1%, 0.5%, 1%, 2%, 3% and 5%, (P-0.1, P-0.5, P-1, P-3 and P-5 diets, respectively); and fresh sea tangle (F-1); and 1% sea tangle extract (E-1). Each powdered additive was substituted for an eqaul amount of wheat flour, and the extract was substituted for an equal amount of water in the respective experiemtnal diets. Each diet was fed to triplicate groups of fish. Weight gain and feed conversion ratio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Feed consumption by fish fed the P-1 diet was higher than that of fish fed the P-3 and P-5 diets.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lipid, whole-body ash content (excluding the liver), liver moisture, and crude protein and lipid contents of fish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None of the fish plasma criteria were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with the exception of plasma glucose. In conclusion, dietary inclusion of various concentrations and sources of sea tangl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growth, feed efficiency, body composition or plasma chemistry of juvenile black porgy.

칡전분 첨가국수의 제면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Dried Noodle Products made from Composite Flours utilizing Arrowroot Starch)

  • 이영순;임나영;이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81-688
    • /
    • 2000
  • 칡 전분을 이용한 국수제조의 최적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칡 전분의 첨가량을 달리한 제면 특성에 대하여 기계적 검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밀가루와 칡 전분의 수분결합능력과 용해도 및 팽윤력을 측정한 결과 칡 전분이 밀가루에 비해 수분결합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용해도 및 팽윤력은 칡 전분이 온도의상승에 따른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2. 호화개시온도는 칡 전분의 첨가로 인한 영향이 없었으나, 최고점도와 95$^{\circ}C$에서의 점도, 95$^{\circ}C$에서 15분방치 후의 점도는 표준면(S$_{0}$)보다 칡 전분이 많이 첨가 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칡 전분을 첨가한 면의 중량과 부피는 칡 전분이 많이 함유한 것일수록 증가하였지만, 삶은 국물 탁도는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기계적 측정에서는 칡 전분 2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2}$)는 표준면(S$_{2}$)보다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등이 높게 나타났으나, adhesivenes의 경우는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칡 전분을 첨가한 국수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건조된 면에 비해 조리면의 L값과 b값은 낮게 나타났으며, a값과 $\Delta$E값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건조면과 조리면 모두 칡 전분을 많이 함유할수록 칡 전분의 갈색으로 인하여 L값과 b값은 감소하는 반면 a값과 $\Delta$E값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칡 전분의 첨가량에 따른 국수의 관능검사에서 칡 전분 1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1}$)이 기호도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칡 전분 2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2}$)도 칡 전분 1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1}$)과 비슷한 점수를 얻어 양호한 결과로 나타났으나, 칡 전분 3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3}$)및 칡 전분 40% 첨가하여 조제한 면(S$_{4}$)의 경우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칡 국수 조제 시, 칡 전분 10% 첨가군(S$_{1}$)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송이버섯 재배시 자주식 배지교반기 활용 배지의 특성 및 수량성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under a self-propelled compost turner in button mushroom cultivation)

  • 이찬중;유병기;박혜성;이은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4-279
    • /
    • 2020
  • 본 실험은 농가 관행인 굴삭기 뒤집기와 자주식교반기를 이용한 뒤집기 비교 시험을 통해 발효단계별 배지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야외발효배지의 온도는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뒤집기 후 온도 상승이 빨라지는 경향을 보였다. 후발효배지의 온도는 농가관행인 굴삭기 처리구에서 온도가 높게 유지되면서 후발효과 진행되었다. 야외발효 단계에서 배지에는 고온성 세균 (Bacillus spp.), 방선균, 형광성 Pseudomonas 속, 사상균 등 다양한 미생물들이 분포하였고, 특히 배지발효 과정에서 배지의 분해와 발열에 관여하는 호기성 세균의 밀도는 자주식교반기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고, 고온성 발효과정 중 푸른곰팡이균과 중온성 방선균은 생육이 억제되거나 사멸되는 양상을 보였다. 유기물을 분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고온성 방선균은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농가관행보다 높은 밀도를 보였다. 처리별 볏짚의 길이는 자주식교반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조금 짧았고, 수분함량은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와 EC는 처리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a, b값은 자주식교반기에 의한 뒤집기가 진행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발효 단계별 배지의 CN율을 조사한 결과 농가관행인 굴삭기의 경우 23.1에서 시작하여 5차 뒤집기에서는 16.2까지 낮아 졌고, 자주식교반기의 경우 23.3에서 16.9로 낮아 졌다. 따라서 처리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처리별 수확량을 조사한 결과 1주기에서는 자주식교반기 처리에서 20%의 증수효과가 있었고, 2주기에서는 28%, 3주기에서는 26%의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전체적으로 23%의 수량 증대효과가 있었다.

Effects of Feeding Purple Rice (Oryza sativa L. Var. Glutinosa) on the Quality of Pork and Pork Products

  • Jaturasitha, Sanchai;Ratanapradit, Punnares;Piawong, Witapong;Kreuzer, Michae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4호
    • /
    • pp.555-563
    • /
    • 2016
  • Purple rice is a strain of glutaneous rice rich in anthocyanins and ${\gamma}$-oryzanol. Both types of compounds are involved in antioxidant and lipid metabolism of mammals. Three experimental diet types were used which consisted approximately by half either of purple rice, white rice or corn. Diets were fed to $3{\times}10$ pigs growing from about 30 to 100 kg. Meat samples were investigated either as raw or cured loin chops or as smoked bacon produced from the belly. Various physicochemical traits were assessed and data were evaluated by analysis of variance. Traits describing water-holding capacity (drip, thaw, and cooking losses) and tenderness (sensory grading, shear force) of the meat were mostly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diet type. However, purple rice feeding of pigs resulted in lower fat and cholesterol contents of loin and smoked bacon compared to white rice, but not compared to corn feeding except of the fat content of the loin. The shelf life of the raw loin chops was improved by purple rice as well. In detail, the occurrence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fter 9 days of chilled storage was three to four times higher in the white rice and corn diets than with purple rice. The n-6:n-3 ratio in the raw loin chops was 9:1 with purple rice and clearly higher with 12:1 with the other diets, meat lipids. Level and kind of effect of purple rice found in raw meat was not always recovered in the cured loin chops and the smoked bacon. Still the impression of flavor and col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were best in the smoked bacon from the purple-rice fed pigs, whereas this effect did not occur in the cured loin cho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urple rice has a certain, useful, bioactivity in pigs concerning meat quality, but some of these effects are of low practical relevance. Further studies have to show ways how transiency and low recovery in meat products of some of the effects can be counteracted.

Use of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as Feed Ingredients for Growing Male Goats

  • Nagamine, Itsuki;Sunagawa, Katsunori;Kina, Taka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9호
    • /
    • pp.1262-1275
    • /
    • 2013
  • Awamori is produced by fermenting steamed indica rice. Awamori-pressed lees is a by-product of the Awamori production process. Tofu lees is a by-product of the Tofu production process. Research was conducted to test if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can be used as a mixed feed ingredient for raising male goats. Eighteen male kid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six animals (control feed group (CFG), Awamori-pressed lees mixed feed group (AMFG), Tofu lees mixed feed group (TMFG)). The CFG used feed containing 20% soybean meal as the main protein source, while the AMFG and TMFG used feed mixed with 20% dried Awamori-pressed lees or dried Tofu lees. The groups were fed mixed feed (volume to provide 100 g/d increase in body weight) and alfalfa hay cubes (2.0 kg/d) twice a day (10:00, 16:00). Klein grass hay and water was given ad libitum. Hay intake was measured at 10:00 and 16:00. Body weight and size measurements were taken once a month.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a blood sample was drawn from the jugular vein of each animal and the carcass characteristics, the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loin were analyzed. DCP and TDN intakes in AMFG and TMFG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CFG. Cumulative measurements of growth in body weight and size over the 10 mo period in the AMFG and TMFG were similar to the CFG. Blood parameter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in normal goats. Dressing carcass weight and percentages, and total weight of meat in the AMFG were similar to that in the CFG, but smaller in the TMFG. The compressed meat juice ratio was higher in both the TMFG and AMFG than the CFG. While the fat in corn,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contains more than 50% linoleic acid, the loin fat in both the AMFG and TMFG was very low in linoleic acid due to the increase in the content of oleic acid, stearic acid, and palmitic acid. This indicates that feeding on AMF and TMF does not inhibit hydrogenation by ruminal microorganisms. As in the CFG, the total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in the loin of the AMFG and TMFG were well balanced. Compared to the CFG, the AMFG and TMFG were high in taurine and carnosine. The results indicate dried Awamori-pressed lees and Tofu lees can be used as a feed ingredient for raising male goats.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Noodle Quality Made from Hovenia dulcis Composite Flour)

  • 최숙;박금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10호
    • /
    • pp.1586-1592
    • /
    • 2005
  • 숙취해소, 알콜성 간질환예방, 간의 해독작용 기능을 지닌 헛개나무 열매를 첨가한 국수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다.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17종의 아미노산이 검출되었으며, leucine이 가장 높았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지미성분인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는 대조군보다 헛개나무 열매 분말 첨가군의 함량이 더 높았다. 조리국수의 중량(p < .001)과 부피 (p < .01), 수분흡수율(p < .001)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낮았고, 탁도는 높았다(p < .001). 색도는 명도 L값은 대조군이 7.62로 가장 높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5$\%$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기계적 검사의 texture는 경도(p < 0.05), 응집 성 (p < 0.05), 껌성과 파쇄성 (p < 0.001)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탄력성은 1$\%$ 첨가군이 85.03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현미경의 미세구조 관찰은 헛개나무 열매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전분입자들의 조직이 느슨해지고 입자들이 커지면서 형태가 부드러워지는 양상을 보였다. 관능검사의 색상과 허브향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의 함량이 높을수록 진하다고 평가하였으며 표면의 매끄러운 정도는 3$\%$ 첨가군이 가장 매끄럽다고 평가하였다(p < 0.01). 단맛과 구수한 맛은 헛개나무 열매 분말을 첨가할수록 높아 시료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 < 0.05, p < 0.001). 맛의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이 가장 높고, 대조군이 가장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헛개나무 열매 분말 3$\%$ 첨가군에서 가장 좋았다(P < 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