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검색결과 1,280건 처리시간 0.035초

지형공간정보체계를 이용한 수문정보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ydrological Information Management by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 유복모;장지원;한순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5-42
    • /
    • 1994
  • 본 연구는 수문자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각종 수문정보를 통합관리하기 위한 수문 정보관리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한강을 중심으로 하여 수위자료와 댐 등의 수중구조물에 대한 위치정보를 입력하여 수문정보관리체계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수치 또는 문자의 형태로 관리하고 있는 자료기반관리 체계(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를 지형공간정보체계(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GSIS)와 연결하여 위치 정보와 수치 정보를 연결하고, 도해적인 기법으로 수문학적인 정보를 해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 수치 또는 문자의 형태로만 수문정보를 관리할 경우에 발생하는 위치적인 오류를 검색해 낼 수 있었고, 수문정보중 수위에 관련된 자료의 신뢰성을 판단하고 자료를 보완하기 위한 산출의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수문정보관리체계의 구축이 가능하였다.

  • PDF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시스템 개발 연구 (관정분석 프로그램, 지하수모델링 연계프로그램) (Development study of 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 making use of GIS ( Well analysis program, connection program of ground water modeling ))

  • 이병호;김양빈;설민구;송양권;송무영
    • 대한지질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질공학회 2002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235-248
    • /
    • 2002
  • 지하수개발 기술의 발전과 생활여건 개선으로 지하수의 사용이 증가되면서 지하수에 대한 관리상 어려움과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다. 지하수관리체계의 부실, 관리 인원의 부족, 무분별한 개발 등으로 지하수 오염 및 수량부족 현상이 가중되고 있고, 또한 지하수관 정의 관리가 어려워 지역적인 과잉개발이나 폐공이 방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GIS를 이용한 지하수관리의 시스템구축 모델을 제시하고, 지하수관리시스템에 필요한 분석기능 및 지하수관리 방법을 구현하여 효율적인 지하수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하수개발의 위치정보를 기록하고 개발자료와 현장조사자료 등의 여러 자료를 D/B화 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을 이용한 선구조 분석 자료와 수리시험 자료, 수질조사 자료 등을 활용하여 지역별 특성 값을 주제도로 작성하였고, 이러한 자료들을 활용하여 지하수 모델링 기초자료를 자동 생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규 지하수개발 위치에 대하여 주변의 지하수개발현황 및 오염원 현황, 선구조의 발달, 오염취약성도(DRASTIC), 수질조사 등의 자료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하수관리시스템은 이러한 기능들을 이용하여 지하수개발 적지선정이 가능하다.

  • PDF

영산강·섬진강 수계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유역관리 시스템 구축 (Establishment of Watershed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 정희정;정재운;김갑순;박하나;임병진;허유정;이준배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00-204
    • /
    • 2012
  • BACKGROUND: Recently, the project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preservation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was actively promoted. However, the publicity for many results of the project is not actively done, thus they are rarely used. Furthermore, there are not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e projects preformed by other research institutions. Therefore, the watershed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is needed in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CONCLUSION: Firstly, establishment of the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management research center, Secondly, construciton of wed-based water management research network. These results will serve as a basic data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 동파위험 정보서비스 개발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ig data-based AI water meter freeze and burst risk information service)

  • 이진욱;김성훈;이민재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42-51
    • /
    • 2023
  • 겨울철 동파는 물사용 불가, 2차 피해 및 계량기 교체비용 발생 등 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키고 있다. 정부에서는 지방상수도 시설의 현대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나 전국적으로 SWM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가의 최접점에 설치되는 스마트 미터링에 착안하여 기존의 대기온도가 아닌 계량기 함내 온도를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동파위험 알림 정보서비스를 계획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으로 설치된 스마트미터의 수량적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온도센서로부터 취득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물리적인 온도센서가 없는 지역의 온도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온도예측 모델을 개발하였고, 최적화 과정을 통해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동파위험 정보서비스(안)을 구상하였다.

Research on Managing Underground Facilities for an Intelligent City

  • Kim, Jung-Hoon;Lee, Jae-Yong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421-439
    • /
    • 2008
  •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7대 시설물의 주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지하 환경에 적합한 센서 네트워크(USN: Ubiquitous Sensor Network)를 개발하여 지하시설물의 모니터링 및 긴급처리와 통합관리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지능형 도시지하시설물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국토연구원을 포함한 5개의 기관이 공동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하였다. 총 6차년 도에 걸쳐 UFSN(Underground Facility Sensor Network) 기반의 지능형 관리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우선 $1{\sim}2$차년 도에는 상하수도에 초점을 두고 지하시설물 관리체계 구축기반기술 연구에 중점을 두었다. 국토연구원에서는 지하시설물 통합관리 기술개발을 위해 기존 상하수도 단위 업무시스템 연계방안을 연구하였고 모니터링 기술개발을 위해서 상하수도 모니터링 항목을 도출하였으며 신규/기설 지하시설물별 센서 설치방안에 대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국토연구원에서 수행한 $1{\sim}2$차년 도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 PDF

관개용 저수지 운영을 위한 Web 기반 정보시스템 개발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 for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s)

  • 서춘석;박승우;강문성;강민구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81-86
    • /
    • 1999
  • A Web-based information system from the Korea Agricultural Water Use Laboratory AWUL, has been developed to provide with regional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and guidance for the operations of irrigation reservoirs through the World Wide Web(WWW). Twenty-six reservoirs are selected as the reference reservoirs for regional water management , and the real-time operation guide may be issued the grwoing seasons. The information available from the system includes the wether forecasting , drought analyses, and reservoir operation data for those reference sites. For a specific reservoir, the manager may access the system to obtain the water requriement, irrigation secheduling , and reservoir operations that fit best to the irrigation district.

  • PDF

수문학적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실적자료 기반 물순환 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water circulation model based on quasi-realtime hydrological data for drought monitoring)

  • 김진영;김진국;김장경;전근일;강신욱;이정주;남우성;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8호
    • /
    • pp.569-582
    • /
    • 2020
  • 최근 우리나라는 도시화로 인해 수자원이용 환경이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으며, 이로 인해 유출현상을 정량적으로 규명하여 가용수자원을 최적배분 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하여 국가물관리계획,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 등이 제안되고 있으며, 효율적인 수자원 운영 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정확하며 상세한 물수지 분석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수행되는 물수지 분석은 유역의 물순환 상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이러한 결과는 의사결정 측면에서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을 공간적으로 상세화하여 하천을 네트워크 형태로 재구성, 실적기반 자료를 반영한 물순환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하천을 중심으로 모니터링 지점의 유량정보가 준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순환 모델은 기존 물수지 분석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계측유역을 대상으로 모형의 적합성을 평가한 결과 특히 저유량 부분에서 기존 모형에 비해 크게 개선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물순환 모델은 보다 정확한 자연유량 보정기법 적용과 유역 내 상세화된 유역네트워크를 통해 유량정보를 준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가뭄 모니터링 및 가뭄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수도시설물의 유지관리를 위한 BIM모델 개발 및 BIM 데이터 관리방안 (Development of BIM models and management of BIM data for waterworks maintenance)

  • 박재현;이현동;곽필재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69-679
    • /
    • 2014
  • 3D-based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echnologies can be utilized effectively as a means of systematic management of facility information for safety assurance and effective maintenance of waterworks facilities. In this study, BIM models of water treatment facilities tha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BIM-based maintenance of waterworks facilities were developed. Information exchange and generality of the developed BIM models were evaluated by conducting interoperability analysis of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conversion models. In addition, the application of COBie(Construction Operations Building information exchange) was recommended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to deal with technical limitation regarding exchange and utilization of facilities-related information through current IFC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BIM-based maintenance system for waterworks facilities.

Opportunities for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Interventions in the Krishna Western Delta - A case from Andhra Pradesh, India

  • Kumar, K. Nirmal Ravi
    • Agribusiness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제9권1호
    • /
    • pp.7-17
    • /
    • 2017
  •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has gained enormous attention in the developing world to alleviate poverty, reduce hunger and conserve ecosystems in small-scale production systems of resource-poor farmers. The story of food security in the $21^{st}$ century in India is likely t o be closely linked to the story of water security. Today, the water resource is under severe threat. The past experiences in India in general and in Andhra Pradesh in particular, indicated inappropriate management of irrigation has led to severe problems like excessive water depletion, reduction in water quality, water logging, salinization, marked reduction in the annual discharge of some of the rivers, lowering of ground water tables due to pumping at unsustainable rates, intrusion of salt water in some coastal areas etc.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rrigation water resource efficiency, Krishna Western Delta (KWD) of Andhra Pradesh was purposively selected for this in depth study, as the farming community in this area are severely affected due to severe soil salinity and water logging problems and hence, adoption of different water saving crop production technologies deserve special mention. It is quite disappointing that, canals, tube wells and filter points and other wells could not contribute much to the irrigated area in KWD. Due to less contribution from these sources, the net area irrigated also showed declining growth at a rate of -6.15 per cent. Regarding paddy production, both SRI and semi-dry cultivation technologies involves less irrigation cost (Rs. 2475.21/ha and Rs. 3248.15/ha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ransplanted technology (Rs. 4321.58/ha). The share of irrigation cost in Total Operational Cost (TOC) was highest for transplanted technology of paddy (11.06%) followed by semi-dry technology (10.85%) and SRI technology (6.21%). The increased yield and declined cost of cultivation of paddy in SRI and semi-dry production technologies respectively we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low cost of production of paddy in SRI (Rs. 495.22/qtl) and semi-dry (Rs. 532.81/qtl) technologies over transplanted technology (Rs. 574.93/qtl). This clearly indicates that, by less water usage, paddy returns can be boosted by adopting SRI and semi-dry production technologies. Both the system-level and field-level interventions should be addressed to solve the issues/problems of water management. The enabling environment, institutional roles and functions and management instruments are posing favourable picture for executing the water management interventions in the State of Andhra Pradesh in general and in KWD in particular. This facilitates the farming community to harvest good crop per unit of water resource used in the production programme. To achieve better results, the Farmers' Organizations, Water Users Associations, Department of Irrigation etc., will have to aim at improving productivity per unit of water drop used and this must be supported through system-wide enhancement of water delivery systems and decision support tools to assist farmers in optimizing the allocation of limited water among crops, selection of crops based on farming situations, and adoption of appropriate alternative crops in drought ye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