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Leakage Prevention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3초

공동주택 외부 석재마감에 따른 창호주위 누수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in the Water Leakage Prevention around the Windows with the Stone Materials in the Apartment House)

  • 윤홍중;조태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논문집
    • /
    • pp.117-121
    • /
    • 2006
  •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effective methods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around the windows in stone works to up-grade the outdoor public space that has been taken much portion of apartment housing tren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as selected among the domestic subcontractors of stone works. There are four methods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around the windows; Firstly, the painting water-proof method after the masonry. Secondly, the urethane water-proof method after galvanizing panels on the gap. Thirdly, the separation method between stone and substructure and the last one is water-proof method that they put some water-proof screen between stone and substructure with the EPDM sheet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ater-proof effects, constructability and planning, we could approach to conclusion that the most influent items to the water-leakage are the filling material's deformation, the state of oxygenation and deterioration of work skill. Among the water-proof methods in construction the EPDM sheet is most excellent water-proof method to meet the technical conditions. However, we have to apply it to stone works as a water-proof method for the decrease of the leakage defects after standardizing the materials, test and construction skill because there are many work skills according the subcontractors.

  • PDF

교육시설물 누수방지 Check List 제안에 관한 연구 - 공법, 공간, 단계를 중심으로 - (A Check List Development for Water Leakage Prevention in Educational Facility)

  • 김송화;김재온;손재호;이승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46-550
    • /
    • 2008
  • 교육시설물 공사에는 중견 건설업체들의 참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전문 인력 부족, 시공경험부족과 노하우 부족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하지 못하고 있다. 건축공사에서 발생하는 하자사례 중 많은 부분이 누수에 의한 것이며, 누수방지는 설계, 시공, 그리고 유지보수에 있어 세심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시설물의 누수 사례를 살펴보고 교육시설물의 공법별, 공간별, 부위별, 단계별(설계, 시공, 관리) 계획 시 고려 해야하는 요인의 분류체계를 구축하여 누수방지 Check List를 작성하도록 한다.

  • PDF

산소주입 수처리 발전소용 급수펌프 밀봉장치의 누설방지 (Leakage Prevention of Mechanical Seal in a Feed Water Pumpof Power Plant with Oxygen Water Treatment)

  • 신정국;문승재;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7권1호
    • /
    • pp.56-63
    • /
    • 2011
  • The identifying cause of leakage problems on mechanical seal in a feed water pump of power plant have been difficult because of technical limits of domestic mechanical seal manufacturer and the various conditions of power plants. This paper can get a conclus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study and experiment test of mechanical seal characteristics of feed water pump depending on oxygen treatment as follows. The oxygen treatment increase dissolved oxygen and cause a corrosion on the mechanical seal stationary ring composed of antimony as well as leakage problems. For solving leakage problems of seal, to eliminate dissolved oxygen in the cooling water of seal with hydrazine injection can prevent leakage problems of mechanical seal in feed water pump.

  • PDF

공동주택 지하 구조물의 누수 예방 및 유지보수를 위한 표준 매뉴얼 - Part 1. 유지관리 계획 및 점검 - (Standard Manual for Preventing and Maintaining Leakage of Underground Structures in Apartment Houses - Part 1. Maintenance Plan and Inspection -)

  • 김수연;이정훈;이승진;장덕배;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7-238
    • /
    • 2019
  • As part of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to improve the living performance closely related with lifestyle to Realize the Housing Welfare, the standard manual for the prevention and maintenance of water leaks in the underground structures of apartment buildings consists of Part 1 and Part 2. This study further covered the maintenance plan and inspection carried out in Part 1.

  • PDF

염수 및 분진에 의한 고분자 절연물의 표면누설전류 특성과 사고 위험성 (The Accident Hazards and Properties of the Surface Leakage Current on the Polymer Insulation caused by Salt-water and Dust)

  • 김영석;송길목;정진수;정종욱;김선구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129-135
    • /
    • 2007
  • 환경오염이 심한 분진 발생지역에서는 전기 사고가 자주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설비에 대한 유지관리와 예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외부에 전기절연물이 장기간 노출되면, 쉽게 분진이 축적되고 수분, 습기 등에 의한 누설전류의 발생으로 전기사고에 이르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진, 염수 등에 의한 전기설비 절연재료 표면변화와 표면 누설전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로부터 베이클라이트의 표면이 다른 재료보다 염수에 대한 영향이 심하였다. 또한 베이클라이트 표면 누설전류는 반복되는 염수 오염에 의해 증가하고 재료표면은 미소아크가 발생하고 탄화되었다. 따라서 절연물에서의 누설전류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형태 및 표면 코팅 등이 변화가 필요하다.

취약대가 존재하는 제방의 누수 탐지를 위한 전기비저항 탐사의 적용성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to Detect the Leakage of Embankment with Weak Zone)

  • 박삼규;김재홍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5-13
    • /
    • 2013
  • 댐 및 저수지 제방의 누수현상은 통관 주변에서 주로 일어나며 평상 시에는 제방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호우나 장마철과 같이 저수지 수위가 상승하면 제방의 붕괴 위험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러한 수맥과 경로를 조사하는 것은 재해 예방과 제방 관리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적인 방법과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통관이 취약대로 작용하는 댐 및 제방에서의 누수현상을 분석하였다. 누수탐지에는 전기비저항 탐사를 사용하여 그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수치해석의 결과에서는 취약대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전극 간격의 설정이 중요함을 보여주었고, 모형제방의 누수실험에서는 전극간격을 0.3m로 쌍극자 배열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누수현상의 분석을 통하여 댐 및 제방시설물의 누수탐지에 전기 비저항 탐사가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화재전류(IGR) 경보 기능이 내장된 누전경보차단기의 개발 및 안전성 평가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Safety Evaluation of Earth Leakage Alarm Breaker Equipped with Fire Current (IGR) Alarming Function)

  • 고완수;최충석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43-4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누전경보 기능이 내장된 누전경보차단기(JER-E2S, ETECKOREA Co., Korea)를 개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개발된 누전경보차단기는 단상 220 V 전용으로 정격전류는 32 A, 20 A, 20 A(화장실용), 16 A 등이다. JER-E2S는 기존 누전차단기(ELB)의 특성을 모두 만족하고 있으며, 13 ± 2 mA의 저항성누설전류(Igr)인 화재전류가 전선로에 흐르면 실시간 검출하여 LED 램프로 위험 상태를 점멸할 수 있는 제품이다. 개발된 누전경보차단기는 LED 램프 및 통신기기 등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용량성누설전류(Igc)에 대한 내성이 있어서 안정적인 전기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누전경보차단기는 순간지락 정전보호 기능이 있어서 작은 물방울 및 나뭇잎 등의 순간지락에 따른 차단기의 오동작 없이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그리고 개발된 누전경보차단기의 대기전력은 0.1 W 이하로 기존 ELB에 비해 절전 성능이 3~8배 우수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일반 120 ㎡의 아파트 1 세대에 10개 정도의 누전경보차단기가 설치되었을 때 1 개월에 2~5 kWh의 전기를 절감할 수 있다. 개발된 누전경보차단기는 기존 누전차단기의 특성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전기화재 예방기능 및 오동작 방지기능이 있어서 전원 품질이 우수하고, 전기화재 예방에 혁신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제품이다.

지온탐사에 의한 저수지 제방의 누수 조사 (Delineation of water seepage in a reservoir embankment from ground temperature measurements)

  • 박삼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69-175
    • /
    • 1999
  •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usually occurs through water vein, which gives little influence on the embankment in a normal state. However, the embankment can be destroyed when the water level of reservoir increases with heavy rain in summer. Investigating the water vein and its path is therefore very important from the viewpoint of disater prevention and embankment protection. This paper presents survey results of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 and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in an embankment in Japan to delineate water veins and permeable formations. Four water veins have been predicted in the embankment by comparing measured one-meter-depth ground temperatures with the background ones which have no effect of water vein. The multi-point temperature logging was carried out in the borehole drilled at one of the predicted water veins. Depth and thickness of the permeable formation in the borehole can be determined from temperature restoration ratios with elapsed time. From these results we can find that the water leakage of reservoir embankment mainly occurs in sandy soil formation in the embankment.

  • PDF

상수도 관망의 유수율 제고 기술의 적용 및 분석 (Technical Application and Analysis for Reduction of Water Los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 김주환;이두진;배철호;우형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260-266
    • /
    • 2009
  • 본 연구는 지방상수도 배급수 관망의 유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량관리를 위한 블록시스템 구축을 통한 구역화 계량, 누수의 정량화를 위한 야간최소유량 측정을 통한 누수평가지표 및 국제 누수지수ILI(Infrastructure Leakage Index)의 도입, 압력제어를 통한 누수저감 효과분석, 장기적인 계획수립을 위하여 노후수도관의 잔존수명 예측 등 누수를 평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제안하였다. N시 야간최소유량 측정을 통하여 주거지역과 상업지역에서 정량적인 누수평가지표로 관길이당, 급수전당의 허용기준누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는 관망정비가 완료된 주거, 상업지역을 각각 대상으로 UK water industry에서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실측을 통한 야간최소유량을 분석함으로써 유수율을 대신할 수 있는 허용누수량 산정식을 개발하였다. 압력제어를 통한 누수저감효과는 감압변의 설치를 통하여 수행되는데, 사천시 우티 배수구역을 대상으로 압력관리 구역을 4개로 분할하고 감압밸브 3개소, 가압펌프 1개소를 설치하여 압력을 조절한 결과 약 $466\;m^3/day$의 누수를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나 압력관리를 통하여 연간 113백만의 비용절감효과가 기대되었다. 노후 상수관로의 부식속도 및 잔존수명 예측 연구에서는 매설년도, 토양 또는 수질특성에 따른 관체의 부식속도를 평가함으로써 잔존두께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부식으로 인한 공식특성에 따른 잔존강도 등을 평가할 수 있는 비선형회귀 모형을 개발, 수도관의 잔존수명예측에 활용하여 장단기 노후관 개대체 계획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지방상수도의 유수율 제고 및 관망정비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누수평가 및 관리기법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