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Accidents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5초

GIS에 의한 댐 유역 수질오염사고 평가 (The Assessment of Water Pollution Accident on Dam Watershed using GIS)

  • 명광현;정종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20권4호
    • /
    • pp.489-496
    • /
    • 2011
  • The water pollution such as oil spill from stream and river because of car accidents have been frequent cases in the watershed of Dam. However we don't have any simulation methods about flow modeling on the watershed and stream tree. In this study aims to analyze water pollution accidents area on impact range for ANDONG-Dam. The focused watershed and the risk range of path analysis model was designed by GIS database. The frequency of transportation accidents which may occur from road accidents in the level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map flow analysis using ArcHydro Model and Open Geospatial Consortium(OGC) API. and the path way from the accident point to the reservoir stayed on the path was simulated. The area of risk accessment index was displayed with cell and grid of dam area.

소형선박 운용자의 냉각수 관리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Engine Coolant in Small Fishing Vessels)

  • 김영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7권6호
    • /
    • pp.1734-1744
    • /
    • 2015
  • Majority of marine accidents that occur on fishing vessels are engine accidents. This comprises more than 26 % of the total annual fishing vessel marine accident cases. Large numbers of engine accidents happen in the cooling water system, which are mostly caused by negligence on regular check-up and repair. Notably, small-sized ships have higher engine accidents occurrence rate compared to medium-and large-sized ships. Based on the Report of the Korea Ship Safety Technology Authority, engine accident cases reached 3,032 out of the total 3,081 cases. This study research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mall-sized ship pilot, an operator of a vessel engine of less than 200 tons, and a 6th level marine engineer,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forms and what causes the marine accidents in association with the cooling water system. It also studi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s in frequency of the accident occur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hi}^2$ qualification was imposed through the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and it got qualified at the significance level of 5%. The research shall be utilized as one of the base line data for the reduction of marine accidents.

Nuclear reactor vessel water level prediction during severe accidents using deep neural networks

  • Koo, Young Do;An, Ye Ji;Kim, Chang-Hwoi;Na, Man Gy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3호
    • /
    • pp.723-730
    • /
    • 2019
  • Acquiring instrumentation signals generated from nuclear power plants (NPPs) is essential to maintain nuclear reactor integrity or to mitigate an abnormal state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or severe accident circumstances. However, various safety-critical instrumentation signals from NPPs cannot be accurately measured on account of instrument degradation or failure under severe accident circumstances. Reactor vessel (RV) water level, which is an accident monitoring variable directly related to reactor cooling and prevention of core exposure, was predicted by applying a few signals to deep neural networks (DNNs) during severe accidents in NPPs. Signal data were obtained by simulating the postulated loss-of-coolant accidents at hot- and cold-legs, and steam generator tube rupture using modular accident analysis program code as actual NPP accidents rarely happen. To optimize the DNN model for RV water level prediction, a genetic algorithm was used to select the numbers of hidden layers and nodes. The proposed DNN model had a small root mean square error for RV water level prediction, and performed better than the cascaded fuzzy neural network model of the previous study. Consequently, the DNN model is considered to perform well enough to provide supporting information on the RV water level to operators.

고속도로 터널 내 화재발생 시 초기 진압용 화재진압시스템(Water-Bulwark System)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Water-Bulwark System for Early Suppression in the Event of Fire in Highway Tunnel)

  • 백충현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95-100
    • /
    • 2022
  • In general, fire accidents in tunnels are sufficiently preventable, but the damage is very large. Therefore, the number of highway traffic accidents is high in spring when spring fatigue occurs and the traffic volume for maple travel increases. In particular, when analyzing the cause of death of people killed in fire accidents in tunnels, it is analyzed that most of them are suffocated by smoke. Therefore, in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is meaningful to make a social contribution to reduce the number of traffic accident deaths by establishing an efficient fire suppression system for fire accidents in tunnels.

빅데이터 토픽모델링과 감성분석을 활용한 물공급과정에서의 수질사고 기사 분석 (Analysis of articles on water quality accidents in the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big data topic modelling and sentiment analysis)

  • 홍성진;유도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5권spc1호
    • /
    • pp.1235-124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웹 크롤링 방법을 이용한 자료수집,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국내 상수도 수질사고에 대한 전개양상 분석을 수행하였다. 상수도 시스템의 수질사고 빅데이터 뉴스의 추출을 위한 웹크롤링 기법을 적용하고 정확한 수질사고 뉴스를 획득하고자 알고리즘을 절차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대규모 수질사고의 경우 사고발생에 따른 사고인지, 사고확산, 사고대응, 사고해결 등과 같은 전개양상이 나타나므로, 각 단계에 따른 적절한 뉴스기사를 추출하고, 이에 따른 정보분석을 실시하였다. 즉, 각 단계 별 주요 키워드, 감성분석을 통한 수질사고 전개양상분석을 사례기반으로 상세히 실시하고 그 의미를 분석, 도출하였다. 제안된 방법론을 2020년 발생한 인천광역시 유충사고기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질사고와 같은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보의 공개가 제한된 상황에서 사고발생시 장기간의 피해 지속성이 있는 수질사고에 대한 뉴스 기사 언론보도의 논조 및 소비자의 긍부정도가 시간에 따라 명확히 변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공급자 입장에서의 수질사고의 전개양상은 시설물의 빠른 복구도 매우 중요하지만 소비자의 긍정도를 높이기 위한 소비자 중심의 정책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도림천에서 발생한 고립 및 실족사고의 원인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Cause Analysis and Improvement Suggestion for Flood Accident in Dorimcheon - Focused on the Tripping and Isolation Accidents)

  • 이경수;전종형;김태훈;김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5-36
    • /
    • 2021
  • 본 연구는 도림천에서 발생한 고립 및 실족과 같은 수난사고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법·제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원인분석을 위하여 현장확인, 관계자 인터뷰, 관련자료 검토, 강우량과 하천 횡단면의 수위와의 관계, 자동경보 발령 기준수위의 적정성 및 진·출입 통제에 따른 대피시간 확보 가능여부 등을 평가 하였다. 도림천은 전형적인 도시하천의 특성을 띄고 있어 치수적으로 불리하며, 사망사고가 발생한 구간은 급만곡부를 형성하고 있는 등 고립사고 발생 위험이 높다. 고립 및 실족사고는 홍수주의·경보 발령 전 단계인 둔치주의·대피 단계에서 발생하고 둔치대피 발령은 둔치턱까지 수위가 상승해서야 발령되기 때문에 있기 때문에 강우예보에 따른 수위상승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이 중요하다. 또한, 수위 상승속도가 신림3교와 관악도림교에서 최대 2.62 cm/min임을 고려하였을 때 둔치경보 발령 후 충분한 대피시간을 확보하고 있지 못하다. 사망사고는 둔치주의 발령 기준수위보다 0.46 m이하에서 발생한 점을 보았을 때, 하천의 진·출입 등 통제가 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4건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고립 및 실족과 같은 수난사고를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중소형 보일러의 안전성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enhancement of Medium and small boilers)

  • 김대룡;이근오
    • 에너지공학
    • /
    • 제22권3호
    • /
    • pp.294-301
    • /
    • 2013
  • 보일러 폭발 등의 사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결함이 높은 위험도가 있음으로 사고가 발생되는 것이다. 보일러의 사고발생은 78년도부터 06년까지 총 100건 사고에 379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그 규모가 줄지 않고 지속적이고 대형화하고 있다. 보일러 사고의 원인 결함을 분석한 결과 관리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54건으로 저수위로 인한 사고 18건 제외한 총 82건 사고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외국의 사고내용을 분석한 결과도 또한 비슷한 수치이다. 손상이나 사고원인의 대부분이 취급과 유지 보수 불량에서 기인되는 것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었다. 검사를 받은 보일러도 사고내용을 분석한 결과 자동제어장치, 안전장치 등의 취급부주의 및 관리부실에 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대형 파열사고에서는 가장 큰 원인결함은 저수위사고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수질오염사고 현황 분석과 대응 체계 (Analysis of Domestic Water Pollution Accident and Response Management)

  • 이재균;김태오;정용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29-53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4대강 수계를 중심으로 발생한 각종 수질오염사고를 분석하였고, 수질오염방제 센터에서 수행한 업무도 평가한 후, 향후 발생하게 될 수질오염사고에 대한 대응 체계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발생한 수질오염사고는 연평균 66.7건이었으나, 인명피해 사고는 없었다. 한강권역에서 89건(25.4%)으로 가장 높았으며, 낙동강권역에서 71건(20.3%), 금강권역에서 42건(12%), 영산강권역에서 28건(8%)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요 4대강을 제외한 기타 하천에서도 104건(29.7%)이 발생했다. 관리부주의로 인한 사고가 가장 높은 비율인 179건(51.1%)을 차지하였고, 기타 80건(22.7%), 자연현상 70건(19.9%) 및 교통사고 21건(5.9%) 순으로 나타났다. 방제지원 실적은 유류유출로 인한 오염사고 발생 건수가 51건으로 전체의 대부분인 45건(89%), 수환경변화로 인한 물고기 폐사 사고 5건(9%), 화학물질 유출로 인한 오염사고 건수는 1건(2%)으로 분석되었다. 수질오염사고 발생시의 대응체계를 분석한 결과, 대형사고 및 중소형사고 모두 국가 전문기관, 즉 수질오염방제센터의 역할 또는 임무에 대한 법제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국내 비상용수 확보량 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Methodology for Estimating an Emergency Water)

  • 이태국;채선하;김성수;서인석;김정현;박노석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61-372
    • /
    • 2012
  • In order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for estimating an emergency drinking water supply in Korea, overseas cases and accidents history of cutting off water supply were investigated, an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Investigating accidents history of cutting off water supply in Korea, actual cutting off times of most cases were less than 13hours. Also, cases related with water quality and facility failure have been not enough to derive useful information for estimating an emergency water. From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about 1,066 lpcd(liter per capita${\cdot}$day) as an emergency water and 14 days as tolerable outages time could be estimated.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simulation could tell us that it might take 5-16 days for pollutant matter to travel from 15 contamination points to source water intake point in the selected reservoir(D-dam). This travel time was in good accordance with the estimated tolerable outage time, 14days.

비상시 용수공급을 위한 상수도 연계관로의 수리적 적정성 평가 (Hydraulic Adequacy of Connection Pipes in Water Supply Systems for Contingencies)

  • 한완섭;정관수;김주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9-687
    • /
    • 2013
  • Although stable and safe drinking water supply to the customers is a basic function of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in Korea, most systems have their vulnerabilities in emergency time due to the branch-type. Application of connections from the other water supply system can provide a solutions for these tentative problems. This paper describes reduction planning of water supply accidents that can minimize a service interruption to customers in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 by connecting pipe lines between local water supply systems in Mokpo city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Juam dam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can cover all of the water shortage in southern parts of Jeonnam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by transmitting water through connected pipes between local networks. This can be effective to supply water interactively in various contingencies, when a pipe line accident occurs in southern area of Jeonnam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On the contrary, southern area of Jeonnam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can cover 99.5 %($62,500m^3/day$) of the water shortage of Juam dam multi-regional water supply systems when service interruptions caused by various pipe accidents occur in the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