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ste Tire

검색결과 155건 처리시간 0.027초

120톤/일 처리 폐타이어 열분해 상업화 설비 개발 (Waste Tire Pyrolysis Commercialization Plant for 120t/d Treatment)

  • 김성연;김기경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141
    • /
    • 2008
  • The 120t/d pyrolysis commercial plant for waste tire recycling have been constructed in Malaysia and is going to be operated. The plant have the tube reactor with chain conveyer attached disk developed in demonstration research stage. The reactor temperature for commercial plant is about 500deg.C and reactor inside pressure is -100$\sim$-120mmHg. Non-condensable gas is used as fuel for pyrolysis heat source, and the exhausted heat is recovered for cogeneration to produce steam and electric power of 600kw.

  • PDF

폐플라스틱/폐타이어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물성 (Mechanical Properties of Plastic Waste / Ground Rubber Tire Composite)

  • 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9권4호
    • /
    • pp.294-300
    • /
    • 2004
  • 혼합폐플라스틱과 폐타이어분말을 혼합하여 복합체를 구성하고 그 기계적인 물성을 조사하였다. 수지-고무분말 사이의 계면접착력을 증대시키고자 두 요소와 친화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trans-octylene rubber(TOR)를 소량 첨가하였다. 고무분말의 투입량이 많아질수록 인장강도와 압축강도는 플라스틱자체보다 저하되었으며 파단신장률과 충격강도는 증가되었다. 상용화제 TOR이 첨가되면 인장강도와 충격강도 및 압축강도는 크게 향상되었으나 신장률은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물성의 변화는 TOR의 화학적인 이중성에 기인한다고 여겨진다.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재생타이어 트레드 버핑작업 개선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in Tread Buffing Processing for Recapped Tire for prevention of muscle and skeletal system trouble)

  • 김재열;한재호;이연신;김항우;오성민;송경석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97-202
    • /
    • 2004
  • As a part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resources recycling, the regeneration of waste tire has been largely contributed to national industry. But, the worker has been evaded this regeneration process by reason of the best mischievous process condition among 3D industries. So, the first, the process condition of regenerating waste tire was analyzed. The second, the equipment or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strength and environment. The last, researchers intend to solve these problems

  • PDF

근골격계 질환 예방을 위한 재생타이어 트레드 버핑머신 개발 (Development of Tread Buffing Machine for Recapped Tire for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System disorder)

  • 김재열;한재호;이연신;김항우;오성민
    • 한국공작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80
    • /
    • 2004
  • As a part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resources recycling, the regeneration of waste tire has been largely contributed to national industry. But, the worker has been evaded this regeneration process by reason of the best mischievous process condition among 3D industries. So, the first, the process condition of regenerating waste tire was analyzed. The second, the equipment or system was develop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strength and environment. The last, researchers intend to solve these problems

  • PDF

폐타이어 매트로 보강된 풍화토지반의 거동 (Behavior of Weathered Soil Reinforced with Waste Tire Mat)

  • 윤여원;천성한;허승범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7-46
    • /
    • 2005
  • 폐타이어는 높은 인장저항력으로 인하여 지반보강에 사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재활용시 대량처리에도 효과적이다. 폐타이어를 지반보강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타이어 트레드만을 이용한 트레드매트를 제작하였다. 현장에서 화강풍화토지반을 조성하여 트레드매트의 보강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트레드매트와 상업용 지오그리드 각각에 대한 평판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지반보강재 인접 지반에서의 응력과 변형을 알아보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트레드매트는 상업용지오그리드 못지 않은 지반보강효과를 나타내었다. 유한요소해석결과 지반보강재 바로 밑에서 응력의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보강재로 인한 응력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폐타이어의 대량처리를 위한 수단으로 지반보강을 위한 트레드매트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 PDF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폐타이어칩의 영향 (Effect of Waste Tire Chips on the Growth and Nutrient Content of Cymbidium Pine Clash 'Moon Venus')

  • 김홍열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17-21
    • /
    • 2009
  • 본 실험은 폐타이어칩이 심비디움 Pine Clash 'Moon Venus'의 생장 및 양분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잎, 줄기의 지상부 생장은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지상부의 생장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총근수, 신근수, 근장 등 지하부의 생장도 지상부의 생장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부패근수는 폐타이어칩 중립과 대립의 단용구에서 증가하였다. 전당, 전분, 엽록소와 N, P, K 등 무기양분의 함량도 폐타이어칩과 바크를 혼용한 경우에는 관행구인 바크와 차이가 없었으나, 폐타이칩 단용구에서는 감소하였다.

폐타이어 분말을 이용한 탄성 투수성 도로포장재에 관한 연구 (Study on an Elastic and Permeable Pavement using Scrap Tire)

  • 엄준길;정경호;주강;홍영근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4호
    • /
    • pp.290-296
    • /
    • 1998
  • 폐타이어는 현재 재활용 범위가 제한되어 있고, 매우 단순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폐타이어를 탄성과 투수성을 갖는 포장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았다. 도로포장재가 갖는 주요 인자인 압축강도 시험 결과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고무분말 크기, 골재 크기 및 바인더의 성질이 주요 인자임을 알 수 있었고, 또한 투수성은 골재의 크기와 분말의 크기에 의존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된 탄성 투수성 도로 포장재는 기존의 다공성 콘크리트의 값보다 압축강도는 1.4배, 투수성은 최대 116배 향상된 결과를 나타냈다.

  • PDF

Effects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aste PP and Waste Ground Rubber Tire Composites

  • Kim, Donghak;Kim, Seonggil;Lee, Minji;Lee, Chanhee;Lee, Horyong;Lee, Seongwoo;Lee, Suhyeon;Moon, Myeongsuk;Bang, Daesu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0권1호
    • /
    • pp.24-29
    • /
    • 2015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waste PP and waste ground rubber tire (WGRT) composites. In order to simulate a commercial TPV, the component of waste PP and WGRT was fixed at 30 and 70 wt%, respectively. With the simple addition of SEBS-g-MA into the waste PP/WGRT composites, the tensile strength of the composite was decreased, whereas both the elongation at break and impact str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ecause of rubbery characteristics of SEBS-g-MA.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the waste PP/WGRT/SEBS-g-MA composites was revulcanized with dicumyl peroxide (DCP). As expecte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revulcanized composites was generally improved. Especially, with 15 and 1 phr of SEBS-g-MA and DCP, elongation at break was highest value of about 183% because of the recross-linking of WGRT without chain scission of the main chain. It was found that complex viscosity of the revulcanized composite increased which might verify further vulcanization of the WGRT.

폐타이어 재활용에 있어서 가공조건의 영향 (Effect of the Curing Conditions on the Recycling of the Scrap Waste Tire)

  • 조하나;김진국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1권2호
    • /
    • pp.95-103
    • /
    • 1996
  • Nowadays, recycling of waste materials is one of great attention among all industries. Especially, the waste tires become a significant problem with increasing in a number of automobiles. For recycling of the waste tires, a polyurethane binder was mixed with the scrapped rubber powders obtained from tread part of the waste tire. This study covered the effect of processing conditions;curing temperature and curing time;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blend. We also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from labors-tory scale with those from scale-up.

  • PDF

재생 폴리에틸렌/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기계적 특성 및 유변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ycled Polyethylene Composites with Ground Waste Tire Powder)

  • 계형산;신경철;방대석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1권2호
    • /
    • pp.97-107
    • /
    • 2006
  • 폐타이어와 폐수지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와 신재HDPE를 폐타이어 분말(GWTP)과 치합형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Fuly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각 조성별로 용융 훈련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수지 (재생 PE, HDPE)와 폐타이어 분말의 혼합비를 $0\sim50$wt.%로 하였으며, ASTM에 의거하여 인장강도, 파단신율, 충격강도 등의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증가할수록 인장강도가 감소하고 파단신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충격강도는 폐타이어 분말 함량이 30 wt.%일 때 최대이고, 함량이 증가할수록 충격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형태학적 고찰에서는 폐타이어 분말의 함량의 증가함에 따라 파단면이 거칠어지는 형상을 관찰하였다. 모세관점도계(Capillary Rheometer)를 이용하여 재생 PE/폐타이어 분말 복합체의 전단속도의 변화에 따른 용융전단점도의 변화와 연화점 (Ts) 등의 유변학적 성질을 분석한 결과, 폐타이어 분말 함량 증가에 따라 외부 응력에 대한 흐름 저항성을 증가시켜 용융점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측정된 전단율에서 전단 점도는 Power-law 거동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