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r game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25초

미중 무역전쟁과 게임이론: 협상력 비대칭 상황에서의 협조적 균형 가능성 (US-China Trade War and Game Theory in Asymmetric Bargaining Power)

  • 김홍률
    • 무역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05-121
    • /
    • 2019
  • This study applies diverse game theories to the US-China Trade War. The US-China Trade War can be analyzed as a game situation because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 to maximize one's profit while considering the reaction of the other party is a game situation. However, related research suffered from some mistakes in applying the US-China Trade War as it is to classic game theory, because while the prisoners dilemma is based on the situation of No Communication, No Trust, No Cooperation, the US-China Trade War has a precondition different from that of prisoners dilemma, since it mutually communicates information and negotiation is repeated several times in a cooperative situation. The result of the trade negotiation will likely end as 'cooperate-cooperate'. Further, considering trade volume, trade interdependence, bargaining power based on economy, and the scale of damage caused by the Trade War, the US-China Trade War is progressing with the bargaining power of the US being higher than that of China. Since the current US-China Trade War is in an asymmetrical situation under the dominant bargaining power of the US, it is likely to reach 'US defect-China cooperative' in the long run.

HLA/RTI를 이용한 워게임 시뮬레이터와 통신 효과 시뮬레이터의 연동 시뮬레이션 연구 (Research of Interopaeration Simulation between War Game Simulator and Communication Effect Simulator using HLA/RTI)

  • 김덕수;배장원;박수범;김탁곤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6-54
    • /
    • 2015
  • Wargame simulator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defence modeling and simulation. Because of increasing importance of communication effects on the warfare, the war game simulator is also required to reflect communication effects. One way to satisfy the requirement is the interoperation simulation between war game simulator and communication effect simulators. This paper shows the application of interoperation simulation between war game and communication effect simulators using HLA(High-Level Architecture)/RTI(RunTime Infrastructure). The war game simulator mainly deal with the engagement of troops and the troops communicate each other at the mission execution level. In the other hand, The communication effect simulator perform communication actions between the troops in the engineering level. Using the interoperation simulation, we can reflect the communication effects on the war game simulation. We show various applications of the interoperation simulation with the point of the war game and communication effect simulator. with a case study, we explain the interoperation simulation improves the reality and fidelity of the war game simulator and how the interoperation simulation can be applied to developing doctrines and real communication system.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시 군(軍)의 '워-게임(War-Game)' 과정을 적용한 효과적인 '토론기반훈련' 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scussion Based Training Applying to Army War-game Process in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 Training』)

  • 윤우섭;서정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47-357
    • /
    • 2019
  • 연구목적: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토론기반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이를위해 선진국의 재난대응훈련을 분석하고, 현재 우리 군에서 작전계획 수립시 적용하고 있는 워-게임(War-Game) 과정을 적용하여 훈련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가지 형태의 재난 상황에서 수개의 우발상황을 염출할 수 있었고, 매뉴얼에 대한 보완소요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연구결론: 따라서, 결론적으로 군의 워-게임(War-Game) 과정을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토론기반훈련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훈련이 진행될 수 있다.

워게임을 위한 Duel모델 연구 (A Study of Duel Models for War Game)

  • 박순달;김여근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41-45
    • /
    • 1978
  • Duel models are frequently used in war game simulation. Both game-theoretic approach and stochastic approach are applied to duel situations in war game. Game-theoretic models are usually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noisy duel, silent duel, and duel of continuous firing. Stochastic duels are classified depending upon assumptions. In this paper formulation and a general solution for each model will be summarized.

  • PDF

아키텍처 기반의 국방 Modeling & Simulation 체계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an Architecture-Based M&S System for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 김형진;박찬욱
    • 정보화정책
    • /
    • 제18권1호
    • /
    • pp.73-99
    • /
    • 2011
  • 우리 군은 컴퓨터와 네트워크, 통신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난 수년간에 걸쳐 워게임 모델을 개발, 운영해 옴으로써 국방 M&S 분야의 수준을 꾸준히 향상시켜 왔다. 특히 다수의 연습/훈련 모델과 분석이나 획득분야에 대한 모델 개발도 각 군을 중심으로 많은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국방 M&S 발전을 위해서는 보다 현실적으로 실태를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특히 워게임 분야는 2006년 자원아키텍처 구축을 시작으로 전장 및 정보환경 아키텍처 등 국방아키텍처 구축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나, 전장아키텍처 구축시 연습 훈련분야 기능이 제외되어 별도의 워게임 아키텍처 구축이 요구되었다. 한국군의 실전적 합동 연합 연습 및 훈련지원을 보장하고 국방 및 전장아키텍처 이행계획에 대한 효과적인 검증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 합동워게임 아키텍처 구축을 위하여 현 워게임체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합동워게임 아키텍처 구축에 대해서 제언하였다.

  • PDF

워게임 연습체계에서의 효율적 정보보호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icient Information Security Methodology under a Korea War-Game Exercise System)

  • 이강택;이동희;김귀남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이버테러정보전학회 2004년도 제1회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19-225
    • /
    • 2004
  • 미국이 대 이라크전 연장선에서 북한 핵문제를 봄에 따라, 한반도의 긴장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여건의 변화에 따른 국방 가용재원의 감소, 대규모 야외군사훈련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확보의 어려움 및 안전과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한국군의 야외훈련 여건은 날로 열악해져 가고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야외훈련의 대체방안으로서 보다 경제적이고 과학적인 워게임 모델에 의한 CPX(Command Post Exercise: 지휘소연습) 즉, 워게임 연습이 최적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를 통한 단독, 합동 및 연합연습이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 워게임 연습체계는 정보보호라는 관점에서 볼 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국방전용망의 경우 그 구성이 인터넷과의 단절을 전제로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암호화만을 통해 데이터를 보호하고 있는 실정이고, 워게임 연습체계 내에서의 공격이나 신뢰하고 있는 네트워크를 통한 공격에 대해선 무방비 상태에 놓여져 있으며, 시스템 레벨에서의 보안 또한 부실한 실정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워게임 연습체계의 효율적이며 안전한 정보보호 방안 제시를 위해 네트워크 레벨에서의 정보보호 체계 및 시스템 관점에 초점을 두고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결론적으로 현 워게임 연습체계에서의 최적의 정보보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파라미터 행위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전쟁게임 시뮬레이션 (War Game Simulation Using Parametric Behavior Modeling Method)

  • 김재현;김탁곤;이완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11호
    • /
    • pp.126-134
    • /
    • 2006
  • 기존의 객체지향 통합 모델링 방법은 전쟁게임 모델을 두 계층으로 구분하여 개발할 수 있는데, 상위계층에서는 객체의 추상화된 행위를 모델링하며 하위계층에서는 모델의 세부적인 행위를 표현하게 된다. 이 방법에서는 시뮬레이션 전문가와 군 관련 전문가가 각각의 계층에서 별도로 작업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통합 모델링을 발전시킨 파라미터 행위 모델링 방법을 이용하여 전쟁 게임 시뮬레이터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군 관련 전문가 또는 사용자가 모델링 방법에 대하여 별도의 지식이 없이도 새로운 알고리즘이나 전략을 시뮬레이터에 추가하거나 수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안한 방법의 효용성을 보이기 위해 구현된 해군 군함의 전쟁게임 시뮬레이터를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System for War game Simulation System

  • Song Jong Seok;Li Chu Yu;Jin Long;Ryu Keun H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4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4
    • /
    • pp.712-715
    • /
    • 2004
  • War game Simulation System is a simulation system of military operation. In order to ensure all of the data that are running are secure, this system has to emphasize the security policy.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unning environment and the weakness of the security about exiting system. For improving the weakness, we design and implement this security system that is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uthentication System, Encryption System and Network Security System. Therefore, we can apply War game Simulation System to security system and improve the secure performance of this one.

  • PDF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 재사용하기 위한 변환방법 연구 : 창조21모델과 비전21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for Converting the Unit Database from Training-model into Analysis-model : Focused on the 'Chang-Jo21' and 'Vision21' model)

  • 이용복;박민형;김익현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8권2호
    • /
    • pp.159-167
    • /
    • 2019
  • 국방 M&S(Modeling&Simulation) 분야에서는 다양한 전투 환경을 동시에 모의하기 위해 다수의 워게임 모델을 연동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추진하여 성과를 달성하고 있으나,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기 위한 부대 DB(DataBase)는 동일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속성(메타데이터)에 대한 표현 방법이 달라서 상호참조가 불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이로 인해 워게임 모델을 운용하는 기관에서 같은 부대 DB를 각각 구축하기 위한 시간과 노력의 중복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도와 모의 논리는 유사하지만 도메인이 다른 훈련용 워게임 모델의 부대 DB를 분석용 워게임 모델에서 재사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여 실제 분야에 적용했다. 이를 위해 군단 및 사단 전투지휘훈련용 모델인 '창조21 모델'과 군단 및 사단 작전계획 모의분석용 모델인 '비전21 모델'의 부대 DB 메타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대 DB를 전환하는 절차를 정의하고, 부대 DB의 서로 다른 메타데이터를 매핑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을 위해 이질적인 메타데이터를 의미상으로 통합하여 매핑을 시도한 최초 사례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국방 M&S 분야에서 워게임 모델 간 부대 DB의 재사용이 가능하다는 패러다임 전환과, 부대 DB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워게임모델의 가상환경격자정보 개선과 구축 기법 (A Technic to Improve and Implement Virtual Environment Grid Information in War-game Model)

  • 최병무;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85-794
    • /
    • 2009
  • 워게임모델에서 가상환경격자정보에 관한 개선과 구축기법을 연구하였다. 가상환경자료는 지상, 해상, 공중으로 구분하여 관리 및 운용한다. 가상환경자료는 지리정보와 지형형태정보로 구축 및 관리한다. 지리정보는 격자(Grid) 형태로서 격자위치좌표와 수심을 파일로 관리한다. 그 격자정보파일의 수심값을 이동가능대표값(GCV)으로 개선하고, 조석차가 심한지역에 대해서 동적가상환경구축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 의 구현 및 시험을 통하여 동적 가상환경을 워게임모델에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