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r History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제 분쟁지역에서 한국경찰의 효과적인 평화유지활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Peacekeeping Activities of Korean Police in International Conflict Areas)

  • 박종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27-236
    • /
    • 2020
  • 냉전시기 군사적 활동을 위주로 이루어졌던 전통적 PKO 활동은 탈냉전 시기가 되면서 다차원적 PKO 활동으로 변해왔다. 한국경찰은 1994년 소말리아 치안재건을 위해 2명의 경찰관을 파견하면서 PKO의 역사가 시작되었으나 지금까지 군 병력의 활발한 PKO 활동에 비해 경찰의 역할은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국제분쟁의 양상이 지속적으로 진보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UN은 193개 회원국에게 다차원적 평화유지 과업을 해결할 수 있는 PKO 활동을 요구하고 있으며, 특히 경찰의 '치안유지'라는 본질적 역할은 분쟁국의 재건과정에서 엄정한 법집행을 절대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이에 미국, 중국, 독일 등 회원국에서는 경찰 인력을 파견하여 그 역할을 직·간접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경찰의 PKO에 대한 평가는 그 성과를 측정하기에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정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국제분쟁의 양상과 분쟁지역의 치안환경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다차원적 PKO 임무 속에서 UN경찰의 역할과 미국, 중국, 독일 경찰과 한국 경찰의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제한적이었던 한국경찰 PKO 요원의 역할 확대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캐나다군 여성인력 활용사례와 그 시사점 (A Case Study on the Use of Female Human Resources in the Canadian Military and Its Implications)

  • 김인찬;김종훈;심준학;이강희;홍명숙;박상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795-799
    • /
    • 2023
  • 캐나다군은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여 전쟁의 장기화로 나타난 지속적인 병력 부족으로 인해 모병제의 한계를 인식하고 여성인력의 활용범위와 역할을 확장하였다. 최초 의료지원으로 시작한 여성인력의 활용은 여성부대 창설과 함께 육·해·공군의 전투지원 임무로 확대되며 그 필요성과 중요성이 증대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 종료 이후 병력감축과 함께 여성부대가 해체되었고, 여성인력의 비중도 총원의 1.5%로 제한되었다. 국방부는 여성인력 복무 여건 개선을 위한 캐나다 왕립 여성 지위 위원회의 권고를 점진적으로 수용하며 캐나다 군내 여성인력 역할 확대의 분기점을 맡는다. 캐나다 국방부는 여성인력에 대한 장기간의 전투실험, 관찰과 분석을 통해 전투병과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또한 1991년 걸프전쟁과 2001년부터 시작된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캐나다 여성인력이 남성과 동등한 수준의 전투 능력과 지휘 능력을 보여주며 여성인력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우리나라 역시 최근 지속되는 출산율 감소로 인구절벽과 병력 부족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캐나다군의 여성인력 활용의 역사와 현재의 모습을 통해 우리 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역사소재 기반 디지털게임의 발전과정 및 기획요소 연구 - 동.서양 5개국의 역사소재 게임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Digital Games Based on Historical Material and its Design Components - With History Based Games of 5 Countries)

  • 문만기;김태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60-479
    • /
    • 2007
  • 문화가 산업의 영역으로 들어온 이후 세계 각국에서는 자국의 문화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교육적 또는 상업적 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해 왔으며, 다양한 문화 및 역사가 이 분야의 주요 배경 및 소재로 인식되면서 역사학 등을 전공하는 많은 학자들의 역할도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 중 에서도 특히 게임분야는 관객이 직접 참여하여 스토리텔링을 완성해 간다는 인터페이스 특성상 문화전파와 학습효과가 매우 높은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간의 단순한 놀이로 인식되고 있는 디지털게임에서 현재 세계 각국이 제작하여 전 세계에 전파하는 역사게임의 소재 및 세계관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본 논문은 1980년부터 2005년까지 한국에서 서비스된 약 70여 편의 역사소재게임 중 대표적 제작 및 보급 국가인 한국, 미국, 일본, 대만, 독일, 총 5개국의 역사소재 게임 68편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각국이 제작한 게임의 배경시대 및 기획의도 등을 분석하고 역사원형이 게임 시나리오 및 세계관, 배경으로 등장하는 사례를 비교하여 각국이 선호하는 시대와 장르 및 문제점을 도출하여 향후 우리의 발전적인 역사소재게임의 기회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게임에 적용된 세계관 및 등장인물 분석에서는 각국의 역사게임에 적용된 실존인물, 실제역사 및 역사소설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총68편 중 실존인물을 게임에 적용한 사례는 총 8편으로 전체의 11.8%에 해당하였다. 또한, 과거의 실제 역사 및 배경을 게임의 소재로 적용한 사례는 37편으로 전체의 54.4%를 차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국이 선호하는 역사게임의 주 소재는 인물보다는 실제의 배경이 주무대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은 고대 고구려를 중심으로 한 삼국시대, 미국은 1,2차 세계대전, 독립전쟁, 일본은 중세 일본 전국시대, 독일은 고대 유럽역사 등 각 국이 선호하는 역사적 배경은 그 나라가 역사적으로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역사적 시점이 역사게임의 주 배경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게임의 주 배경이 되는 시대로서는 고대가 37편으로 54.4%를 차지하여 각국에서 제일 선호되는 시대로 조사되었으며 그 다음은 근 현대가 18편으로 26.47%, 중세 7편 10.3%, 선사시대 5편 7.35%, 상고시대가 1편으로 1.47%로 나타나 고대 중세, 근 현대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 역사 : 프랑스부터 중국까지 (On the Colonial History of African Continent : From France to China)

  • 김태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41-551
    • /
    • 2018
  • 본 논문은 아프리카 대륙의 식민 역사에 대한 소고이다. 아프리카 대륙은 고대 그리스와 고대 이집트 시기부터 '인류의 고향' 혹은 '따뜻한 지역' 등으로 불리던 인류의 발원지였다. 하지만 강력한 군사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서양 국가들은 15세기부터 아프리카 대륙 곳곳을 유린하며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건장한 남성들을 노예로 잡아갔으며 주요 자원들을 빼앗아갔다. 이러한 불행의 역사는 20세기 중반, 제 2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자결주의를 내세운 여러 아프리카 국가들이 독립하면서 표면적으로는 커다란 전환점을 맞이한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프리카 국가들은 국제무대에서 동등한 파트너로 인정받지 못했다. 그들은 독립하기 이전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가난하고 힘없는 대륙일 뿐이었다. 하지만 우리는 21세기 들어서면서 아프리카의 위상이 점차 증가하고 있음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더 이상 아프리카 대륙을 가난한 지역으로 인식하지 않고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새로운 시장이라고 인식되기 시작한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식 변화에 주목하면서 전통적으로 우호 관계를 유지하고 있던 프랑스를 비롯한 유럽 열강들의 전통적 식민 지배 역사를 살펴보는 것을 시작으로 최근 새로운 시장으로 인식하며 아프리카의 환심을 사고 자국의 영향력을 증대시키고 있는 중국의 새로운 형태의 접근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기회의 땅으로 등장한 아프리카 대륙의 현실을 보다 냉철히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콘텐츠 기술을 활용한 보훈외교의 발전 방향 (Application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for Veterans Diplomacy)

  • 소병수;박현지
    • Journal of Public Diplomacy
    • /
    • 제3권2호
    • /
    • pp.35-52
    • /
    • 2023
  • 우리나라는 눈부신 경제발전을 바탕으로 아시아를 넘어 세계 곳곳에 영향력을 미치는 위상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전이 가능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우리나라가 과거 위기의 상황 속에서 국가의 존립을 지킬 수 있도록 귀중한 생명을 바치고 공헌한 분들의 존재가 있었기 때문이다. 매년 우리나라는 국가유공자, 6.25 참전용사와 유가족들과 함께 기념행사를 개최하며 대내외에 희생과 공헌에 대하여 감사의 뜻을 전하고, 경제적인 지원도 해오고 있다. 6.25 전쟁의 비극, 민주화 운동 등 지난 반세기 동안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일들이 시간이 흐르면서 먼 옛날의 과거와 같은 역사로 변해 잊혀지게 될 것이다. 세대가 여러 차례 바뀌고, 지역별로 이루어지는 교류의 기회나 방법에 변화가 생겨나면서 과거에 발생한 비극적인 사태와 국가를 위해 희생한 분들을 기리는 방식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6.25 전쟁의 참전용사와 유가족들은 현재 고령의 나이로서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이 전 세계적인 전염병의 발생으로 왕래가 이전처럼 자유롭지 못하게 되면서 인적 교류나 행사 등을 기획하고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디지털 기술은 우리들의 삶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5G 통신망, 스마트 폰, 태플릿 PC, 가상현실을 체험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등이 실생활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다. 메타버스 환경에서 비즈니스 미팅이 이루어지기도 하며, 유명 가수의 콘서트가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 환경에서 개최되기도 한다. 인력 채용, 고객 대응 서비스 영역에도 인공지능 기술이 도입되어 기업들의 업무 효율도 향상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지금까지 우리가 해오던 보훈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디지털 기술 방식을 온라인 플랫폼에서 실현시켜 보훈외교 방식을 다양화한다면, 지구 반대편에 있는 보훈 대상 유공자와 가족들도 행사 참여는 더욱 편리해질 것이다. 그리고 6.25 전쟁 중의 상황을 생생히 보여줄 수 있는 메타버스 기술, 현재 생존하고 있는 참전용사들의 목소리와 표정을 디지털화하여 장기적으로 미래 세대에게 그 경험과 교훈을 공유해줄 수 있을 것이다.

Team 10의 CIAM 탈퇴가 오늘 우리에게 주는 역사적(歷史的) 교훈(敎訓) (The Historical Lesson of the Team 10's Break Away from the CIAM)

  • 이희봉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3호
    • /
    • pp.137-149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from a lesson of the historical fact, the Team 10's break away from the CIAM, which is selected as the most important event in the whole 20th century architecture by author as a historian. The CIAM, organized in 1928 by leading European architects in order to propose new architecture in the industrial era, expanded to the world, met almost annually with an idea of economic efficiency, new functional order, and industrial production for thirty years. Young architects had conflicted with old established group from 6th congress, and after 10th congress they met independently in 1959; the CIAM was disappeared and the Team 10 was born. Main issue of the break-away was human aspect. The Team 10 started from real man, concept of 'human contact',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instead of abstract functional order. Although CIAM did not suggest inhumane architecture, their biological criteria with sunlight, air, sufficient site became physical determinism. Critique against the Team 10, unsuccess for making humane architecture leads to underestimation like a generational hegemony struggle. However, architect is not specialist of life but form. Historical reevaluation for Team 10 should be that they are the first group to raise an human issue in architecture. Success or not to solve the problem belongs to another domain. After 1960, modern architecture was attacked from the common people, not clients but 'users'. Academic circle tried to solve the problem with behavioral approach through a clear process, 'design method' and with phenomenological approach on real human experience. However practice became reactionary tendency, to make form a little complex, they became post-modern and deconstruction form. Failure of the Team 10's form proved that a complex form does not necessarily make a good life of people. In the Korean historic situation of colony ruling, confusion of liberation, and the War, we did not know the existence of both CIAM and Team 10. After 1970s' economic development, we have just copied Western form from Modern via Post-Modern to Deconstruction. If we make architecture people mattered, we should start from the basic, learning from the Team's break-away, instead of copying.

  • PDF

1960년대 광화문 중건과정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Gwanghwamun reconstruction in the 1960's)

  • 강난형;송인호
    • 건축역사연구
    • /
    • 제24권6호
    • /
    • pp.45-55
    • /
    • 2015
  • After the Korean war, two major attempts were made to reconstruct Gwanghwamun Gate as an important part of Korea's lost cultural heritage. In December 2006, the Korean government replaced the concrete gate with a wooden one, yet traces of the attempts made in the 1960s to transform Gwanghwamun Gate and the main road remain to this day. At the time, the Third Republic of Korea, sought to legitimize itself in the name of modernity, and went on to modernize the architecture and urban landscape of Seoul. The location and design selected for the rebuilt Gwanghwamun illustrated the symbolic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 heritage and urban development. The reconstruction of the gate began as part of the Third Republic's project to restore the Central Administration Building and culminat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e main road in front of the gate. By reconstructing the traditional gate using concrete, the military government intended to convey the message that we could inherit our proud tradition using modern materials, and that we should actively adopt the new technologies of the modern era. This study begins with the premise that the Gwanghwamun reconstruction project of 1968 represents the application of new technological thinking to Korea's architectural style, and has two objectives. The first is to summarize the reconstruction process and method using the records and drawings from the 1968 project, which was then under the leadership of architect Kang Bong-jin.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ural style and structure of the reconstructed Gwanghwamun so as to re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tradition and modern technology.

미군정 초기 미국 연수를 다녀온 한국인 의사 10인의 초기 한국보건행정에서의 역할 (The Role of 10 Medical Doctors Trained in the US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n Public Health Administration)

  • 신영전;서제희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96-206
    • /
    • 2013
  • On September 24th of 1945, the existing Health Department under the Bureau of Economy and Trade was abolished complying with the Article 1 of the Ordinance of US military occupation "Establishment of Health Bureau".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Health Bureau, one of its first priorities was to select South Korean medical doctors and send them away to the US for training "in order to educate the talents necessary for the Health Bureau to address the public hygiene and health issues of Korea". Under the sponsorship of Rockefeller Found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sent 10 Korean medical doctors to three universities. After they came back to Korea from the training in the US, they played significant roles in building and managing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system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as well as during the post-war of Korea and in the 1960s-1970s. Furthermore, they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expanding and transplanting the 'American-style' health and medical system in heath administration, health research and medical education in Korea. On the one hand, this means the limitation and elimination of an independent, progressive idea in the health and medical field as the influence of the US within the country after the liberation expanded. The lives of 10 doctor represent an important symbol of how the Korean health and medical field has been established under the domestic and overseas political conditions, 'colonization-liberation-military occupation of the Powers', and one part of the concrete history.

서양 근대 생물학의 국내도입에 관한 연구-동물분류학을 중심으로- (Introduction of Western Biology into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Animal Systematics)

  • 이병훈;김진태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0권1호
    • /
    • pp.85-95
    • /
    • 1994
  • 서구에서 생물학이 급속히 발전하고 있을 때 한국은 고립된 채 전통적 생물학에 머무르고 있었다. 이 전통생물학에 뒤이어 서양인들의 조선산 생물채집 시기가 시작되었는데, 이들은 우리나라의 표본들을 본국으로 가져가서 1843-1924년 사이에 출간된 논문을 통해 약 3,000종을 기록하였다. 1924-1944년 사이에 출간된 조선박물학 잡지에는 91명의 저자가 쓴 318편의 논문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논문들 중에는 동물분류학 논문이 224편(70.4%)으로 가장 많고, 또 이 225편 중에서 기재, 목록, 동물상에 관한 것이 201편이다. 비록 저자들의 대부분인 일본인이 83명을 차지하고 한국인 저자는 불과 7명 뿐이지만, 2명의 한국인이 논문 수에 있어서 3번째와 5번째를 차지한다. 이들 한국인 학자들은 일본인 학자의 조수로서 교육을 받았으나 일본에서 귀국한 몇몇 학자들과 함께 한국의 생물학에 있어서 중추가 되었고, 이들을 주역으로 하여 2차 대전 이후 서구 생물학이 한국에 도입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한국에 있어서의 근대 디자인 수용에 관한 고찰 - 제국미술학교의 도안공예교육과 조선인 유학생(1920-1945)을 통하여 - (An Investigation about the acceptance of the modern design in Korea - The case of Design Education and Korean Students at Teikoku ART College 1929-1945-)

  • 신희경
    • 디자인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47-58
    • /
    • 2005
  • 본 논문은 한국 근대 디자인, 나아가 한국 근대 미술을 발굴하기 위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일본의 제국미술학교(1948년 무사시노 미술학교로 개칭, 1962년 무사시노미술 대학으로 승격) 및 제국미술학교에 유학했던 조선인 유학생들(1929-1945)에 대하여, 무사시노 미술대학과 공동으로 행한 연구조사와 발굴을 바탕으로, 이루어 진 논문이다. 근대 미술과 디자인의 수용과정에서 가장 많은 조선인이 유학하였던 근대 적 미술교육기간이 바로 제국미술학교이 다. 제국미술학교 도안 공예과에 유학했던 조선인 학생들의 활동과 도안 공예과 교수들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서 궁극적으로 일본 제국미술학교 교육을 통한 다자인의 학습과 수용이 조선 유학생들에게 어떠한 영 향을 주었고, 전후의 한국 디자인 교육과 어 떠 한 연관성을 가지는 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147명의 조선인 유학생 명단과 13명의 공예도안과 유학생명단을 새로 작성하였으며, 본 논문이 자료가 취약한 우리 근대 디자인 사를 복원할 중요한 단서가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