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l Pad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6초

홈네트워크 구축현황 및 이용실태 조사연구 - 판교신도시를 중심으로 - (Field Surve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Home Network - Focusing on Pangyo New Town -)

  • 임미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25-35
    • /
    • 2016
  • 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me network systems presently applied in multi-housing complexes and resident's usag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se systems and services as well as maintenance methods. Subjects were 27 housing complexes equipped with home network systems in west Pangyo area. The investigation methods of communal network systems were observed and photographed. Unit systems were investigated through photography, interviews, and observation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Wall-Pads by visiting one unit of each housing complex.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Most housing complexes that we investigated were built with high-grade IT infrastructure. Also, remote meter reading, electronic security, vehicle access, and building access systems were established. Wall-Pads with similar functions were installed in 23 housing complexes, excluding private rental housing complexes. (2) Even though people were well aware of the need for common systems within their housing complexes, only 10~20% of Wall-Pad menus were used. (3) Low utilization rates of home network stem from Wall-Pad menus which were user-unfriendly, and a lack of user training for the complex's common system and unit system. Therefore, to promote active use of home network systems, the systems must be diversified in accordance with us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Wall-Pad menus should be reorganized to be user-friendly.

'월패드'의 보안 취약 원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Causes of Security Vulnerability in 'Wall Pads')

  • 김상춘;전정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59-66
    • /
    • 2022
  • 최근 스마트 홈(smart home) 기술은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의 편리함으로 큰 호응을 얻으며 발전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홈은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 여러 IoT(Internet of Things) 및 센서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스마트 홈 서비스는 월패드(wall pad)를 통해 조명이나 에너지, 환경, 도어 카메라 등을 쉽고 편리하게 제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월패드의 해킹사고로 인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는 가운데, 개인정보의 유출 및 사생활 침해가 예상된다. 이에 월패드 보안에 대한 실질적인 예방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월패드와 관련한 취약 원인을 고찰하고 대응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향후 스마트 홈의 대응 기술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감육 배관의 다양한 보강 형태에 따른 이론적 등가 강성 검증 (Analytical Equivalent Stiffness Analysis for Various Reinforcements of Wall-thinned Pipe)

  • 장제훈;김지수;김윤재
    •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1-18
    • /
    • 2022
  • When wall-thinning in a pipe occurs during op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 reinforcement of the pipe needs to be performed. Accordingly, the structural response of the piping system due to introduction of the reinforcement may be re-evaluated. For elastic structural analysis of the piping system with the reinforced pipe using finite element (FE) analysis, the stiffness of the reinforced pipe is needed. In this study, the stiffness matrix of wall-thinned pipe with pad reinforcement or composite reinforcement is analytically deriv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equations is checked by comparing with systematic finite element (FE) analysis results.

스마트 폰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 (The Implement of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on Smart Phone)

  • 이태웅;손철수;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505-509
    • /
    • 201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조명, 가스, 난방 기기 등 가정 내의 다양한 정보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집안내부에서 제어하고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 그리고 개인용 컴퓨터로 외부에서 제어할 수 있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합 서버와 월 패드는 고가이고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홈 네트워크의 단점을 보완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현재 널리 보급된 스마트 폰은 고 사양 입출력 장치로 기존 월 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인 디스플레이와 터치스크린을 대체하고, 홈 네트워크의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스마트 폰에 집중함으로써 저비용으로 보급형 월패드를 구현하였다.

ARM11 을 이용한 MoIP 월패드 플랫폼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MoIP Wall-pad platform using ARM11)

  • 정용국;김대성;허광선;권민수;최영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6-49
    • /
    • 2011
  • This paper is to implement MoIP platform to send and receive video and audio at the same time by using high-performance Dual Core Processor. Even if Wall-Pad key component of a home network system is released by using embedded processors, it's lacking of performance in terms of multimedia processing and feature of video telephony through which video and voice are exchanged simultaneously. The main reason could be that embedded processors currently being used do not provide enough performance to support both MoIP call features and various home network featur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Dual processor could be used, but in the other hands it brings another disadvantage of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is to solve the home automation features and video telephony features by using Dual Core Processor based on ARM 11 Processor and implement the MoIP Wall-Pad which can reduce the board design costs and component costs, and improve performance. The platform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paper verified performance of MoIP to exchange the video and voice at the same time under the situation of Ethernet network.

저마찰 피스톤 패드의 압력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sure Characteristics in Low-Friction Piston Pad)

  • 김청균;권영진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8권2호
    • /
    • pp.73-79
    • /
    • 1992
  • The pressure distribution between the piston pad and the cylinder wall is analyzed to reduce the friction and to get the dynamic stability in the low friction piston. The calculated results indicate that the rectangular pad may reduce the friction in comparison to the square one. And the low friction piston can be stabilized when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top and bottom of the piston skirt is very small.

전이학습을 이용한 전반사가 있는 월패드 분류 (Glaring Wall Pad classification by transfer learning)

  • 이용준;조근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35-36
    • /
    • 2021
  •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처리에서 데이터 셋이 반드시 필요하다. 월패드는 널리 보급되는 다양한 성능을 포함한 IoT가전으로 그 기능의 사용을 돕기 위해서는 해당 월패드에 해당하는 매뉴얼을 제공해야 하고 이를 위해 딥러닝을 이용한 월패드 분류를 이용 할 수 있다. 하지만 월패드 중 일부 모델은 화면의 전반사가 매우 심해 기존의 작은 데이터 셋으로는 딥러닝을 이용한 이미지 분류 성능이 좋지 못하다. 본 논문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데이터 셋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대규모 데이터로 사전 학습된 VGG16, VGG19, ResNet50, MobileNet 등을 이용해 전이학습을 통해 월패드를 분류한다.

  • PDF

대형 틸팅패드 저어널베어링의 성능에 미치는 온도상승 및 난류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emperature Rise and Turbulence on the Performance of Large Tilting Pad Journal Bearings)

  • 하현천;김경웅
    • Tribology and Lubricants
    • /
    • 제9권1호
    • /
    • pp.22-31
    • /
    • 1993
  • The thermohydrodynamic performance of large tilting pad journal bearings is analyzed, taking into account the three dimensional variation of lubricant viscosity. The eddy viscosity model based on wall formula is applied. The effects of temperature rise and turbulence on the bearing performance are studied in comparision with the isothermal or the laminar analysis. It is shown that these effects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emperature distribution, load capacity and power loss of the bearing.

스마트 폰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Design using Smart Phone)

  • 이태웅;김원중;손철수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1-354
    • /
    • 2011
  •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조명, 가스, 난방 기기 등 가정 내의 다양한 정보기기들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집안 내부에서 제어하고 개인용 컴퓨터, 휴대폰 또는 스마트 폰으로 외부에서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통합 서버와 월패드가 고가이고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서버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집안 내부 기기들의 제어가 불가능하거나 기기들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널리 보급된 스마트 폰은 고사양 입출력 장치로 기존 월패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분인 디스플레이와 터치스크린을 대처하고, 홈 네트워크의 관리 및 제어기능을 스마트 폰에 집중한 보급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